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글씨 교정 방법 추천 부탁드림니다..

   조회 11314   추천 0    

혹 손글씨 교정하는 방법에 대해 조언을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현재 고려중인것은 펜글씨 교본을 구입해서 해보는 것입니다.
하지만 교본이 별로 도움이 안榮募이야기가 많아서 망설여 짐니다.

혹시 회원여러분들 중에서 손글씨 교정하신분이 있으면 도움좀 주세요..

나이 36에 초등생처럼 꼬불꼬불 쓰는건 너무 부끄럽습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투시피유 2013-01
저도 지렁이가 기어갑니다.
시도해보다가 포기했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일찍부터 컴퓨터 자판만 친 결과가 아닌가 싶네요

천천히 쓰면 어느정도 가능한데요
빨리쓰면 말짱 도루묵되더군요..
김윤술 2013-01
어릴때 붓글씨를 몇년간 했던것이 지금 그 글씨체가 손글씨가 되었습니다.
손글씨 바꿀려면 3년은 기본 잡아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요. 어릴때 그렇게 숙제하고 일기쓰고 하던 노력들의 결과가 지금의 글씨인데 어른되서 손글씨 쓸일은 대출계약서 보험계약서 가입신청서때를 제외하곤 거의 없었던거 같아요.
이지포토 2013-01
초중고때 붓글씨로 전국을 휩쓸었던 사람입니다.
붓글씨로 교정이 가능합니다. 우선 신문지에 붓으로 바둑판을 그리는 연습을 꾸준히 해서
자 안대고 자로 댄것처럼 정확하게 완성한다음 그다음단계로 자음, 모음 연습
그 다음 완성된 글씨연습..
중요한것은 본인의 맘대로 글씨를 완전 잊어 버리시고 왼손으로 글씨를 쓴다는 기분으로 하셔야 합니다.
그 다음 펜 혹은 연필로 붓글씨와 똑 같이 해 보세요. 가급적이면 정자체로 하세요.
흘림체는 적어도 붓글씨 3년 이상 해야 추천해 드립니다.
이해하면 2013-01
김태기 회원님/ 감사합니다..
그런데 3년간 꾸준히 해야 늘어 나는 군요..

붓글씨는 진짜 별루인데 한번 해봐야겠습니다.

나중에 한면 김태기 회원님 붓글씨 한번 보여 주세요 ^^
감사합니다.
김동범 2013-01
저도 펜글씨까지는 아니지만 어디가서도 글씨 예쁘게 쓴다는 소리는 많이 듣습니다. 여자처럼 쓴다고 하더군요.

제가 여러 사람의 글씨를 보며 곰곰히 생각해보니 일단 글자체는 둘째치고... 모든 글자가 크기가 되도록, 그리고 한줄이 수평이 되도록 줄을 맞춰쓰면 글자체는 좀 안예쁘더라도 전체를 보면 예쁘게 보이는 것 같습니다. 특히 글자 크기는 수평크기(폭)보다 수직크기(높이)를 일정하게 맞추는 것이 더 깨끗하게 보입니다. 이런 이유는 사람 눈에는 글자 내부 모양보다는 외부 여백에 침범한게 더 눈에 띄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이렇게 쓰는 사람이 거의 없었습니다. 긴 문장을 쓰면 다들 글자 크기도 엉망이고 줄이 삐뚤빼뚤 하더라구요.. 한마디로 각각의 모양보다는 전체적인 규칙성이 더 문제가 아닐까 싶었습니다.

(컴퓨터로 인쇄된 문서가 깨끗하고 잘 정리되어보이는 이유는 폰트가 문제가 아니라 글자 크기가 완벽히 일정하고 줄이 완벽한 수평이 되어있어서가 아닐까 싶습니다.)

어찌됐던 무엇이든 많이 써보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매일매일 일기 써보시는 것을 강추합니다.
박동권 2013-01
이쁜 글씨를 쓰는 방법은 아니지만
남들이 봤을때 못알아보거나 초딩체처럼 보기싫은 글씨를 쉽게 교정하는 방법은 있습니다.
챠트 글씨를 연습하면 됩니다.
군대에서 행정일 해보신분은 아실 겁니다. 전지에다가 공고문이나 이런거 매직으로 후다닥 써서 붇여놓는 것의 글씨체 입니다.
1주일만 연습하면 판에박은 군대 글씨가 됩니다.
중요한 포인트는 글씨의 크기가 변하지 않고 좌우로 곧게 줄줄줄 쓰는 연습 필요한데 1주일이면 됩니다.
임곽석 2013-01
박동권님꼐서 제 경우의 말씀을 해주셨네요.
제가 정말 지렁이가 꿈틀하는 글씨였는데 고참한테 매일 뚜들겨 맞고 간부한테 뚜들겨 맞으면서 3스타 집무실의 상황실 글씨를 쓰다보니 일주일만에 군대글씨 나오더군요. 속성으로 터득하실려면 혼자서는 도저히 힘들고 근처의 누군가한테 글씨 못쓰면 때려달라고 하세요. 일주일이면 교정됩니다. (정말 맞으면서 배우는건 안잊어먹더군요)
최승현 2013-01
'백강고시체'를 써보시기 바랍니다.
저는 기술사 준비한다고 구매했는데 약간은 교정이 되었습니다.
아직 2년은 더 써야 할 듯 합니다.
     
Prada 2013-01
저도 백강고시체를 써봤습니다. 승현님처럼, 저 역시도 글씨가 부분적으로 교정이 되더군요. 특히 빠른 손글씨와 판서용 글씨에는 아주 유용합니다.
이지포토 2013-01
최승현님 기술사 어느 분야 보세요? 저도 관심있는데..
     
최승현 2013-01
일단 기술사의 '기'도 시작 못했고요. 하핫;
전자신문 스크랩 6개월차(?) 입니다.
정보관리기술사 쪽으로 도전할 예정입니다.
이해하면 2013-01
다들 감사합니다 중간보고 한번 드리겠습니다 ^^
성기사 2013-01
백강 고시체 좋습니다. 저도 붓글씨체였는데, 기술사 공부하면서 백강고시체로 바꿨습니다.
일주일 피나게 연습하면 바뀝니다. 원래 글씨체도 물론 사라지지 않고 같이 묻어납니다.
     
최승현 2013-01
엇... 성시창님 잘 지네시죠?
메일도 못드려 죄송합니다. 이직해서 이리저리 바쁜터라 흑흑...


QnA
제목Page 3572/5724
2014-05   5234712   정은준1
2015-12   1761066   백메가
2013-01   5198   무아
2013-01   5407   GoodWolf
2013-01   11315   이해하면오…
2013-01   5126   이주황
2013-01   5656   고무다라이
2013-01   5490   AKA지니
2013-01   6262   미수맨
2013-01   5262   승훈
2013-01   4789   남바완
2013-01   5868   강삿갓
2013-01   5773   고무다라이
2013-01   19418   김건우
2013-01   5892   여주이상돈
2013-01   18877   무아
2013-01   9552   제로콜라
2013-01   16492   박문형
2013-01   10047   이지포토
2013-01   5684   전재현
2013-01   5707   블루영상
2013-01   5442   딸기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