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34725 |
0 |
2014-05
5234725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1071 |
25 |
2015-12
1761071
1 백메가
|
44902 |
html 일괄수정 아이디어, (10) |
analogue김… |
2013-06 |
8348 |
0 |
2013-06
8348
1 analogue김…
|
44901 |
esxi 설치관련 질문 (4) |
박영태 |
2013-06 |
8228 |
0 |
2013-06
8228
1 박영태
|
44900 |
PC사용가능 여부 확인 부탁드립니다. (5) |
김원회 |
2013-06 |
5611 |
0 |
2013-06
5611
1 김원회
|
44899 |
사무실 네트워크 구축에 대한 질문드리겠습니다.. (10) |
laala |
2013-06 |
9385 |
0 |
2013-06
9385
1 laala
|
44898 |
HP 부품의 워런티에 대해서 (10) |
회원K |
2013-06 |
8976 |
0 |
2013-06
8976
1 회원K
|
44897 |
손잡이 달린 케이스들을 찾고 있습니다. (3) |
BlueApple |
2013-06 |
8500 |
0 |
2013-06
8500
1 BlueApple
|
44896 |
서버 본사에서 자료를 날린경우 어떻게 처리하나요? (9) |
데이비드 |
2013-06 |
6902 |
0 |
2013-06
6902
1 데이비드
|
44895 |
삼성 DN-X10 어뎁터 뭘 써야하는지요 (9) |
2CPU최주희 |
2013-06 |
12474 |
0 |
2013-06
12474
1 2CPU최주희
|
44894 |
불룸 to 샌디E 질문 (3) |
방o효o문 |
2013-06 |
5259 |
0 |
2013-06
5259
1 방o효o문
|
44893 |
혹시 중국 상해쪽 인터넷 속도 얼마나 나올까요? (7) |
송승화 |
2013-06 |
7482 |
0 |
2013-06
7482
1 송승화
|
44892 |
혹시 중국 상해쪽 인터넷 속도 얼마나 나올까요? (1) |
이현석1 |
2013-06 |
5795 |
0 |
2013-06
5795
1 이현석1
|
44891 |
gpu 연산 서버 관련.. (16) |
shuni |
2013-06 |
9370 |
0 |
2013-06
9370
1 shuni
|
44890 |
인버터 제어 모터의 간헐적 속도 이상 (9) |
배상0원 |
2013-06 |
12984 |
0 |
2013-06
12984
1 배상0원
|
44889 |
바이오스 메뉴이동 반응속도 (3) |
metaljw |
2013-06 |
10581 |
0 |
2013-06
10581
1 metaljw
|
44888 |
771 소켓 보드 FSB 관련 (1) |
Nikon |
2013-06 |
9595 |
0 |
2013-06
9595
1 Nikon
|
44887 |
sql설치 관련 문의드립니다. (7) |
임종열 |
2013-06 |
11453 |
0 |
2013-06
11453
1 임종열
|
44886 |
후지쯔 tx100 s3p - 뒤의 확장슬롯에 카드를 어떻게 끼워야 하나요? (7) |
회원K |
2013-06 |
5716 |
0 |
2013-06
5716
1 회원K
|
44885 |
혹시 윈도2000서버 설치가능한 서버모델이있을까요? (9) |
거니네 |
2013-06 |
5824 |
0 |
2013-06
5824
1 거니네
|
44884 |
tyan s7002 iKVM 아이디 비번 초기화방법 알려주세요. (2) |
듀학 |
2013-06 |
7530 |
0 |
2013-06
7530
1 듀학
|
44883 |
Win2008r2에 iScsi 와 vCenter를 같이 운영해도 무리가 없을까요? (2) |
BMMen |
2013-06 |
6472 |
0 |
2013-06
6472
1 BMMen
|
회선은 어느걸 써도 상관 없지만, 기왕이면 VoIP 장비를 기본으로 제공해주는 쪽을 택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다만 팩스는 VoIP 회선으로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를 하도 많이 봐서.. 별도의 유선라인이 하나 필요할수도 있겠습니다.
"절대로 인터넷이 끊어지는 상황은 있을수 없다." 라고 생각하신다면 별도의 인터넷 회선을 하나더 신청하셔서 백업망으로 쓰시면 되겠고, IPTIME 에서 2WAN 을 지원하는 인터넷 공유기가 있긴 하지만 써본 바로는 그다지 신통치는 않습니다. 컴퓨터 한대에 랜카드 여러개 달아놓고(3개 이상) 리눅스를 설치하고 라우팅 처리를 하시던지 아니면 미크로틱 라우터를 쓰던지 하는 방법이 있겠네요.
사실 제일 걱정인건 SKB의 비즈광랜(가정용이 아닌)이 국선 전화망에 버금가는 회선 안정성이 있을지 그리고 제가 선택한 공유기가 뻗지 않고 잘 작동할지입니다.
2WAN을 쓰지 않는다면 IPTIME의 T시리즈 유선공유기를 생각하고 있는데 이것도 나온지가 좀 오래되었네요.
요즘에 무선을 많이 사용하다보니 대부분이 유무선 겸용인데 유선전용과 유무선겸용 공유기간의 안정성 차이가 있을까요?
덤으로 10만원 전후로 최대한 안정성이 담보되는 모델이 혹시 있을까요?
IPTIME이 아니라도 상관없습니다.
http://www.amazon.com/RT-AC66U-Dual-Band-Wireless-AC1750-Gigabit-Router/dp/B008ABOJKS/
시스코 제품도 좋습니다만 이것도 역시 한 가격 합니다.
http://www.amazon.com/EA6300-Advanced-Multimedia-Wireless-Dual-Band/dp/B00C0WZ9FW/ref=sr_1_9?s=electronics&ie=UTF8&qid=1372338947&sr=1-9&keywords=linksys
둘다 국내에는 없습니다. 10만원 내외의 제품으로는 버팔로, 디링크 제품들이 이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네요.
KT, LGU+ 두개중 하나로 하세요.
소호용 라우터 대동소이한데... X5007은 써봤는데 정말 별로 였습니다.
빌더가 책임질수 있는 상황이라면 pfsense로 구축하는 것도 괜찮습니다. mikrotik도 괜찮습니다.
iPTIME이랑 비교 자체가 안됩니다.
2WAN을 동시에 쓰기는 힘듭니다. 형목님 말씀대로 미크로틱이나 CISCO 등의 고급 라우터를 쓰시는방법밖엔 없을듯하나, 모뎀이 고장나서 인터넷을 못쓰는 경우는 하늘의 별 따기이고, 거의 대부분의 인터넷 끊김은 망 불량이니 같은 회사 2개를 쓰셔도 큰 의미는 없을것으로 보입니다.
일반망이 아닌 기업용 광랜이라서 끊김은 없을꺼라 생각하는데 그래도 전화망 만큼은 아닐꺼라는 생각이 영 찜찜하네요.
잘 끊어 지기도 합니다. 또 내부에 바이러스가 넘쳐 날 경우 공유기 ->IPS 장비(보통 L2) 순으로 쭉쭉 뻗습니다.
이번에 저도 미크로틱 라우터 제일 저렴한 모델로 거래처에 넣었습니다.
미크로틱 전에는 X5007 제품이 있었는데 노트북 1대가 바이러스 걸려서 온 사방에 뿌려대니 먹통! 공유기가
뻗어 버립니다. 미크로틱으로 교체하고 나서 잘 버텨 주더군요. 바이러스는 어제 잡았습니다. 바이러스 1700개가
서식하며 온갇 잡다한 바이러스로 꽉꽉 채워진 노트북 이었습니다.
아 바이러스 천국 노트북은 교회에 설치 되었는데 이곳이 조금 큰 규모 인지라 회선도 두곳에서 들어 옵니다.
KT LGU+ 셋팅은 이진님의 강좌 올려 놓으신 것을 따라서 설정 했습니다.
음 한가지는 CPG 모뎀에 관한 것 인데 이넘이 인터넷 선으로 연결되어 RJ11 로 다시 내 밷는 놈 입니다.
이넘이 포트 설정상에 문제인지 생각되는 데로 잘 동작이 안돼었습니다. 어제 LGU+ 기업망 업체에서 CPG 모뎀 들고와서 설치 하려다가 두손들고 가 버렸습니다. 이부분은 저도 생각지 못하고 테스트도 안 해 보았기 때문에
미크로틱 설정 변경을 해야 하는지 아니면 가져온 CPG 모뎀이 불량 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현장에 제가 없었기 때문에 무어라 말을 못 드리겠습니다.)
비단 이 문제가 아니어도 종종 끊어집니다. 병원들이 좀 잘 끊어져서 전화가 오는데 저도 LGU+에 전화 해 보시라고 안내 합니다. SKB 역시 마찬가지 특히 SKB는 설치서 부터 안정화 할때까지 무자게 많이 싸었습니다.
FTP로 100Mbps 끌어써두 직원들 전화 잘씁니다. 다만 Torrent는 문제가 생기겠죠?
전화가 중요하신것 같은데 다른 통신사로 각각 회선 설치 후에
이중화보다 보이스와 데이터를 물리적으로 나누는 것이 적절할것 같습니다.
BGP를 사용해서 ISP 2중화를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회선이중화는 들인 비용에 비해 큰 이득을 볼 수 없었습니다.
그렇다고 BGP를 사용해서 이중화 하기에는 AS넘버 등록비와 그에 준하는 장비(BGP를 돌릴수 있는 라우터 or L3스위치 2대이상)를 갖추기에 최소 수백에서 수천이 깨지는 일이니... 중소규모 기업에선 쉽지 않죠.
LG나 KT와 계약하셔서 안정적인 ME회선을 받으시고. 엔트리급의 방화벽을 하나 놓으시는게 가장 문제없는 구성입니다. 방화벽이 일반 공유기의 NAT기능을 해주니 공유기 필요없구요. 아무리 좋은 공유기라도 방화벽의 퍼포먼스를 따라갈순 없지요. 또한 방화벽을 설치함으로서 외부로부터의 공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수도 있습니다.
100Mbps급의 엔트리 라우터는 회사입장에선 감당할만한 가격입니다. 물론 초기셋팅과 운용중에 기술지원도 가능하겠죠.
방화벽 밑에 간단한 QoS를 지원하는 스위치를 설치하셔서 사용하신다면 심플하고 효율적인 네트워크가 될듯 하네요.
트래픽이 많지 않아서 같이 써도 상관없었는데, 그냥 기분상 그렇게 사용햇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