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TP케이블에 대해 초보적인 질문 한번더 합니다.

   조회 5357   추천 0    


검색해봤더니.. 계속 헷갈려서요

저희집의 경우 공유기->PC 는 당연히 다이렉트케이블이고
보통 공유기->허브도 다이렉트케이블이죠? 
지금까지 크로스 케이블을 안쓴것 같아서요

아뭇튼 중요한 질문하나..

현제 제가 가르치는 노인정에서 

메가패스광랜 -> 공유기 -> 허브(16포트100M) 이렇게 되어잇습니다.
그 허브에 컴퓨터가 10대정도 연결되어 있구요 (실사용은 5대정도)

그런데요 외부(30M떨어진 노인정 안채)에 컴퓨터를 두개 더 놓고자하는데요
아무래도 적당한 5포트정도되는 100M 허브 한대 놓고 거기에 컴두대 연결

여기서 질문입니다.

광랜-> 공유기-> 허브 -> 다시 멀리있는 허브로 연결할때 
중간에 UTP선이 다이렉트인가요 크로스인가요
가까이 있는것에 할때 저는 허브끼리도 그냥 다이렉트 케이블로 했던것 같은데요
갑자기 헷갈리네요 

너무 초보적인 질문인가요.. 죄송합니다.
답변 나오면 바로 지울께요 ^^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13-07
옛날 허브가 아니면 보통 크로스던 다이렉트던 자동 인식해서 붙습니다.
     
투시피유 2013-07
아 그렇군요
허브가 아주 옛날것은 아니구요
5년정도 된 스위치허브들이니
뭐 크게 문제가 안되겠네요 감사합니다.
LovelyJubbly 2013-07
아주 아주 예전 모델이 아니라면 대부분 오토 업링크를 지원하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꼬메 2013-07
Auto-MDIX를 지원하는지 확인하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기가비트 장비들에서는 기본으로 지원하지만, 100M급 장비들은 기본지원하지 않는 경우도 꽤 많습니다. 일반적으로는 간단하게 PC와 PC는 Crossover, 그 외는 Direct 케이블을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굴다리교 2013-07
요새는 거진 다 자동인식입니다.
방효문 2013-07
크로스는 아주 고전적인 장비에나 씁니다. 시리얼이라던지 시리얼이라던지...
모 전용회선 엔지니어와 현장(피씨방)에서 짧게 언쟁을 했었습니다.

스위칭허브 <-> 스위칭허브, 라우터 <-> 스위칭허브 간의 케이블은 크로스로 하는 것이 부하가 줄어든다.
: 스위치의 기본적인 기능에 오토센싱기능 동작으로 스위치에 쓸데없는 부하를 준다. 그래서 크로스로 연결하는 것이 좋다. 라는 논리였습니다.

이것때문에 돌아와서 한참동안 정보를 뒤져보았고, 스위칭허브의 구동방식이나 내부 프로세스등을 공부해봤습니다.

제 나름대로의 결론... 100메가 더미 허브이전의 장비들이라면 그분의 의견이 맞을수도있으나,
요즘 장비에는 전혀 해당되지 않는다. 오토센싱 프로세스느 케이블이 연결되는 시점에 1회 동작하고, 재검증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일반 동작시에 전혀 영향을 주지않더군요. 일부 고급스위칭허브에서 지속적으로 반복해서 검증하는
프로세스를 구동하기도 하지만, 그 정도가지고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더군요.

다시 그 엔지니어분을 만나면 다시 한번 논쟁을 벌이고싶어지더군요.
투시피유 2013-07
모두들 감사합니다.
편하게 주문했네요 ^^
이지영 2013-07
정말 간단히 말씀드려서 오토센싱 정도로 퍼포먼스에 영향을 줄 정도로 부하가 간다면 그건 못쓰는거죠.^^
구명서 2013-07
예전에 케이블 반대로 사서...고생했던 기억이 나네요.
그 뒤로 크로스 케이블 몇개...또 다른종류로(명칭이 생각안나지만)..몇개 이렇게 샀던..
뭐 지금이야 상관없지만..
362496 2013-07
그래서 저는 랜선 찍을 때 웬만하면 크로스로 합니다. 맨날 찍는 게 아니다보니 찍을 때마다 새롭고 헷갈리지만, 일단 해 놓고 나면 컴퓨터-허브, 컴퓨터-컴퓨터, 허브-허브 상관없이 막 꽂을 수 있어서 편리합니다. 그런 용도로 찍어 놓은 케이블이 지금도 몇 개 굴러다니네요.


QnA
제목Page 3477/5725
2014-05   5243529   정은준1
2015-12   1768847   백메가
2013-07   5680   레몬파이
2013-07   6619   방o효o문
2013-07   6169   무아
2013-07   5632   송주환
2013-07   5710   김건우
2013-07   5957   이규민
2013-07   5679   까비
2013-07   6433   풀로드시스템
2013-07   8043   야생마
2013-07   5328   김건우
2013-07   5989   황진우
2013-07   7928   크리미
2013-07   8218   조명수
2013-07   7702   nQ이성봉
2013-07   6639   분당김동수
2013-07   7460   지어2
2013-07   5906   차평석
2013-07   6967   김황중
2013-07   5795   comduck
2013-07   9389   황진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