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43529 |
0 |
2014-05
5243529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8847 |
25 |
2015-12
1768847
1 백메가
|
44972 |
[서버] ML150 G6 백플레인 어디서 구할데 없나요? (3) |
레몬파이 |
2013-07 |
5680 |
0 |
2013-07
5680
1 레몬파이
|
44971 |
센디브릿지 익스트림 VS 웨스트미어 2way (22) |
방o효o문 |
2013-07 |
6619 |
0 |
2013-07
6619
1 방o효o문
|
44970 |
iCloud 캘린더에서 매월 마지막날 반복 이벤트 만들 수 있나요? |
무아 |
2013-07 |
6169 |
0 |
2013-07
6169
1 무아
|
44969 |
이게 가능한가요? (5) |
송주환 |
2013-07 |
5632 |
0 |
2013-07
5632
1 송주환
|
44968 |
478보드에 내장된 sata1 컨트롤러 드라이버 좀 공유해주세요 (5) |
김건우 |
2013-07 |
5710 |
0 |
2013-07
5710
1 김건우
|
44967 |
안드로이드에 리눅스 올리 (3) |
이규민 |
2013-07 |
5957 |
0 |
2013-07
5957
1 이규민
|
44966 |
제온 e2600 시리즈 듀얼로 오버해 보신 분 계신가요? (6) |
까비 |
2013-07 |
5679 |
0 |
2013-07
5679
1 까비
|
44965 |
tx100 s3p 와 arc1220 레이드카드 (5) |
풀로드시스템 |
2013-07 |
6433 |
0 |
2013-07
6433
1 풀로드시스템
|
44964 |
windows 2012 R2 에서 SMB3.0 TEAMING 이용 관련 질문입니다. (6) |
야생마 |
2013-07 |
8043 |
0 |
2013-07
8043
1 야생마
|
44963 |
플로피...옛날에 쓸땐 안그랬는데..한두번쓰니 인식이 제대로 안되네요 (2) |
김건우 |
2013-07 |
5328 |
0 |
2013-07
5328
1 김건우
|
44962 |
CPU E5520 이건 어떨까요?? (5) |
황진우 |
2013-07 |
5989 |
0 |
2013-07
5989
1 황진우
|
44961 |
HP DL180 G6 PC3-10600R, PC3L-10600R 혼용되나요? (1) |
크리미 |
2013-07 |
7928 |
0 |
2013-07
7928
1 크리미
|
44960 |
네트워크 기능을 이용해 전원을 on/off 할 수 있는 장치를 구입하려 합니다. (6) |
조명수 |
2013-07 |
8218 |
0 |
2013-07
8218
1 조명수
|
44959 |
TX100 버스 한 번 더 올까요? (9) |
nQ이성봉 |
2013-07 |
7702 |
0 |
2013-07
7702
1 nQ이성봉
|
44958 |
Open SSH 질문 드립니다. |
분당김동수 |
2013-07 |
6639 |
0 |
2013-07
6639
1 분당김동수
|
44957 |
[질문] 8g sata dom에 esxi와 xpenology 설치 (5) |
지어2 |
2013-07 |
7460 |
0 |
2013-07
7460
1 지어2
|
44956 |
이렇게 생긴 고무재질 bar 를 어디서 구입할 수 있을까요? (2) |
차평석 |
2013-07 |
5906 |
0 |
2013-07
5906
1 차평석
|
44955 |
cpu 얘기가 나와서.... e5345 vs e5405 어떤게 더 나을까요? (7) |
김황중 |
2013-07 |
6967 |
0 |
2013-07
6967
1 김황중
|
44954 |
보드이상 조언 부탁드립니다 (7) |
comduck |
2013-07 |
5795 |
0 |
2013-07
5795
1 comduck
|
44953 |
E5450 VS X5450 둘중에 어떤 CPU선택? (2) |
황진우 |
2013-07 |
9389 |
0 |
2013-07
9389
1 황진우
|
허브가 아주 옛날것은 아니구요
5년정도 된 스위치허브들이니
뭐 크게 문제가 안되겠네요 감사합니다.
스위칭허브 <-> 스위칭허브, 라우터 <-> 스위칭허브 간의 케이블은 크로스로 하는 것이 부하가 줄어든다.
: 스위치의 기본적인 기능에 오토센싱기능 동작으로 스위치에 쓸데없는 부하를 준다. 그래서 크로스로 연결하는 것이 좋다. 라는 논리였습니다.
이것때문에 돌아와서 한참동안 정보를 뒤져보았고, 스위칭허브의 구동방식이나 내부 프로세스등을 공부해봤습니다.
제 나름대로의 결론... 100메가 더미 허브이전의 장비들이라면 그분의 의견이 맞을수도있으나,
요즘 장비에는 전혀 해당되지 않는다. 오토센싱 프로세스느 케이블이 연결되는 시점에 1회 동작하고, 재검증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일반 동작시에 전혀 영향을 주지않더군요. 일부 고급스위칭허브에서 지속적으로 반복해서 검증하는
프로세스를 구동하기도 하지만, 그 정도가지고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더군요.
다시 그 엔지니어분을 만나면 다시 한번 논쟁을 벌이고싶어지더군요.
편하게 주문했네요 ^^
그 뒤로 크로스 케이블 몇개...또 다른종류로(명칭이 생각안나지만)..몇개 이렇게 샀던..
뭐 지금이야 상관없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