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에 있는 3개의 랜카드로 각각 접속하면 효율이 얼마나 되나요?

깽쟈   
   조회 6096   추천 0    

메인 스토리지에 인텔 랜카드 1장이 꽂혀져 있고, 메인보드 내장 인텔 듀얼 랜이 있습니다. (티밍은 안되는 듯)

차례대로

192.168.0.101
192.168.0.102
192.168.0.103

이렇게 IP를 지정하고,

스토리지의 AAA라는 공유폴더를 각각의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지정할 때,

네트워크 주소를 분산하여 설정하면 효과가 있나요?

분산 인원은 101에 25명, 102에 10명, 103에 10명...

네트워크는 모두 기가비트이고, 스토리지는 HDD 6개가 레이드 10으로 묶여있습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분산하여 접속이 가능하다면 각 포트별 전송률로 갑니다.
그대신 하드의 읽기및기타 내용들이 많이 사용되지요.
     
깽쟈 2014-05
네트워크 효율은 높아진다는 것이겠군요. 감사합니다.
김문형 2014-05
아이피 대역이 글쎄요. 혹시 상단에 IP시간 쓰신다면 저리 연결 했을 경우
이런 메세지를 보실 수 있지 않을 까요?
"네트워크에 같은 이름을 가진....."
메인보드 듀얼 NIC 하고 스토리지에 인텔 NIC 있다 하셨는데요.
이 말은 스토리지와 시스템이 분리 되어 있다는 이야기 이신게 아닌지요?
한 시스템에 있는것 이라면 드라이버를 인텔에서 집접 받아 업데이트 해보시면 티밍 되지 않을까요?
물론 짧은 식견의 극히 짧은 지식 이었습니다.
     
깽쟈 2014-05
비전공자이고 관련 지식이 부족하니 질문한다고 올린 글조차 설명이 부족함을 느낍니다. 하나의 서버 시스템을 구비했고, 그 안에 레이드카드를 이용하여 HDD를 연결했는데, 주 사용용도가 파일공유뿐이다보니 그 서버를 스토리지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메인보드는 인텔 S1200BT를 사용하고 있는데, 기본적으로 NIC가 2개 있습니다.

사장님께서 구매를 하신 것인데... 당시 그래도 별도 NIC가 있으면 더 안정적이지 않을까 싶어서 장착했습니다. 결국 이 서버의 NIC는 총 3개입니다.

메인보드 내장 듀얼 랜은 티밍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만 자세히 확인해보지는 않았습니다. 내장 듀얼랜의 모델명은 Intel 82574L + 82579LM이고, 추가한 확장 NIC는 Intel PRO/1000 GT 입니다.

다음 질문에서 하려고 하긴 했지만 티밍 vs NIC별 분산 접속 vs SMB3.0 중 어떤 것이 좋은가에 대해서 아직도 공부중이고 고민중입니다.
          
김문형 2014-06
옙 무슨 이야기 이신지 알겠습니다.
결론은 서버가 1대 이며 NIC 가 내장 2EA 별도 추가 장착 1EA 인겁니다.
저도 네트웍 전문가가 아니라서 잘 모릅니다만. 제가 우려한 내용은 이러합니다.
상위에 192.168.0.1 혹은 192.168.0.254 로 잡혀 있는 GateWay 에서 장비가 IPTIME 이라면 말입니다.
3개의 NIC 연결시 바로 네트웍에 같은 이름을 가진 ... 이런 메시지와 함께 제대로 사용이 불가능 하다는 이야기
입니다.
이것은 단순 IP공유기가 있을때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이때는 무조건 티밍 하셔야 할 겁니다.
그렇지 않고 전문 네트웍 장비가 있고 관리자가 있다면 Address 분활이 가능 하실 겁니다.
그것 보다는 말입니다. 현재 한대의 서버(스토리지 서버)에서 지원 가능한 IO(스토리지 쪽 말입니다.)가 먼저
점검 되어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
말 그대로 화일 복사등으로 인해 화일을 동시에 끌어 왔을때 네트웍의 대역폭(Max and Avreage)에 걸리는지
아니면 디스크 IO 에 걸리는지 확인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예시와 같이 25+10+10 명만 되도 45명 이고 네트웍의 대역폭에 걸리기도 전에 DISK 혹은 Raid 대역폭에 걸릴 것 같습니다.
피크타임때 서버의 네트웍 사용율을 확인 해 보시고요 어차피 네트웍 대역폭이 올라가도 DISK IO가 안 따라오면 소용 없습니다.
Raid 10 이라고는 하나 결국 3개를 Raid 0 으로 묶은건데 DISK 쪽에 더 걸릴것 같습니다만.
결국 피크 타임때 네트웍 사용율 보시고요 모자르면 티밍 걸어 보시고 그 상태에서 디스크 IO 올라가는것 보신다음에 어찌 할찌 결 정 하시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깽쟈 2014-06
요즘 조금 바빠서 답변 내용을 이제야 확인했습니다. 짚어주신 내용이 모두 정확하게 맞습니다. 단순 IP 채널 분산은 공유기 때문에 안되는 것이군요. 공유기가 mac으로 nic를 분류하니까 문제없이 분할이 될 줄 알았는데, 안되나 보군요. 하지만, 서버의 리소스 모니터를 보면 각 nic 별로 그래프의 움직임이 다른던데, 그렇다면 분할이 정상적으로 되는 것은 아닌지... 어떤 것이 맞는지 모르겠군요. 뭐, 어차피 디스크 IO의 병목은 확실합니다만...


QnA
제목Page 3177/5725
2014-05   5243284   정은준1
2015-12   1768587   백메가
2014-05   4731   뮤노
2014-05   7308   윈도우10
2014-05   7996   오준호5
2014-05   6426   분당김동수
2014-05   4765   김정현B
2014-05   10434   가빠로구나
2014-05   8631   VSPress
2014-05   10436   블루영상
2014-05   6543   일반유저
2014-05   4724   방o효o문
2014-05   7460   해피버그
2014-05   6097   깽쟈
2014-05   4006  
2014-05   8285   잉여
2014-05   13546   짤리쌤
2014-05   5710  
2014-05   6505   Geil
2014-05   4366  
2014-05   6146   씨형
2014-05   4793   이재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