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 국민카드->페이팔 해외결제하시는 분들 답변 좀 부탁드릴께요.

장종명   
   조회 12935   추천 0    

혹시 국민카드로 해외결제하시는 분들 중에
페이팔 이용시 페이팔 이용금액보다 결제내역이
많게 책정되어 있는 경우가 있었는 지 궁금합니다.
예) 페이팔($32) ==> 국민카드내역($34)
그리고 페이팔의 경우 최초 거래시 추가인증을 하더군요.
그것도 출금이  되는 게 맞는 지도 궁금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JK 2013-09
결제내역을 눈여겨 보지 않아서, 첫번째 질문은 답을 드릴 수 없네요. 최초 거래시 인증은 출금되지 않았던 걸로 기억됩니다.
     
장종명 2013-09
답변 감사합니다. 몇번 거래를 했는데, 1번이라면 이해하는데, 3번이나 결제금액이 다르더군요.

그리고 추가인증이 1센트인데 나중에 결제가 됐더라고요.
장종명 2013-09
(해결) 해외결제 수수료가 포함된 금액으로 나타난다고 합니다.
케이스 2013-09
해외에서 물건을 카드로 구입하게 되면 물건값(달러) =>  원화환산액 + 거래수수료가 나중에 결제 금액으로 나옵니다. 그래서 9월27일에 10$짜리를 구입하면 9월30일쯤 되는 날짜의 기준환율(전신환매도율)에 따라 환전이 됩니다. 그래서 1100원이라고 정하면 11,000원이 실제 구입 금액이 되고 여기에 거래수수료(카드사 수수료 + 해외결제수수료) 일정금액이 붙어서(예를 들면 1%+1%라면 2%로 0.2달러 x 1100원) 11,220원 정도가 최종 결제금액이 됩니다.

저 거래수수료중 카드사가 떼는 수수료 이외에 해외결제수수료는 외국에서 카드결제를 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망사용료라고 보시면 됩니다. 전세계적인 카드 망은 시초는 아메리칸 익스프레스가 했지만 이젠 역사의 뒤안길로 잊혀지고 있고 대표적인게 VISA, Master Card가 있습니다. 그래서 얘네들이 망을 이용하는 수수료룔 받아갑니다. 특정 국가별로 특정 망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죠. 이런 결제망은 실제로는 무척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일본의 JCB, 중국의 UnionPay, 우리나라의 BC글로벌 같은게 다 그런것이죠. 하지만 역시 제일 잘 알려져있고 많이 쓰이는건 VISA, MC입니다.

언젠가 이런 해외결제망이 통합되는 날이 오면 그 업체는 지금의 구글보다 100배는 더 큰 규모가 될지 모르죠.
LovelyJubbly 2013-09
혹시 페이팔 수수료 구매자 부담으로 구매 하는 사이트일 경우에는 수수료 4% 정도도 따로 받아 갑니다.


QnA
제목Page 3422/5729
2015-12   1788873   백메가
2014-05   5263899   정은준1
2013-09   12334   김황중
2013-09   12333   오홍식
2013-09   12936   장종명
2013-09   9041   병맛폰
2013-09   12470   그래피아
2013-09   8452   아름다운노을
2013-09   19449   악땅
2013-09   7079   이병한
2013-09   10907   하수언
2013-09   8200   페르세우스
2013-09   10326   근원e
2013-09   7031   오상욱
2013-09   5923   oracleuser
2013-09   6440   근성가이
2013-09   6668   이영규
2013-09   12179   크루호스트
2013-09   10051   송현우
2013-09   19706   아름다운노을
2013-09   10982   최정민J
2013-09   10995   해피버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