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기 한대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감별하려 하는데 그 기준이 DDNS로 가능할까요???

병맛폰   
   조회 22705   추천 0    

인터넷에 연결된 pc 한대를 인증하려 한다면 mac adress로 하면 되잖아요.
보통 가정용 pc는 pc 1대에 랜카드 1개이므로  mac adress로 인증을 하면 충분할거라 생각했는데...
갑자기 어제 기업형(?) 라이센스 문의가 들어왔습니다.
임대 건물 1대에 있는 pc에 전부 라이센스를 주려면 어떻게 해야 하냐고 하더군요.
상황을 보니 업소에 있는 pc들은 전부 공유기 1대에 물려 있었습니다.

그래서 공유기 한대에 pc가 여러대 연결되어 있고, 이 pc들에게 라이센스를 부여하려 한다면 무엇을 기준으로 해야 할까 고민중 입니다.

일단 먼저 생각나는게 공유기의 mac adress이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공유기의 mac adress를 클라이언트 pc에서 알아낼수 있는 방법을 모르겠습니다.
만약 클라이언트 pc에서 공유기의 mac adress를 알아낼수 없다면 인증 수단으로 쓸수가 없겠죠.
192.168.0.1로 주소창에 타이핑 해서 알수도 있겠지만...
이걸 매크로로 자동으로 알수가 없다면 인증 수단으로는 어려울거란 결론을 내렸습니다.


그래서 두번째 아이디어는 공유기의 DDNS를 이용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클라이언트에서 외부 ip를 알아내는 방법은 있잖아요. 문제는 고정 ip가 아니다보니 언제 바뀔지 모른다는 건데요.
이걸 DDNS를 활용해 인증 수단으로 쓰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제가 생각해 낸 방법은... 
1. 먼저 고객의 공유기에 DDNS를 설정해 줍니다. 다행히 고객님의 공유기는 국내 i사 모델이라 무료 ddns 계정이 가능합니다. 
2. 설정한 DDNS주소를 서버 DB에 기록 해 둡니다.
3. 클라이언트 pc가 인증하려 합니다. 이때 서버에서 저장된 DDNS값을 클라이언트가 받아옵니다.
4.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에서 받아온 DDNS주소로 현재 설정된 ip가 무엇인지 확인합니다.
5. 현재 클라이언트에 접속된 네트워크의 외부 ip 주소를 확인합니다.

ip 주소가 "4번 = 5번" 이라면 허가된 네트워트에서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것이므로 인증을 마칩니다.


이런 생각을 했는데요. 
4번 과정은 예를 들어 "ping naver.com" 라고 치면 202.131.30.11라는 식으로 ip주소가 나오므로 이런 방법을 응용해서 할 생각이구요.
5번 과정은 외부 ip 알아내는 사이트나 프로그램을 응용해서 알아낼 생각입니다.

2cpu 고수님들이 보시기엔 현실 가능성 있는 방법인가요?
아니면 이것보다 더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말짱황 2013-09
인터넷접속을 차단하거나 연결 하기 위한 라이센스를 말씀하시는거지요?
한원준 2013-10
인터넷 억세스 컨트롤을 하신다는건지. 무슨 질문인지 모르겠습니다.

'라이센스'를 정의해 주셔야겠네요.


QnA
제목Page 3417/5730
2015-12   1790572   백메가
2014-05   5265580   정은준1
2013-10   7545   회원K
2013-10   15484   카프카
2013-10   19714   타이호
2013-10   37404   컴지기
2013-09   20587   그리폰0
2013-09   23117   어드민플레이
2013-09   22706   병맛폰
2013-09   22424   장동건2014
2013-09   15514   라이크유
2013-09   13591   회원K
2013-09   14090   이혁중
2013-09   16494   황진우
2013-09   17291   디스토리
2013-09   18757   김건우
2013-09   20766   윈도우10
2013-09   20570   user
2013-09   18918   user
2013-09   19959   무아
2013-09   17594   tualatin
2013-09   11333   그리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