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양 같고 용량 다른 핸드폰 배터리 사용하면

미우   
   조회 6200   추천 0    

펌웨어나 충전회로 차이 등으로 인해 문제 생기는지요?

충 방전이나 동작에 문제가 생기는지

아니면 모양만 같으면 용량 더 높은거 꽂아서 그냥 쓰면 되는건지요?


? ????? ???, ??????? ???? ? ???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투시피유 2014-03
모양과 크기가 같고 v(볼트)도 같다면
용량이 크면 더 좋을텐데요
자세한 것은 잘 모르므로 다음분께..
토비 2014-03
C를 확인 하세요
     
냐옹 2014-03
무슨 말씀이신지...?
          
토비 2014-03
배터리에는 방전율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 방전율은

이 배터리는 시간에 1초에 얼마만큼의 전자를 뿜어낼수 잇습니다..

의미입니다..

아래말들을 인용하자고 하면..

거대한 수조에 수도꼭지에서 1초에 나올수있는 물의 양을 의미합니다..

수압이 같고 물의 양이 많지만..

배터리의 C(쿨롱)이 부족하여 안켜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김도경 2014-03
볼트(V)가 동일한데 용량(mA)이 클 경우, 어느정도 이상 용량이 커지면 제품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물탱크의 하단부에 수도꼭지가 달려있다고 하면 물탱크 내부의 물이 많을 수록 수압이 올라갑니다.
수압이 너무 세지면 수도꼭지에서 나오는 물의 파워가 커지겠지요.

권장용량 3V 700mA의 제품에 3V 1500mA의 배터리를 사용하면 고장 날 확률이 높습니다.
물론 어느정도 초과해도 버티게끔 설계를 하겠지만서도 제품에 지속적인 무리를 주게되는셈이니 수명이 짧아 질겁니다.
     
에스티스 2014-03
물탱크의 물이 많다고 수압이 올라가는것이 아닙니다.^^

물탱크의 수위가 높다는것은 V가 높다는 의미이고, 용량이 크다는 얘기는 수위가 높다는 의미가 아니라 물탱크가 옆으로 크다는 얘기입니다. 수위가 똑같은 1m라면 1L든 10000L든 수압은 같습니다.

리폴 3Ah 사용하는 휴대폰에 20Ah 전지 물린다고 절대로 고장나지 않습니다. 충전하는데 속터질뿐...
에스티스 2014-03
전혀 상관 없습니다.
기기는 자기가 필요한 만큼만을 가져다 쓰게됩니다.
물론, 대전력이 필요한 기기들은(모터류, 전열기 등등) 배터리 출력량이 순간적인 모터출력을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는데, 이때 순간적인 전압강하로 셀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만, 이런경우가 아니라면 문제되는 경우는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기기 자체에 전원부를 가지고 있고, 배터리 자체에도 PCM이 달려있습니다.
냐옹 2014-03
많은 답변에 먼저 감사드립니다. 헌데...
제가 이해하기 힘들게 적은 듯 싶네요.
기본 작동을 하느냐 아니냐의 문제를 질문 드린게 아니구요.
완충이 안된다거나, 다 소모하지 못하고 전원 부족으로 인식한다거나 하는 등의 문제에 대한 질문입니다.
이런 경우는 용량이 큰걸 쓰나 작은걸 쓰나 결국 그게 그거니까요.
예전 특정 모바일 기기(리튬이온 쓰는 팜탑 노트북류)에서 겪어본 부분이긴 한데
핸드폰에서는 어떤지 몰라서 질문 드린겁니다.
기종 마다 다를 수 있을 것 같기도 하고...
정의석 2014-03
대부분의 핸드폰 배터리에는 적정한 충전을 할 수 있도록 보호회로가 붙어 있습니다. 그래서 핸드폰 없이 배터리만 충전을 해도 문제가 없는것입니다. 예를들어 편의점에 있는 배터리 충전기 같은 경우가 그런 경우 입니다.
그 충전기가 모든 핸드폰에 대한 충전 Profile을 가지고 있지는 않겠죠...
그리고 예전에는 핸드폰에 소용량, 대용량 배터리로 제공되는 경우도 있었잖아요.
핸드폰에서 배터리의 용량이 달라졌다는것을 감지해서 사용중지 시키지만 않는다면 문제는 없을것 같습니다.

참고로,,, 전 얼마전 인터넷에서 아이폰5용 고용량 배터리를 구매 했습니다. 하지만 설치해서 확인해 보니 용량은 기존 배터리와 같게 나오더라고요. 그 판매자의 답변은 배터리 자체는 고용량이 맞지만, 아이폰5에서는 정품 배터리의 용량을 초과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인식하지 못한다... 뭐 이런 답변이었습니다.(영어로 질문을 하고 영어로 답변을 받아서 정확하지 않은점 참고하세요.)
     
냐옹 2014-03
말씀하신 그런 부분에 대한 질문입니다.
핸드폰 이외의 기기에서 이게 문제없는 녀석이 있고
말씀처럼 완충이 안되거나 별도 충전기로 충전해서 장착해도 용량을 남기고 꺼져버리는 기기도 경험했었거든요.
정확히 아시는 분은 없는 것 같고 구입해서 써봐야 알겠네요.
          
정의석 2014-03
혹시 그 제품에는 배터리에 보호회로같은게 없는 제품이 아니었을까요?
예전(한 20여년전쯤...) Ni-Cd 배터리 같은 경우에는 배터리에 보호회로가 없고 충전기에 보호회로가 있었습니다.
충전기도 저가형 충전기에는 없고 좀 비싼 제품에만 보호회로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그 당시에는 배터리 몇개 꽂았을 때 충전은 몇시간정도 한다... 라는게 있었습니다.
               
에스티스 2014-03
안타깝지만 아이폰5 고용량 배터리는 사기입니다... 100% 사기입니다.
실리콘결정형 배터리나 차세대 셀이 차후에 나오겠지만 현재 리튬코발트산화물(리튬폴리머) 전지에서 같은 단위면적에 2배 에너지를 가진다면 그건 혁명입니다. 2배가 아니라, 50%정도만 늘려도 혁명이죠.....

오히려 Fcc나 KC 인증을 받지 못한 중국산 배터리가 굉장히 위험할 수 있습니다. Beawre iphone high capactiy battery로 검색해보시면 많은 자료들이 있습니다...
어린왕자 2014-03
배터리에서 중요한 것은 총 용량이 아닙니다.
전압과 시간당 공급 가능 전류(보통 mAh로 표기) 입니다.
Wh로 표기된 값이 높으면 작은 것보다 오랜시간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mAh 값이 기기의 용량보다 작으면 전압강하 등이 일어나 전원 부족으로 인식 합니다.

즉 전압이 같고
시간당 공급가능 최소 전류가 원래의 배터리 보다 같거나 높으면 사용이 가능합니다.
에스티스 2014-03
모바일 기기에서 배터리 부족에 대한 인식을 프로파일 기준으로 한다면 큰 배터리 달아도 다 못쓸 수 있습니다.
이부분은 테스트를 진행해봐야 알 수 있을듯 합니다.^^


QnA
제목Page 3258/5725
2015-12   1765589   백메가
2014-05   5240177   정은준1
2014-03   6842   커피
2014-03   4235  
2014-03   4025   딸기대장
2014-03   5009   케이스
2014-03   6201   미우
2014-03   5120   최수호입니다
2014-03   3801   가빠로구나
2014-03   4695   김상민
2014-03   6025   김상민
2014-03   5561   블랙칼라워커
2014-03   8788   햇살의기억
2014-03   3996   가빠로구나
2014-03   4691   김준유
2014-03   3877   송민철
2014-03   3855   istree
2014-03   18539   최희
2014-03   9290   대한민국
2014-03   9766   윈도우10
2014-03   4149   굴다리교
2014-03   3989   두리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