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58520 |
25 |
2015-12
1758520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31825 |
0 |
2014-05
5231825
1 정은준1
|
44696 |
4 socket xeon 에 numa node 가 1개인 경우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6) |
느닷 |
2013-06 |
5850 |
0 |
2013-06
5850
1 느닷
|
44695 |
에어컨 관련 질문을 해도 될까요? ^^ (4) |
GoodWolf |
2013-06 |
5733 |
0 |
2013-06
5733
1 GoodWolf
|
44694 |
wifi 시그널 잼머 구입이 가능할까요? (3) |
호퍼 |
2013-06 |
9795 |
0 |
2013-06
9795
1 호퍼
|
44693 |
요즘 공유기중에 usb 포트로 프린터 서버 지원되는 모델이 있을까요??? (10) |
병맛폰 |
2013-06 |
8817 |
0 |
2013-06
8817
1 병맛폰
|
44692 |
DB서버 활용 용도 서버 견적 지적/평가 부탁드립니다~ (17) |
SoComEe |
2013-06 |
13845 |
0 |
2013-06
13845
1 SoComEe
|
44691 |
PS3 고장났는데 난감하네요 (5) |
박성만 |
2013-06 |
7022 |
0 |
2013-06
7022
1 박성만
|
44690 |
시스템 업그레이드 관련 문의입니다. (2) |
크라우저 |
2013-06 |
5695 |
0 |
2013-06
5695
1 크라우저
|
44689 |
fdd+odd 콤보(IDE형)의 컨트롤러 구할수 있을까요? (5) |
김건우 |
2013-06 |
6915 |
0 |
2013-06
6915
1 김건우
|
44688 |
방화벽에서 자바의 일부 기능이 차단되네요. |
장동건2014 |
2013-06 |
7912 |
0 |
2013-06
7912
1 장동건2014
|
44687 |
개인용 NAS가 해킹당한것 같습니다. (3) |
박중석 |
2013-06 |
13348 |
0 |
2013-06
13348
1 박중석
|
44686 |
이거 구매대행 하고 싶은데 어떻게 하지요? (4) |
황진우 |
2013-06 |
6962 |
0 |
2013-06
6962
1 황진우
|
44685 |
771소켓 CPU 관련 (4) |
Nikon |
2013-06 |
9016 |
0 |
2013-06
9016
1 Nikon
|
44684 |
최대절전모드가 사라졌습니다. (6) |
서현석 |
2013-06 |
8802 |
0 |
2013-06
8802
1 서현석
|
44683 |
하드 디스크 고장 문의 (6) |
사랑이 |
2013-06 |
20667 |
0 |
2013-06
20667
1 사랑이
|
44682 |
Hyper-V 올리는 순간 병목 발생 (3) |
우앙뿌앙 |
2013-06 |
11070 |
0 |
2013-06
11070
1 우앙뿌앙
|
44681 |
[윈도우서버2012] 파일은 보이는데 이동, 복사가 안되네요. (10) |
개척자 |
2013-06 |
10717 |
0 |
2013-06
10717
1 개척자
|
44680 |
ESXI 에서 물리 하드디스크를 바로 마운트 하는 방법이 있나요?? (4) |
오준호5 |
2013-06 |
11601 |
0 |
2013-06
11601
1 오준호5
|
44679 |
예초기와 grass trimmer 가 다른건가요??? (3) |
박남규 |
2013-06 |
6128 |
0 |
2013-06
6128
1 박남규
|
44678 |
아파트 실링팬 조명 설치 관련 질문입니다. (3) |
조성현입니다 |
2013-06 |
12857 |
0 |
2013-06
12857
1 조성현입니다
|
44677 |
vmware 에서 프로세서 할당 문의드립니다 (2) |
미수맨 |
2013-06 |
14738 |
0 |
2013-06
14738
1 미수맨
|
최대절전모드(하이버네이션) = 램의 내용을 디스크에 기록했다 복원.
부팅시 NTLoader가 다른 디바이스 드라이버 없이 직접 읽어야하기 때문입니다.
powercfg /h /size xx
명령행에서 위의 명령으로 크기 조절은 가능합니다. xx는 50~100으로 %값입니다.
위 명령으로 사이즈 조정시 메모리 내용을 압축 저장하기에
최대절전모드 진입과 복귀는 cpu 성능에 안좋다면 약간 느려질 수 있습니다.
cpu 성능이 좋고 디스크 성능이 나쁘다면 더 빨라질 수도 있습니다.
부트 볼륨의 잔여 공간이 부족한데 OS 재설치가 힘들고 하이버네이션을 반드시 써야한다면,
시스템 설정에서 페이징(가상 메모리) 파일을 타 볼륨으로 옮기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덕분에 좋은 지식 배워갑니다. 남은 주말도 좋은 주말되세요
모두 백업하지만 용량을 50%에 가깝게 되도록 압축 알고리즘을 사용하게 하는 것이니
사용에 지장없다면 그렇게 사용하시면 됩니다.
테스트할때만 램을 사용할거 같은데, 테스트 끝나면 해당 프로그램 종료하면서 사용하도록 해야겠습니다.
다시한번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