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서버 백업 솔루션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조회 5288   추천 0    


분기별 백업으로는 간간히 있을 사고에 대한 대응이 되지 않을 것 같아
경험 많으신 분들께 문의드립니다.

사무실에서 파일서버 용도로 N40L 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구성은 OS(Win 7)전용 SSD (60GB) 와 
파일 저장용으로 시게이트 2TB * 2를 Raid 0 으로 사용중이며(...)
현재 사용량은 3.63TB 중 1.2TB 정도 됩니다.

백업은 분기마다 외장형 하드디스크를 새로 구해서 백업을 하고 있으나
최근 자잘한 파일 분실(공유폴더를 통한 삭제 복구 요청)이 있어서 
주 1회 정도 중요한 파일만 백업을 해보려고 합니다. 

일단 HDD추가 구매가 필요한데.. 어떻게 구성하는 것이 좋을지요??
지금 생각으로는 1TB 또는 2TB 를 하나 장착하고 스케쥴러에 해당 날짜의 폴더를 만들어서
저장하려고 합니다.

경험 많으신 분들의 조언을 구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안젤로 2013-11
파일 저장용으로 시게이트 2TB * 2를 Raid 0 으로 사용중이며(...)  <== 왜 그러셨어요?

백업 시나리오 전에 Raid 구성을 바꾸는게 시급하지 않을까요?
     
민원식 2013-11
데이터를 옮기고 레이드를 푼 다음에 Raid 1로 돌려야 할까요?
          
Raid 0을 업무용으로 사용하기는 너무 위험부담이 크다고 판단합니다.
디스크 구성이나 시스템 구성을 할 때, 문제발생 후 어떻게 하면 빨리 복구하는가에 대한 부분을 고려해서 구성하는게 맞을성 싶습니다. 
저라면, 하루라도 빨리 Raid 1로 구성을 바꿀것 같습니다.
곽순현 2013-11
저라면,
데이터를 딴 시스템에 복사하고 RAID0을 풀고 단일 HDD로 연결해서 JBOD로 연결함.
그리고 지금 가지고 있는 N40L을 1개더 구입하고 같은 용량의 HDD를 구입해서 백업시스템으로 구성.
그래서 첫번째 N40L이 Fail되면 두번째 N40L로 대체. 외장형HDD로의 데이터 복사도 진행~

왜냐... 회사용이니까요... 데이터 손실되면 담당자만 작살남.
개인이면... 데이터 손실뒤... 땅을 치고 후회하겠지요...
stellar 2013-11
비슷한 상황에서 서버 백업을 일정 주기마다 뜨고 있습니다.
1. 파일 저장용 시게이트 2TB * 2 Raid 0 로 되어 있는 것을 모두 백업후 RAID 1 또는 단일 볼륨으로 구성.
2. 다른 서버 또는 가장 많이 켜 있을 PC에 추가 HDD 설치 또는 용량 할당.
3. N40L 에 Cobian Backup 설치후 스케쥴 백업으로 다른 서버에 백업
(일정 주기마다 전체백업->주 1회 증분백업)

이렇게 하시면 디스크 용량도 적게 먹고 충분한 백업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민원식 2013-11
조언 주신 분들 감사합니다.
빨리 처리해야겠네요..
이기왕 2013-11
중요한 데이터라면 raid 1+0 나 raid 6가 권장됩니다
     
민원식 2013-11
감사합니다 ㅠㅠ


QnA
제목Page 3360/5731
2015-12   1793898   백메가
2014-05   5268859   정은준1
2013-11   5012   rainyday
2013-11   4550   김건우
2013-11   4048   이윤주
2013-11   5896   윤재린
2013-11   5790   페르세우스
2013-11   5376   송주환
2013-11   4822   듀학
2013-11   11486   이태욱
2013-11   5289   민가놈
2013-11   21908   윈도우10
2013-11   6836   정은준1
2013-11   6625   윈도우10
2013-11   6787   peteryoon
2013-11   8360   지구아닌곳에
2013-11   7592   김상민
2013-11   10612   김운영
2013-11   7062   찬호
2013-11   11600   조명수
2013-11   7734   유병국
2013-11   9057   장동건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