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nd한 포트에 최대 접속 인원은 최대 얼마나 되나요?

고승민   
   조회 5413   추천 0    

네트워크쪽 하시는 분들 많을 것 같아서 질문 드립니다.

bind를 통해서 서버 포트를 열어서 최대 수용 가능한 인원의 수가

65536 이상이 되는지 아니면 거의 무제한인지

아시는 분에게는 별거 아닐수도 있는 문제인데 제가 아직 해당하는 내용을 보질 못했습니다 ㅜ

앞단에서 모든 사용자를 받으려고 하는데 만약 제한이 있다면

1개 포트로 bind하면 안 될것 같아서요.

물론 6만 명도 쉽게 모을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만약을 대비해야 해서요.

1포트로 수용 가능한 인원의 최대 수를 혹시 아시는 분 계시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성만 2013-12
그건 포트 접속가능수가 아니라 포트 번호 같은데요

전혀 다른 개념을 혼동하시는 듯
고승민 2013-12
알고 싶은 것은 최대 접속 가능한 클라이언트의 수가

무제한인지 아니라면 최대 접속 가능한 클라이언트의 수가  얼마나 되는지 궁금합니다~
김장우 2013-12
어떤 서비스인지는 모르겠지만.. 동접을 6만 이상을 생각하신다면 포트에 문제가 생기는게 아니라 서버에 문제가 생길 것 같습니다.
그리고 한 포트에 붙을 수 있는 용량(?)의 표현은 Connection으로 보시면 될 것같습니다.

커넥션은 사용하시려는 서비스에 주로 종속될 가능성이 큽니다. TCP,또는 UDP에서 릴리즈 타임을 얼마나 잡을 것인가에 따라서 다르고 이는 CPU나 메모리, 네트웍 대역폭을 고려해서 결정하게 되겠죠..

즉, 접속당 점유 리소스 종류와 양을 체크해보셔야할 것 같습니다.

릴리즈만 잘해도 최대 커넥션을 유지하실 수 있을껍니다. 서비스의 유형을 모르니.. 요정도로..^^;;
악땅 2013-12
박성만님 말씀처럼 다른 개념을 햇갈리고 계시는겁니다.
대역폭과 서버의 자원만 받쳐준다면 10만이상도 가능합니다.
박문형 2013-12
허브의 최대 MAC값이 아마도 동접의 최대 갯수로 보시면 편할 듯합니다.
고승민 2013-12
그렇군요. 10만도 넘는 것을 보면 자원만 받쳐주면 되는 것 같네요.

서비스는 그냥 신호 중계자 정도 됩니다.

신호 자체는 블럭해서 한 명당 하나의 리퀘스트씩 처리하고 일정 수준 이상 쌓이면 짤라버리기 때문에

부담은 없구요.

메모리도 할당해놓은 것을 쓰고 동접 10만 정도만 되면 될것 같다는 생각인데

일단 궁금증은 해소가 되었네요. 멕시멈이 정해져 있는가 했었거든요.

일단 서버는 리눅스고 오픈 파일은 많이 잡아놨고 리소스도 충분하니 꽤 받을 수 있겠네요~
박동권 2013-12
네트웤 프로그래밍이 심도가 깊지않아 오류가 섞인 답변일 듯 합니다만...
TCPIP의 경우 보통 서버쪽에는 리스닝 포트 하나가 있고 컨넥션이 이루어지면 새로운 포트를 하나 만들어주면서 둘이 짝짝궁 잘해봐라.. 이러지 않나요?
뭐 채팅방처럼 한 곳에 데이터를 다 모아서 보여준다거나  장비의 상태 알아보는 것 처럼 쿼리에 대한 리스폰스만 간단히 보내주는 그런 경우면 다르겠지만...
서버쪽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따라 달라질 듯 합니다.


QnA
제목Page 3323/5724
2014-05   5235175   정은준1
2015-12   1761530   백메가
2013-12   4872   가빠로구나
2013-12   5751   임종균
2013-12   4390   witbox
2013-12   4372   임종균
2013-12   20324   뮤노
2013-12   4163   BMMen
2013-12   11338   불타는SAM
2013-12   6328   회원K
2013-12   5414   고승민
2013-12   4385   삐돌이슬픔이
2013-12   4077   블루스카이
2013-12   6097   김건우
2013-12   6366   윤치열
2013-12   3592   회원K
2013-12   6160   스카이
2013-12   8122   이정동
2013-12   4690   조국진
2013-12   4015   윈도우10
2013-12   3867   길가던뉴비
2013-12   4870   뚜뚜김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