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8281 |
25 |
2015-12
1768281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42967 |
0 |
2014-05
5242967
1 정은준1
|
43610 |
책상위에 놓을수 있는 2단 다이? 받침? 뭐라고 하나요? (2) |
정희섭 |
2013-03 |
5861 |
0 |
2013-03
5861
1 정희섭
|
43609 |
윈도우 라이브서버 문의드립니다.. (1) |
두리안 |
2013-03 |
5690 |
0 |
2013-03
5690
1 두리안
|
43608 |
HP XW8600 장비 그래픽 카드 문의 드립니다. (4) |
Lobin1 |
2013-03 |
8210 |
0 |
2013-03
8210
1 Lobin1
|
43607 |
번호이동후 남는 인터넷전화기 어디에 쓰면 좋을까요? (4) |
박 |
2013-03 |
6243 |
0 |
2013-03
6243
1 박
|
43606 |
cmd에서 *.bat화일로 실행할 때 %기호가 빠집니다. (2) |
김건우 |
2013-03 |
5808 |
0 |
2013-03
5808
1 김건우
|
43605 |
ML110 G7 16배속 슬롯에 M1015 잘 인식 되시나요? |
이종현oph |
2013-03 |
6574 |
0 |
2013-03
6574
1 이종현oph
|
43604 |
서버 잘못 구매해서 중고로 내다 팔려고 합니다. 한달도 안됬는� (18) |
허동준 |
2013-03 |
6713 |
0 |
2013-03
6713
1 허동준
|
43603 |
폼메일에 대해 여쭤봅니다. (1) |
최원시익 |
2013-03 |
5119 |
0 |
2013-03
5119
1 최원시익
|
43602 |
의자 중심봉 유얍이나 가스 뺴� (4) |
가빠로구나 |
2013-03 |
12046 |
0 |
2013-03
12046
1 가빠로구나
|
43601 |
미크로틱 포트포워딩 질문 드립니다. 흑흑 (5) |
오준호5 |
2013-03 |
6500 |
0 |
2013-03
6500
1 오준호5
|
43600 |
hdmi 케이블 10m 선택에 있어서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9) |
주황별 |
2013-03 |
11890 |
0 |
2013-03
11890
1 주황별
|
43599 |
SATA -> MINI SAS 케이블을 구할수 있는곳 아시는분요... (4) |
임진욱 |
2013-03 |
5887 |
0 |
2013-03
5887
1 임진욱
|
43598 |
메이저 홈쇼핑몰에서 컴퓨터 본체 구입할려고 합니다.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5) |
서동국 |
2013-03 |
6393 |
0 |
2013-03
6393
1 서동국
|
43597 |
윈도우의 "네트워크"에서 잡히는 이상한 기기들... |
HEUo김용민 |
2013-03 |
5807 |
0 |
2013-03
5807
1 HEUo김용민
|
43596 |
E8400 시퓨 사용할 메인보드 추천부탁드림니다,, (7) |
불무골 |
2013-03 |
6671 |
0 |
2013-03
6671
1 불무골
|
43595 |
요세 인텔 메인보드들의 내장 VGA 질문 (3) |
방o효o문 |
2013-03 |
5848 |
0 |
2013-03
5848
1 방o효o문
|
43594 |
모바일 cpu 4코어 리소스모니터링이 2코어로 표시되는게 맞나요? (5) |
마이코코 |
2013-03 |
5988 |
0 |
2013-03
5988
1 마이코코
|
43593 |
SAS 15K 하드가 사타보다 느린게 맞는건가요?^^;; (2) |
블랙 |
2013-03 |
5952 |
0 |
2013-03
5952
1 블랙
|
43592 |
혹시 일본 지상파 / BS 수신해서 보시는분 계시나요 (8) |
이태욱 |
2013-03 |
9028 |
0 |
2013-03
9028
1 이태욱
|
43591 |
ML110 G7 에서 usb 로 OS 설치시 에러좀 보아주세요 (4) |
강영식 |
2013-03 |
6829 |
0 |
2013-03
6829
1 강영식
|
아래 링크 기사 참고하세요.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10912151607&type=det
단지 커넥터 내구성이 좋았던 거군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문제는 선의 길이 인데 10m 급 제품들중에 정상적으로 출력되는 케이블이 몇개 없을껄로 알고있습니다.
중간에 리피터나 혹은 작은 IC 들이 포함도어 출력을 도와주는 제품들을 선택 하셔야 합니다.
최장 8까지는 사용해봤는데 화면이 정상적으로 나타나지 않고 노이즈가 많이껴서 HTPC 로 변신을 했답니다.
케이블의 가격이 만만치 않으니 라즈베리나 안드로이드 기기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사용도 가능합니다.
근데 프로젝터도 모니터고 TV 도 모니턴데 두개를 연결 하실 목적은 아니시겠죠?
연결은 셋탑박스에서 바로 프로젝터로 연결하려고 합니다.
가끔 상품 관련 글중에 화면이 이상하다는 이야기가 있어서 여기에 물어본건데
역시 쉽게 결정할 건 아니군요.
사용상 문제는 없었구요
비싼게 좋은 건가? ^^
너무긴 경우 안될수 있답니다.^^;
-본문내용중 일부-
만약 케이블이 길어서 화질이 저하되는 것 같다고 생각한다면 이는 애당초 해당 케이블이 불량이기 때문이지 결코 선이 길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가 아니다.
과거 아날로그 방식의 케이블 시절에는 선이 길면 길수록 구리선이 저항 역할을 하기 때문에 화질이나 음질이 저하되는 경우도 있었다.
물론 구리선이 저항 역할을 하는 것은 HDMI 케이블에서도 마찬가지다.
따라서 HDMI 케이블이 [너무 길 경우 출력 문제로 인해 신호가 전달되지 않을 수도 있다.]
화질이나 음질이 저하되는 것이 아니라 아예 안된다는 이야기다.
이 때는 구입 전 미리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