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d 0관련 몇가지 질문드려요

   조회 4957   추천 0    

하루도 빠짐없이 질문글을 올리게되네요 하하

그간 유지보수 문제로 내사전에 레이드는 존재하지 않는다!

주의로 살다가 이게 뭔 헬게이트인가 싶은 하루하루입니다 크

현재 1366보드의 인텔rst? 와 lsi메가레이드 윈도2012r2 소프트레이드 중 하나를 택하여 ssd0로 2개정도 묶어 작업풀을 맹그려 합니다

질문1 셋중 뭐가 제일 나은 선택일련지요?

질문2 인텔rst나 lsi메가레이드의 펌웨어 업글은 어떻게 하나요?

질문3 스트라이프 사이즈 몇을 잡아야 할까요?

모두들 좋은주말보내세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이선규 2014-01
소프트레이드 절대 권장 안합니다.
     
말짱황 2014-01
헐 지금 소프트레이드 1로 사용중입니다.... 흑흑흑
기본 T320 하드웨어 레이드가 없네요.. 엉엉엉
냐옹 2014-01
1. 뭐가 나은 선택인지는 상황과 예산에 따라 다릅니다.
성능면에서는 온보드(드라이버 레벨), OS(드라이버레벨), lsi(하드웨어 레벨) 세가지 별차이 없습니다.
소프트웨어로 구동되는건 소프트웨어 버그에 의해 문제가 발생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드웨어 레벨도 검증되지 않은 디스크에서 문제 일으키는 경우 있습니다.
여기분들 대부분 소프트웨어는 못쓸 것 취급하지만 목적이나 방법에 따라 저는 상관없다고 봅니다.
특히 성능 문제없는 레벨0/1의 경우는 특히요.
다만, 데스크탑 용도에서 소프트웨어 방식은 소프트웨어 충돌로 문제가 생기는 소지가 많기에 별로 권하고 싶지않습니다. 절제된 환경이고 사용 소프트웨어나 다른 장치와 문제가 없는지 충분히 테스트가 되었다면 잘 돌아갑니다. os 이전이나 그런 필요가 없다면 os지원하는 기능 쓰는게 몇가지 관리상의 이유로 더 낫다고 봅니다.

2. 인텔내장은 펌웨어가 별로 하는 일이 없습니다. post상에서 설정과 도스모드에서의 동작을 위한 바이오스 콜 지원 정도... 펌웨어 업그레이드는 지원하지 않고, 최신 바이오스에서 롬 추출해서 분해조립하는 방법 뿐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안해도 됩니다.
lsi 제품은 홈페이지에서 펌웨어 다운 받으실 때 펌웨어 툴도 다운받으실 수 있고 같이 문서로 제공됩니다(영문)

3. 스트라이프 혹은 stripe 로 검색하시면 쉽게 알 수 있을겁니다.

송구하지만 이 질문은 왕왕 나오는 질문이라 QnA만 검색해도 관련글과 답변 많이 나올겁니다.
박문형 2014-01
스트라이프 사이즈는 큰 화일이 움직이면 크게 잡아야 합니다.

보통 256K이상이면 됩니다.

작업풀은 256K 스트라이프 사이즈로 할 때 3가지 방법중 자기에게 가장 편하거나
가장 빠른 동작을 하는 것으로 하면 될 듯합니다.

레이드쪽은 많은 경험과 노가다가 필수입니다.
타미케이 2014-01
저는 지난 10여년간 저에 모든 데이타를 RAID하드에 넣어놓고 항상 싱글디스크에다가 백업을 떠놓고 있습니다. 그런데 여짓것 제 개인하드가 하나라도 망가진적은 한번도 없네요. ㅎㅎ 그래도 계속 안전한게 좋겠죠?
우선 raid0은 raid가 아닌걸 명심하셔야 합니다. raid0으로 인해서 하드디스크 I/O속도가 빨라질수는 있기도 하고 작은 하드들을 묶어서 하나로 쓸수있다는 장점 말고는 하드하나가 나가면 모든 데이타는 날라갔다고 생각하시면됩니다. raid0의 장점을 살리고 안전성까지 더한것이 raid10입니다. 요즘같이 하드디스크가 그리 비싸지 않은시대에는 raid10이 정답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하드레이드냐 소프트레이드냐 그것이 문제로다...  하드레이드가 물론 최고의 솔루션이겠지만 제대로된 하드레이드를 쓰지않으면 하드레이드는 정말 도루아미타불입니다. 먼저 하드레이드 자체가 좋아야하고 하드레이드상에 케쉬메모리가 넉넉하게 있지않으면 하드레이드의 속도는 별로 좋지 않습니다. 그리고 하드레이드카드가 들어있는 기계가 백업파워서플라이와 백업파워밧데리가 없다면 그것도 도루아미타불입니다. 만약 I/O도중에 컴퓨터가 팍하고 나가는 일이 생기면 레이드데이타는 망가져버립니다. 이것이 상황에 따라서 정도가 틀리지만 많이 망가지게되면 그냥 데이타 날렸다고 생각하셔야 하는경우까지 나옵니다. 그렇기때문에 정말 엔터프라이즈 솔루션으로 가는경우가아니고 그냥 집에서쓰는컴퓨터나 나스 또는 작은 서버같은거에서는 하드레이드보다는 소프트레이드가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저기서 저도 읽고 경험한 정보에 토대로 내는 의견입니다)

좀 싸구려 레이드카드같은경우는 다 소프트레이드를 쓰는것과 별다르지 않은 레이드입니다. 즉 레이드카드에 하드들을 연결하고 컴퓨터를 부팅하고 레이드바이오스에서 레이드를 세팅한후에는 OS레벨에서 레이드된 모든하드를 1개로밖에 보이지 않아야 진정한 하드레이드입니다. 하지만 좀 많이 비쌉니다.

그냥 sata쓰시는경우에는 소프트레이드가 장땡입니다.

SSD로 raid0을 쓰실 이유는 절대로 없다고 저는 생각하는데 제가 모르는 범위에서 이유가 있을수도 있겠죠... raid0의 장점은 1. 여러개의 디스크를 하나인것처럼 쓸수있다 2. i/o속도가 빨라진다 인데...  SSD는 속도가 벌써 무지하게 빠르기때문이죠...  SSD는 OS용으로 RAID 디스크는 data용으로 쓰시면 가장 효율적일거같은데요... 제가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에서는 소프트레이드를 안써봐서 윈도우에대해서는 말하기힘들지만요 linux freeBSD 등등에서는 소프트레이드 암문제없이 아주 잘쓰고 있습니다. 레이드 설치후에 failover 테스트와 리빌드 테스트도 몇번해보았는데 모두 문제없었습니다.

추천은 raid10 (raid01과는 비슷하나 틀립니다) 을 소프트웨어 레이드로 쓰시는걸 추천합니다...
     
타미케이 2014-01
헐... 제가 노안이좀 와서 ssd0를 raid0로 보았네요... 그런데 제목이 raid 0 이군요...
싱클레어 2014-01
RAID-0로 OS를 묶으시려는지요? 데이터는 RAID-5 이상으로 하시고 OS는 그냥 SATA-2 싱글로 사용하시길 권장합니다.
냐옹 2014-01
스트라이프 사이즈에 대한 부분은 대게 잘못 이해하시는 분들도 계시던데
http://www.2cpu.co.kr/bbs/board.php?bo_table=QnA&wr_id=399540&sca=&sfl=wr_subject&stx=stripe&sop=and
여기에 길게 한번 적었습니다.

저 문제로 고민하며 벤치한 내용들은 간단히 검색하면 국내 외에 여럿 나옵니다.
http://www.coolenjoy.net/bbs/boardc.php?id=37&no=445&page=3&num=33&board=37&ss=0&sc=0&sn=0&keyword=&qa=0&ga=&cat=8&vote=0
http://minimonk.tistory.com/2710

실제 어찌 동작하는지는 위 링크에 적힌대로구요.
링크된 벤치의 양상이 절대적이지 않습니다. 첫링크에 적었지만 데이터의 평균 크기, 디스크 단편화 정도나 관리 유무, 어레이의 캐싱 알고리즘, 레이드 레벨 등에 따라 최적세팅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SSD는 단편화에 별 영향이 없기에 양상이 또 조금 다릅니다.
캐시달린 어뎁터를 사용할 때 캐시 사이즈 내에서는 스트라이프 크기 큰게 빠른 경우가 많습니다만 캐싱 알고리즘이 좋은 녀석은 작은 사이즈에서도 별 차이 없습니다.
혁진 2014-01
정말 상세한 답변에 모두 감사드립니다.

우선 연이은 질문글이었기에 ,이전 글에서 얻게된 과정과 결론들을 언급을 하지않으면 약간의 오해 요지가 생길 수 있다는걸 생각 못했네요^^;

우선 데이터풀은 아답텍5805 hdd 레이드5로 , 작업풀은 레이드0로 묶은 ssd로 이용 할 계획 이였고 거기서 이미 검색과 이전 질문글에서 얻은 답변들로 어느정도 윤곽선이 잡힌 상태에서 재질문을 드렸던건데요!

흐흐 

덕분에 다양한 추가정보를 얻게되서 저야 감사합니다.

검색조차 안한건 아니오니 너무 괘씸히 생각치 말아주세요^^;

답변을 달아주신분들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QnA
제목Page 3308/5723
2015-12   1758705   백메가
2014-05   5232002   정은준1
2014-01   4004   AKA지니
2014-01   5486   방o효o문
2014-01   5634   윈도우10
2014-01   12994   미수맨
2014-01   4659   방o효o문
2014-01   5066   송진홍
2014-01   4677   이정근
2014-01   4958   Nicoffeine
2014-01   4731   윈도우10
2014-01   4272   걸인신홍철
2014-01   5607   나파이강승훈
2014-01   4327   윈도우10
2014-01   7658   2CPU최주희
2014-01   14043   이형동
2014-01   6167   미우
2014-01   13829   리베이트
2014-01   18905   대한민국
2014-01   16433   송주환
2014-01   4851   송현우
2014-01   4165   컴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