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CPU 회원분들 안녕하세요?
이번에 홈서버를 개편할 계획인데, 외부에서 홈서버의 가상화 PC에 연결하는 것에 대해
생각 해보게 되었습니다. 직접 서버에 접속해서 작업하는것이 아니니 나름 보안도
좋을 것 같고 여러기기로 자유롭고 편하게 쓸 수 있을것 같아서 직접 구현해보려고 합니다.
처음에는 성능괜찮고 메모리 많은(그렇게 많지는 않고 16GB정도만... ^^;;) PC에 RRAS를
설치해서 NAT과 라우팅을 할 수 있도록하고 Hyper-V를 설치해서 상시 켜져있는 가상화
클라이언트를 만든뒤, 외부에서 포트번호를 바꾸어서 포트포워딩을 시킬 생각이었습니다.
그런데 이리저리 자료를 찾다가 VDI 를 보게 되었습니다. 예전에 한번 해보려다가
라이센스문제 때문에 포기했었는데 잘 보니 120일 임시라이센스가 있다고 하는군요.
120일이 지나더라도 다시 밀었다가 깔던지 약간의 꼼수(?)를 부리면 어떻게 계속
사용가능한것도 같구요. ^^;;
우선 VDI의 개념에 대해 잘 정리된 사이트가 있길래 따라서 그림을 그려봤습니다.
물론 그림에 있는 VM(가상화)은 실제 그림에서는 물리서버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그렇게 많은 서버를 준비할 수 없기에 VM을 이용해도 성능에 문제 없다고 생각되는
서비스는 VM을 이용하여 꾸며 볼 생각입니다.
여기서 질문이 있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VM1, 2, 3이 가지는 기능을 한대의 VM으로 처리가 가능할 법도
한데 굳이 저렇게 3대로 나누어서 처리해야 하는 이유라도 있는지요?
가능하면 VM을 1대만 사용하도록 꾸미려고 하는데 VDI를 꾸며본적이 없어서
서비스끼리 충돌은 없는지, 어디까지 줄여도 되는지 감을 잡을 수가 없어서 조언을 구하고자 합니다.
120일짜리 말고 180일짜리로 3번 연장되는 버전 보내 드릴께요.(그럼 1년 반 사용 가능하겠죠?)
테스트 버전이여서 테스트용으로 사용하시기에는 문제 없습니다.
근데 문제가........
제가 2008R2는 리테일을 소유중이라 이버전은 버려서
지금 소유중인 테스트 버전은 2008인데 괜찮으실지 모르겠네요.
필요하시면 쪽지로 이메일만 보내주세요.
키하고 iso로 만들어서 보내드릴께요..^^
아 참고로 32,64bit로 분리되어 있으니 필요하신 버전을 알려 주세요
좋은 하루 되세요~~
질문하신 서비스 분리는....
필요성(용도) 혹은 보안문제상 그렇게 나눈것이 아닌가 생각이 되네요.
그나저나......
집에서 저렇게 돌리기에는 리얼 ip가 모자라실텐데.....
포트포워딩의 한계가 도달할듯 싶네요.
참고로 서비스 되는 가상서버도
말이 가상서버지 실제서버와 외부에서 붙는다면 동일합니다.
그러므로 구성 또한 실제 서버처럼 리얼ip를 부여해야
서비스가 원활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물론 편법이 있긴하지만 귀찮......^^:
서비스용 가상화 돌리기엔 idc가 그래서 더 나은듯 싶더라고요.
지금껏 아무 생각없이 2008R2만 써와서 2008 써도 상관없을런지 모르겠습니다.
그래도 일단 주신다니... 고맙습니다~ ^^;;
VDI의 경우, 관련되는 기능을 가진 PC에 고정IP를 할당해야하나요?
원격으로 들어오는 서버만 고정IP를 가지면 된다고 생각했는데...
한번 찾아봐야겠습니다.
저도 원격지 사이트 관리할때는 관리용 VM 하나 만들어두고 VM에서 다른 VM으로 붙습니다.
이게 보안상 백도어가 되버려서 관리는 잘 하셔야 합니다;;
서비스별로 VM을 나누는것은 관리와 유지보수 때문입니다.
그리고 2012 나왔으니 2012로 하시는게 어떠신지요? 좋은기능 많이 나왔습니다.
SCVMM도 더 좋아졌습니다..
(연결 브로커라는 기능이 꺼져있는 VM을 켜주는 역할도 하는 모양이더라구요.
안그래도 적은 자원에 딱 좋을 듯 보여서 얇은귀가 팔랑팔랑 거립니다. ^^;;)
2012는 자동티밍 때문에 매우 심각하게(?) 고려중입니다. 마음에 드는 L2스위치
고르는것도 힘들고, 하드디스크 없는 시스템도 공부하고 싶기도해서 대역폭은
필요한데... 2012가 딱인것 같습니다. 하지만 2012 같은 경우 아직 지원되지
않는 드라이버나 프로그램들이 있다고 해서 좀 더 지켜보면서 결정할 생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