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d 선택..

   조회 5247   추천 1    

질게에 자주 올라오는 질문인데...

제가 개념을 잘 모르기보다는 선택을 어찌해야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일단 하드는 7.2K, 2TB 4개.

레이드카드는 p420 2GB FBWC

고려중인 레이드레벨은 레이드 5,6,10 입니다.


1. 레이드 10

-P420 캐쉬가 아깝더군요...


2. 레이드 5

-안정성이 떨어진다는데...


3. 레이드 6

-레이드10은 상황에 따라 2개까지 고장나도 복구 가능하지만, 레이드6는 아무 하드 2개까지 고장나도 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현 상황에서 레이드5 또는 10을 선택해야겠지요..?

퍼포먼스 - 레이드5

안정성 - 레이드6, 10

종합 - 레이드6

라고 보아야할까요?


속도만 놓고 보면 어떤 레벨이 제일 빠를지 잘 모르겠습니다.

레이드에 대한 개념은 나와도 대략적인 레이드 레벨별 이론속도를 잘 모르겠어요..

220CB741525292A802CC96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저라면 무조건 RAID10 입니다...
속도가 별로 상관 없다하면... RAIDZ2 로...  똑같이 2개까지 꽝나도 되지만... RaidZ2는 네개중 아무거나 두개가 망가져도 데이터는 팔팔한거죠...
raid10으로 가세요...

요즘엔 제가 data clustering 을 공부중에 있는데요... 이것이 더 맞는 솔루션인것 같습니다... raid없이...

아 그리고 레이드카드요? 방출하세요.. ㅎㅎ
     
빠시온 2014-10
안 팔릴걸요..흐흐...

역시 레이드10이 대세군요.
디스크만 많으면 60도 고려해볼텐데.
          
노레이드가 대세라니까요~
레이드의 시대는 20년전에 끝났습니다~
          
미우 2014-10
2012 R2에서 기존 0, 1, 5 외에 6도 지원(성능은 별도 캐시 안쓰면 최신 하드웨어하고 좀 많이 차이납니다, 캐시 쓰면 랜덤은 비슷한 수준까지 올라오고요)하고 2way 미러(3중 백업)도 지원합니다.
소프트웨어 제품 중엔 원래 더 많은 변종들 지원하는 놈도 있고요.
결국 가용성과 관리의 문제고 제조사들도 새 로직 테스트는 소프트웨어로 만들어 합니다.
뭐 이게 제가 어뎁터 버리고 소프트웨어 제품 쓰게된 이유지만...
요샌 전체 데이터가 살아있어야하는게 아니거나 별도 클러스터로 백업이 있다면,
여러 방법으로 성능 올릴 수 있어 안묶고 쓰는 것도 나쁘지 않고요.
주호 2014-10
속도하고 안정성이면 RAID 10 이죠.
     
빠시온 2014-10
같은상황(디스크4개)에서 레이드 5,6,10 속도를 비교하면 얼마나 차이가 나나요?
          
레이드10은 레이드0이랑 속도가 같은걸로 알고 있습니다... (같지 않다면 비슷 또는 적어도 read는 같을것이라 추측... )
하지만 6은 무지하게 느릴수 있습니다...
5는 조금 느리고요...

그러나!!!  요즘은 하드 속도가 너무 좋아서... 병목현상이 어디선가 다른곳에 있습니다... 저도 직접 테스트를 해본결과... raidz 와 raidz2 속도 테스트를 해보니 mirror와 거의 속도가 같았습니다...
               
빠시온 2014-10
레이드 10이 레이드 0과 1을 섞은것이라 레이드0의 속도가 그대로는 못나오지 않나요?
예를 들어 4개의 디스크를 레이드1으로 사용하면 거의 단일디스크에 비해서 2.5~3.5배의 성능이 나오지만

레이드10으로 사용하면 2개씩 레이드1로 묶고 그것을 레이드0으로 거는 것이라
디스크 2개를 레이드0으로 묶은 것과 속도가 비슷하지 않으려나요?
                    
http://www.raid10faq.com/raid10-raid0.aspx

raid10 이 더 빠릅니다... 특히 read의 경우... 그리고 특히 한번에 여럿의 read request 가 있을경우...
                    
raid 의 용도가 왜 끝나 버렸는지... 인터넷에 한번 찾아보세요... 빠시온님은 충분히 인지하실것입니다.
저도 실전에서 격어보지를 못해서 그냥 이론적으로만 읽고 이해하려고 하는데요... 쉽지는 않네요...
아주 복잡한 수학 (probability)과 컴퓨터과학의 이론으로 설명된 논문들이 많습니다... 그리고 사실상 빅데이터를 관리하는 1st world에서는 레이드를 쓰지 않는다고 합니다...
                         
빠시온 2014-10
눈여겨보아야할 것 같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주호 2014-10
이론상 RAID 속도 계산해주는 사이트입니다.
http://wintelguy.com/raidperf.pl
               
빠시온 2014-10
헐. 즐겨찾기 해놓아야겠네요.

너무 감사합니다.
우앙뿌앙 2014-10
7.2K 디스크면

5, 6 둘다 드려요

그리고 6같은 경우는 P420 라이센스가 필요 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냥 현재 상황에서는 10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생각 됩니다.
     
김황중 2014-10
전 그렇게 느리다고 생각 않하는데......

레이드 5 사용중이고
p 420i에 2기가 캐시로 동작되고 있고요.

저의 경운 실제 데이타 c드라이브에서 D드라이브로 복사해보면  초당 120~250Mb/s 정도 나와요.....^^;;

아마 제 생각엔 레이드 모드에서 느려진것을 캐시로 잡아준듯 합니다.
146Gb 15K 5+1 레이드 5로 묶여 있고요.
          
우앙뿌앙 2014-10
전송속도가 전부가 아닙니다.

실제로 서버구성해서 그 서버로 하루죙일 C<>D 복사만 하는용도가 아닐텐데요.

SSD 가 빠른이유가 엑세스타임 때문인데

파일 복사가 아닌 단순 읽기, 쓰기 작업이 많은 환경에서는 2GB 캐시도 부족합니다.
               
맞는 말씀이십니다...

예를 들어 RAID0가 아무리 전송속도가 빨라도 Access Time 이나  Seek 타임같은경우에는 전혀 빨라질수가 없기때문에 많은 random I/O가 있게 되면 속도향상은 사실상 없는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오히려 더느려질수 있다하더군요...
김황중 2014-10
레이드가 속도 빨라도......
머신의 용도에 따라 체감은 달라진다고 생각합니다.

파일 서버로 ftp에서 파일을 주로 보내주는 역활만 한다면?
웹서버라면?
디비서버라면.......

디폴트는 없어요.

자신에게 가장 맞게 셋팅해서 사용하는것이 제일 현명한 판단입니다.
     
빠시온 2014-10
용도는 LACP로 랜 4개 묶어서 4G 대역폭에서 내부망전송에 사용할듯합니다..
박문형 2014-10
RAID 5/6의 퍼포먼스는 레이드 카드 따라 다릅니다.

제조자가 어떤 방식으로 하드를 묶었느냐 , 어떻게 캐슁을 하였느냐 등등에 따라서

퍼포먼스가 차이 납니다.

(묶는 방법은 제조사 만의 기밀입니다.)
     
빠시온 2014-10
에이..

직접 해봐야곘네요..
감사합니다 :)
박문형 2014-10
http://www.accusys.com.tw/products/storage/a08s3-ps-new/overview.html

보통 레이드 제조회사에서는 퍼포먼스 이야기는 잘 안합니다.

퍼포먼스 숫자만으로 비교하면 아마도 미친(?)숫자가 될 지도 모릅니다.

자신이 있으니까 퍼포먼스 이야기를 꺼낸 것이죠.
     
허접때기 2014-10
항상 좋은 정보 감사....
님 덕분에 많이 배웁니다.
안정성과 속도를 중시하고 디스크를 많이 달 수 있다면...
개인적으로는 zfs 로 3-mirror stripe 를 하는게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디스크 4개로 하려면...레이드 5 또는 10 이 낫습니다. 6은 디스크 4개로는 너무 느려요.
아...그리고 P420 에서 레이드 6 쓰러면 별도 라이센스가 있어야합니다.
디스크가 적으면 레이드 5도 쓸만하지만 디스크 많아 지면 안정성 하락도 엄청 커집니다.

예전에 델에서 테스트 된 자료를 보면

레이드 5는 디스크 3~4개 일 경우 가장 이상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디스크 수가 증가하면
안정성이 레이드 0과 비슷해 지다가 컨트롤러와 디스템에 따라 다르지만 디스크 수가 일정 이상(대략 8개 정도)
되면 안정성이 레이드 0보다 오히려 떨어집니다.

가장큰 이유는 레이드 5나 6의 경우 패리티 연산과 기록을 하게 되어서 같은 용량의 데이터를 읽고 써도
레이드 0에 비해서 더 많은 디스크 엑세스가 필요 하고

배드 섹터나 기타 하드웨어 문제가 발생시 
레이드 0의 경우는 보통 기록하던 부분 혹은 문제가 생긴 부분에만 문제가 생길때
레이드 5는 데이터가 광범위하게 오염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밴더 스토리지 제품을 구매할때 레이드 5 옵션으로 구매할 경우 프로나 크리티컬 서포트는
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퀄로직 같은 경우는 사용자가 직접 구성할 수는 있지만 구매시에 셋팅은 안해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EMC 기준을 설명드리면(VNX.... 미들레인지)
 RAID5에 권장은 4+1입니다(타 회사도 이렇게 많이 합니다.)
단 RAID5에 최대 8개까지만 구성합니다. 많아 질수록 패리티연장에 오류가 발생가 할수있습니다.
디스크에 수량에 딸라서 유동적으로 사용합니다.
RAID6는 권장은 6개(4+2) 또는 8개(6+2) 최대 16개까지만 구성하도록 되어있습니다. 단 신모델에 변경으 모르겠습니다.
RAID 6보다 5는 같은 디스크 수량일 경우 IOPS가 2배 빠릅니다.

저라면 RAID0에 백업은 적당한 구성방법이 아닙니다. 백업은 별로 구성하는게 맞지만 RAID와는 별개로 생각하여 구성하시는게 맞습니다.
관리 하는 사람이 문제지 RAID5도 굉장히 안정적인 구성입니다.


QnA
제목Page 3054/5730
2014-05   5265648   정은준1
2015-12   1790640   백메가
2014-10   4082   테돌아이
2014-10   9153   박상범
2014-10   5079   백남억
2014-10   4130   트루
2014-10   5666   민성일
2014-10   10560   이창준
2014-10   32905   dotlee
2014-10   3964   hapoom
2014-10   4609   서울사람
2014-10   5390   유재건
2014-10   5248   빠시온
2014-10   5279   김건우
2014-10   4055   그사람
2014-10   3930   송진현
2014-10   10738   라온제나
2014-10   5515   김건우
2014-10   3862   병맛폰
2014-10   4087   inquisitive
2014-10   4177   나파이강승훈
2014-10   4145   대한민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