|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34712 |
0 |
2014-05
5234712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1066 |
25 |
2015-12
1761066
1 백메가
|
43042 |
한장의 영상만으로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만.. (1) |
무아 |
2013-01 |
5198 |
0 |
2013-01
5198
1 무아
|
43041 |
시스템이 중간에 멈추는데, 디버그(?) 노하우가 있을까요? (6) |
GoodWolf |
2013-01 |
5407 |
0 |
2013-01
5407
1 GoodWolf
|
43040 |
손글씨 교정 방법 추천 부탁드림니다.. (14) |
이해하면오… |
2013-01 |
11315 |
0 |
2013-01
11315
1 이해하면오…
|
43039 |
가상화에 대해 여쭤봅니다.. (4) |
이주황 |
2013-01 |
5126 |
0 |
2013-01
5126
1 이주황
|
43038 |
네트웍 하드 설치 관련 문의 (8) |
고무다라이 |
2013-01 |
5656 |
0 |
2013-01
5656
1 고무다라이
|
43037 |
레이드카드 잘붙는 x79칩셋 보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2) |
AKA지니 |
2013-01 |
5490 |
0 |
2013-01
5490
1 AKA지니
|
43036 |
랜카드 티밍 문제 문의드립니다. (4) |
미수맨 |
2013-01 |
6262 |
0 |
2013-01
6262
1 미수맨
|
43035 |
일본(교토)에서 한국으로 물건 보낼때 가장 저렴한 방법이 뭐가 있을까요? |
승훈 |
2013-01 |
5262 |
0 |
2013-01
5262
1 승훈
|
43034 |
일본(교토)에서 한국으로 물건 보낼때 가장 저렴한 방법이 뭐가 있을까요? (3) |
남바완 |
2013-01 |
4789 |
0 |
2013-01
4789
1 남바완
|
43033 |
무선마우스 끓김에 대하여 물어봅니다. (5) |
강삿갓 |
2013-01 |
5868 |
0 |
2013-01
5868
1 강삿갓
|
43032 |
델 워크스테이션 견적 관련 문의 (4) |
고무다라이 |
2013-01 |
5773 |
0 |
2013-01
5773
1 고무다라이
|
43031 |
secureCRT로 1차 자동로긴 후, 자동으로(스크립트 자동수행으로) root로 들어가는 방… (4) |
김건우 |
2013-01 |
19418 |
0 |
2013-01
19418
1 김건우
|
43030 |
3t 하드 사용 (2) |
여주이상돈 |
2013-01 |
5892 |
0 |
2013-01
5892
1 여주이상돈
|
43029 |
음주 면허 취소에 관련된 벌금 미납시 생기는 문제? (2) |
무아 |
2013-01 |
18877 |
0 |
2013-01
18877
1 무아
|
43028 |
맥미니 질문인데요 (8) |
제로콜라 |
2013-01 |
9552 |
0 |
2013-01
9552
1 제로콜라
|
43027 |
VMware ESXi 5.1 이 재대로 돌아갈수 있는 시스템 사양은 ? (4) |
박문형 |
2013-01 |
16492 |
0 |
2013-01
16492
1 박문형
|
43026 |
집에서 서버 운영한다면 어떤 PC 로 해야 할까요? (12) |
이지포토 |
2013-01 |
10047 |
0 |
2013-01
10047
1 이지포토
|
43025 |
데이타서버로 사용할 컴에 ssd를 달면 좋아지나요? (6) |
전재현 |
2013-01 |
5684 |
0 |
2013-01
5684
1 전재현
|
43024 |
dell 스토리지가 그렇게 안 좋은지요?? (12) |
블루영상 |
2013-01 |
5707 |
0 |
2013-01
5707
1 블루영상
|
43023 |
저렴하면서쓸만한 저전력 부품조합이 없을까요? (3) |
딸기대장 |
2013-01 |
5442 |
0 |
2013-01
5442
1 딸기대장
|
시도해보다가 포기했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일찍부터 컴퓨터 자판만 친 결과가 아닌가 싶네요
천천히 쓰면 어느정도 가능한데요
빨리쓰면 말짱 도루묵되더군요..
손글씨 바꿀려면 3년은 기본 잡아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요. 어릴때 그렇게 숙제하고 일기쓰고 하던 노력들의 결과가 지금의 글씨인데 어른되서 손글씨 쓸일은 대출계약서 보험계약서 가입신청서때를 제외하곤 거의 없었던거 같아요.
붓글씨로 교정이 가능합니다. 우선 신문지에 붓으로 바둑판을 그리는 연습을 꾸준히 해서
자 안대고 자로 댄것처럼 정확하게 완성한다음 그다음단계로 자음, 모음 연습
그 다음 완성된 글씨연습..
중요한것은 본인의 맘대로 글씨를 완전 잊어 버리시고 왼손으로 글씨를 쓴다는 기분으로 하셔야 합니다.
그 다음 펜 혹은 연필로 붓글씨와 똑 같이 해 보세요. 가급적이면 정자체로 하세요.
흘림체는 적어도 붓글씨 3년 이상 해야 추천해 드립니다.
그런데 3년간 꾸준히 해야 늘어 나는 군요..
붓글씨는 진짜 별루인데 한번 해봐야겠습니다.
나중에 한면 김태기 회원님 붓글씨 한번 보여 주세요 ^^
감사합니다.
제가 여러 사람의 글씨를 보며 곰곰히 생각해보니 일단 글자체는 둘째치고... 모든 글자가 크기가 되도록, 그리고 한줄이 수평이 되도록 줄을 맞춰쓰면 글자체는 좀 안예쁘더라도 전체를 보면 예쁘게 보이는 것 같습니다. 특히 글자 크기는 수평크기(폭)보다 수직크기(높이)를 일정하게 맞추는 것이 더 깨끗하게 보입니다. 이런 이유는 사람 눈에는 글자 내부 모양보다는 외부 여백에 침범한게 더 눈에 띄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이렇게 쓰는 사람이 거의 없었습니다. 긴 문장을 쓰면 다들 글자 크기도 엉망이고 줄이 삐뚤빼뚤 하더라구요.. 한마디로 각각의 모양보다는 전체적인 규칙성이 더 문제가 아닐까 싶었습니다.
(컴퓨터로 인쇄된 문서가 깨끗하고 잘 정리되어보이는 이유는 폰트가 문제가 아니라 글자 크기가 완벽히 일정하고 줄이 완벽한 수평이 되어있어서가 아닐까 싶습니다.)
어찌됐던 무엇이든 많이 써보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매일매일 일기 써보시는 것을 강추합니다.
남들이 봤을때 못알아보거나 초딩체처럼 보기싫은 글씨를 쉽게 교정하는 방법은 있습니다.
챠트 글씨를 연습하면 됩니다.
군대에서 행정일 해보신분은 아실 겁니다. 전지에다가 공고문이나 이런거 매직으로 후다닥 써서 붇여놓는 것의 글씨체 입니다.
1주일만 연습하면 판에박은 군대 글씨가 됩니다.
중요한 포인트는 글씨의 크기가 변하지 않고 좌우로 곧게 줄줄줄 쓰는 연습 필요한데 1주일이면 됩니다.
제가 정말 지렁이가 꿈틀하는 글씨였는데 고참한테 매일 뚜들겨 맞고 간부한테 뚜들겨 맞으면서 3스타 집무실의 상황실 글씨를 쓰다보니 일주일만에 군대글씨 나오더군요. 속성으로 터득하실려면 혼자서는 도저히 힘들고 근처의 누군가한테 글씨 못쓰면 때려달라고 하세요. 일주일이면 교정됩니다. (정말 맞으면서 배우는건 안잊어먹더군요)
저는 기술사 준비한다고 구매했는데 약간은 교정이 되었습니다.
아직 2년은 더 써야 할 듯 합니다.
전자신문 스크랩 6개월차(?) 입니다.
정보관리기술사 쪽으로 도전할 예정입니다.
일주일 피나게 연습하면 바뀝니다. 원래 글씨체도 물론 사라지지 않고 같이 묻어납니다.
메일도 못드려 죄송합니다. 이직해서 이리저리 바쁜터라 흑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