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실험을 주로 하다가 갑자기 해석을 해야하는데, 아는 것이 많이 없어 고민하다가 질문을 드립니다.
사용하는 프로그램은 ansys로 구조를 기반으로 전기-열해석을 하게 될 것 같습니다.
현재는 구조해석만을 하고 있는데,
i5-2세대, 2기가+2기가+4기가(옆컴퓨터것 가져다가 그냥 쓰는 중) 메모리로 해석해보니, 20시간 정도 소요되고 있습니다.
너무 시간이 오려걸려서 컴퓨터를 새로 구매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해석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사양 추천부탁드립니다.(200만원 이하)
(나름대로 공부한다고했지만,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제가 이런 쪽에는 잘 알지 못합니다.
그래서, 아래 질문이 초보 질문이라 하더라도 이해 부탁드립니다.)
1. 제온 E5-2609v2+x79(소켓2011)+쿼드채널(메모리 4개를 동시에 사용한다는 뜻이 맞지요?)를 사용하는게 좋을까요?
아님 i7-4세대 4790K+z97(소켓1150)+듀얼채널 조합을 써야할까요?
아니면 다른 조합이 나을까요?
해석은 무조건 제온이라고 생각했는데, 아래 글을 보니, 단일 코어의 클럭수 높은 게 좋다는 글이 있어서 여쭈어봅니다.
2. 그래픽 카드와 SSD의 영향은 큰가요?
밑에 다른 글을 보니 그래픽 카드는 별로 의미가 없으니, 중급 정도만 써도 된다는 글이 있더군요.
여기서 말하는 것이 쿼드로 수준인지는 모르겠지만, 여하튼, 많은 차이를 생산하지는 않는지요?
SSD는 초기 로딩에만 영향을 미치는 게 아닌지요? 아니면 해석 전체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인지요?
금액이 많다면 다른 분들이 말씀하시는 T7600이나 이런 좋은 컴퓨터를 사면 좋겠지만,
제가 가용할 수 있는 금액은 200만원 이하입니다.
너무 작은 금액이라고 욕하지는 마시고, 아둥바둥 이 금액으로 최선의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조언 부탁드립니다.
다만 저도 회사에서 해석 일을 하는 사람이라 몇가지 경험적으로만 설명 드리겠습니다
이전에 해석 시간 테스트 하면서 일반 HDD 부터 SSD 그리고 뭐 PCI-E 슬롯에 꼽는 SSD 연합물건? 인가
하여간 일반 SSD 4배 속도 나는거 써본 바로는 SSD 는 별 영향이 없었습니다
그래픽 카드는 쿼드로 K6000 까지 해스트 해봤는데
제가 사용하는 SW 가 Full 3D 해석 할 경우는 GPU 까지 끌어쓰는지라 덕을 좀 봤으나
2D 유동 해석시에는 별 영향이 없었습니다
ANSYS 가 어떠한 상황의 해석진원을 하는지는 모르겠으나
제가 사용하는 SW 경우는 2D 해석시 단일 코어, 3D 해석시 멀티코어의 사용이 가능하여서 제온 덕을 많이 봅니다
물론 단일 코어만 쓰는 해석도 많아서 CPU는 좋은거 쓰고 있습니다
200만원 기준에 어떠한 장비를 맞추는게 좋은지는 장비쪽은 잘 몰라서 말씀드리기가 어렵네요 ㅎ
점점...제온 쪽으로 기우네요.
감사합니다.
2. CPU는 E5 v2 E5-1600 계열이나 E3 4C/8T로.
200만원 정도면 E5 고성능 CPU 1개 가격입니다.
E5-1600은 듀얼 CPU는 안되지만 1개의 CPU 클럭이 아주 많이 높습니다.
HP Z220이나 Z230에 높은 클럭의 E3를 끼우고 (장터에 가끔 나옵니다)
램을 32GB로 풀뱅크 합니다.
E3는 32GB 이상은 안됩니다.
신품은 정은준 대장에게, 중고품은 김은경님에게 문의하심 됩니다.
디스크 많이 안끼우면 SFF로도 충분합니다.
델의 경우는 T110을 베이스로 하시면 됩니다.
구매하는 것은 정은준 대장에게 문의하심 됩니다.
http://www.gmbservice.co.kr/shop/goods/goods_view.php?&goodsno=2231&category=001004
ansys 같은 것은 중간에 disk write가 많기 때문에, SSD를 무조건 써야 합니다.
요즘은 512GB SSD도 별로 안비쌉니다.
중고로 그냥 해도 되면, 장터에 나오는 이완재님의 Z620이나 z820 하셔도 되고
제가 아주 가끔 방출하는 (테스트 해보고 용도에 맞지 않아서) 장비도 좋습니다.
모두 다 빵빵한 성능들 입니다.
소음 때문에 HP z420을 방출하려고 생각중인데 시기는 미정입니다.
그런데, 시중에 나와있는 (그리고 링크 올려주신 것도) 것들은 대부분 램이 4GB에
메인보드 칩셋은 c602로 되어 있네요.
제가 잘 몰라서 그런가, 메인보드 칩셋을 x79로 생각하고 있었는데... 그런 것은 안 되나요?
메모리도 일반 사용하는 메모리 사용하면 안 될 것 같은데...
어렵군요.. ㅜㅜ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ansys공식 메뉴얼의 하드웨어 선정부분에서 디스크 I/O내용에 "RAID를 써서 I/O성능 향상"문구가 있습니다. 요즘 500MB/s나오는 일반 SSD용량 큰 거 다시면 충분할 것 같고요
메모리도 문구중에 "낮은 CPU 성능 + 큰 메모리용량 세트가 높은 CPU 성능 + 적은 메모리용량보다 해석이 빠르다"라는 문구도 있듯이 메모리는 예산되는대로 CPU가 허용하는 최대치까지 빵빵하게 채우면 되겠습니다. 제온 E3는 32기가까지고 E5-16x0 나 E5-16x0 v2가 256기가까지 지원됩니다. 추천으로는 E5-1620 v2나 1650 v2 달면 같은 램에 시간이 적어도 반에서 1/3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네요. 더군다나 E5시리즈는 메모리채널이 4채널이라 대역폭이 현재 쓰시는 것보다 따불입니다.
종합하면 코어수 많은 E5-1650 v2에 램 한 64기가쯤 달면 되지 않을까요? 그래도 몇 시간 걸리면 200만원 제한사항에서는 화끈하게 128기가까지 달아버리는 방법도 있을 것 같은데 이러면 메모리값만 100만원이 넘겠군요..
말씀하신 e5-16x0 v2는 어디서 구매해야 하는지요?
카드만 사용가능한데, 다나와 리스트에는 나오지도 않네요.
혹시 e5-2603/2620 v2도 괜찮을까요?
대응되는 메모리는 삼성 12800 ECC가 좋을까요? 아니면 G.skill 14900/17000 쓰는 것일 나을까요?
점점 궁금한게 많아지네요. 여하튼, 감사합니다.
싱글에 64G를 지원하게 해주다뇨... 의리의 인텔 !!
" 그...삼성컴퓨터 좋다고 하던데...." 하면....그냥 멘탈이 싱크홀로 빠집니다..
그래도 어렵네요. E5-1600은 리스트에도 없고, c602 칩셋 마더보드들은 가격이 거의 후덜덜하고...
아무래도 제온은 가야하니, e5-1600 좀더 알아보다 안 되면, 그냥 e3-1275v3로 가는 것이 낫겠지요?
답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