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ntos named 설정에 관한 질문입니다.

   조회 6251   추천 0    

이번에 클라우드 호스팅을 한개 신청하였습니다.
아는 동호회 홈피를 옮기려고요.

웹서버나 기타 프로그램들은 모두 옮겼습니다만...
제일 쉽게 생각한 named 설정이 문제네요.

설정 자체는 별것이 없는데요?
service named start 로 서비스를 시작해서 top으로 모니터링을 하면..
named 데몬이 cou를 99.99%까지 먹어버립니다.

named.conf쪽은 별 다른 것이 없는데..
query allow나 transfer쪽은 모두 none으로 했고요.

등록된 host도 클라우드 신청시 받은 ip한개밖에 없는 상태입니다.
원래 named 데몬이 이렇게 cpu를 많이 먹나요? 예전에 sun 웍스에서는 간단하게 돌린 것 같은데?

한번도 내 ip를 직접 세팅해본 적이 없으니까..좀 답답하네요. ^^
OS는 centos 6.3이고요. 램 1G 코어 1개  제일 가격이 싼 클라우드 입니다.
bind 설치는 그냥 yum 으로 내려받아서 사용중입니다.
named만 아니라면 홈피는 괜찮게 돌아가고 있는 중입니다.

일단 named 데몬은 그냥 죽여두고 있는 중입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딸기대장 2013-01
재 컴파일이 답이군요.
최신 버젼 소스를 기본으로 컴파일 하니...멀쩡히 동작합니다.
뭔진 모르지만, 충돌하는 부분이 있었든 모양입니다.
이해하면 2013-01
클라우드 호스팅 회사 측에는 네임서버 제공안하나요?
도메인이 많지 않거나 설정이 많지 않은면 호스팅회사측 도메인 서버 이용해보시는건 어떠신지요?
딸기대장 2013-01
아..제공을 하긴하든데요. 그것도 올리고 네임드도 올리고 해서 2중으로 해놨습니다.
옛날엔 메일인증부터 좀 복잡했는데 너무 간단히 등록이 되길래 좀 의심스럽더군요. ^^
그래서 그냥 클라우드에 새로 작성해넣어버렸습니다.
사실....named 설치가 어려운 것이 아니였는데...이상하게 꼬여서 작업이 안된 것 같습니다.
그냥 컴파일해 넣으니..잘 동작합니다.


QnA
제목Page 3567/5724
2014-05   5235011   정은준1
2015-12   1761373   백메가
2013-01   6340   psj1050
2013-01   6252   딸기대장
2013-01   7963   klein
2013-01   5335   수소
2013-01   7147   손영익
2013-01   6678   이지포토
2013-01   7023   이지포토
2013-01   5539   참세상맹글기
2013-01   5521   고무다라이
2013-01   6679   이지포토
2013-01   6460   권영현z
2013-01   5833   김태성
2013-01   12795   윤건
2013-01   7214   블랙
2013-01   5864   wo9abak1
2013-01   6149   이지포토
2013-01   9886   테러리스트
2013-01   7534   서울I김동수
2013-01   5690   권영현z
2013-01   10342   조명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