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82811 |
25 |
2015-12
1782811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57998 |
0 |
2014-05
5257998
1 정은준1
|
52720 |
아래 DDos 찍히는 도메인 입니다... (4) |
윈도우10 |
2014-08 |
5185 |
0 |
2014-08
5185
1 윈도우10
|
52719 |
DDos 공격... (8) |
윈도우10 |
2014-08 |
5813 |
0 |
2014-08
5813
1 윈도우10
|
52718 |
남는 atx케이스를 활용해서 das를 만들려고합니다. (19) |
장동건2014 |
2014-08 |
6618 |
0 |
2014-08
6618
1 장동건2014
|
52717 |
중국에서 언락폰 사려면 뭘 사야하나요? (16) |
회원K |
2014-08 |
8433 |
0 |
2014-08
8433
1 회원K
|
52716 |
비컴) 이거 이름 아시는분? (4) |
Nikon |
2014-08 |
3947 |
0 |
2014-08
3947
1 Nikon
|
52715 |
PC2-4200F소켓에 PC2-5300F?이 호환될까요? (13) |
KMG5586 |
2014-08 |
4025 |
0 |
2014-08
4025
1 KMG5586
|
52714 |
64bit OS의 32bit 소프트웨어. (6) |
머라카는데 |
2014-08 |
6185 |
0 |
2014-08
6185
1 머라카는데
|
52713 |
모델링용 컴퓨터 문의... (11) |
삐돌이슬픔이 |
2014-08 |
6490 |
0 |
2014-08
6490
1 삐돌이슬픔이
|
52712 |
Dell T420 드라이브 깜박임문 삼성으로 교체했습니다. (5) |
테돌아이 |
2014-08 |
3968 |
0 |
2014-08
3968
1 테돌아이
|
52711 |
네트워크 스위치 마비 현상 (9) |
김윤술 |
2014-08 |
7248 |
0 |
2014-08
7248
1 김윤술
|
52710 |
[질문]인텔 셀러론 G1630와 기가바이트 H61M-S2V 모델이 호환 되나요? (5) |
김승연 |
2014-08 |
3933 |
0 |
2014-08
3933
1 김승연
|
52709 |
가상화가 뭔가요? (14) |
라온제나 |
2014-08 |
4818 |
0 |
2014-08
4818
1 라온제나
|
52708 |
ipTIME N604R 파일 업로드에 관련하여 (7) |
테돌아이 |
2014-08 |
4548 |
0 |
2014-08
4548
1 테돌아이
|
52707 |
외부에서 공유기를 거쳐 RDP 를 쓸려고하면,, 방법이 있을까요? (6) |
나비z |
2014-08 |
4745 |
0 |
2014-08
4745
1 나비z
|
52706 |
이것 좀 설명해 주실분 있나요? (3) |
신현준 |
2014-08 |
1958 |
0 |
2014-08
1958
1 신현준
|
52705 |
(사진첨부) 이것 좀 설명해 주실분 있나요? |
삐돌이슬픔이 |
2014-08 |
3614 |
0 |
2014-08
3614
1 삐돌이슬픔이
|
52704 |
1마력 저소음 콤프레샤 아파트에서 사용 가능할까요.? (7) |
김제연 |
2014-08 |
8980 |
0 |
2014-08
8980
1 김제연
|
52703 |
L5420 + G45에 HYPER-V사용 불가능한가요? (7) |
김민철GC |
2014-08 |
5632 |
0 |
2014-08
5632
1 김민철GC
|
52702 |
삼각형....... 도움을...... (8) |
백남억 |
2014-08 |
5468 |
0 |
2014-08
5468
1 백남억
|
52701 |
타오바오에서 메인보드 구매.. 괜찮을까요? (2) |
blackra1n |
2014-08 |
5157 |
0 |
2014-08
5157
1 blackra1n
|
개별적으로 테스트를 해봐야지만.....
만약 PC에서 많은 응용프로그램들을 한번에 쓰지 않으시고 혹은 큰 용량의 데이터 파일에 작업하지 않으신다면 그냥 32 비트 컴퓨터에 머무르시는것도 아무 문제가 없을 것입니다.
64비트 OS로 가시게되면 오히려 새로운 문제를 만들 수 있습니다. (긁어서 부스럼...) 하지만 이제 거의 필요에 의해서 64비트로 가야 하는 경우가 허다하다보니까요.. 아시다시피 64비트 OS에서는 더 많은 물리적 메모리를 쓸 수 있습니다. 그렇기때문에 더 많은 프로그램들이 한번에 돌아가고 있어도 모두 메모리에 잘 올라가 있기때문에 버벅임이 없을것 입니다. 문제로는 64비트 OS에서 32비트 소프트웨어가 돌아갈 수 있도록 OS내에 잘 연결을 해주는 라이브러리가 있습니다만 그것이 100% 완벽하지는 않은것 같습니다. 32비트 OS에서 돌아가는것에 비해서 가끔 충돌이나 다른 문제가 생기는것을 경험했습니다. 하지만 다른 많은 이유들 때문에 64비트를 선호합니다.. 특히 저처럼 한번에 많은 윈도우에서 작업을 하시는 분들... 그리고 아주 큰데이터파일 작업을 하시는분들... 그런경우에는 필수입니다.. 그뿐아니라 64비트 소프트웨어들은 64비트 프로세서의 넓은 비트레지스터를 활용하여 32비트 프로세서보다 더 효율적인 연산을 할 수 있습니다.
물론 64bits OS의 장점은 하나도 못살리는 건 변함 없지만..
일단 다른 dll 이나 device를 필요로 하는 32bits 응용프로그램은 64bits OS 에서 불안정해질 확률이 매우 높아집니다.
아무리 64비트 OS라고 하지만 32비트 프로그램은 2G 까지만 메모리를 사용하게 됩니다. 만약 메모리 가비지 정리나 리사이클이 되는 기능이 없다면 1.8G쯤에서 프로세스가 죽어버리게 되는게 정상적인 패턴입니다.
OS 입장에서 또다른 큰 변화가 있었던게 다국어 지원이 멀티바이트에서 유니코드로 전환된 부분이 있습니다.
요 부분 문제 때문에 Win32의 함수를 호출할때 어디선 되고 어디선 안되는 문제가 발생했던 기억이 납니다.
Findwindow 함수 같은 것도 그렇고 많은 함수에서 이 부분을 잘 대응해주지 않으면 32비트에선 잘되는데 64비트에선 안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