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C에 관하여 문의드립니다.

이희주   
   조회 4294   추천 0    

올해 이과 고3되는 학생입니다.

더 어렸을때 부터 하고 싶은게 너무 많았는게 그중 하나가 설비업이었습니다.

설비업 분야에서도 물과 전기가 들락날락하는 에너지플랜트설비에 대해 관심이 많았는데

요즘에는 전기가 들락날락하는 IDC설비에도 눈이갑니다. 에너지 플랜트설비와 IDC설비 두 분야 간에 공통점이 있으리라 생각되는데


에너지플랜트설비를 배우기 위해서는 검색을통하거나 주변 분을 통해서도 어느정도 진로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 할 수도 있지만

IDC분야는 생소한 편이라 2cpu 회원님들께 IDC설비 분야에 대한 지식을 쌓고 궁금증을 해결하고자 질문합니다.

IDC설비에 관한 부분을 배우기 위해서는 공과대학 중 어느 과를 가야할지 정확히 감히 잡히질 않습니다.

전기과도 있고 전자과도 있고... IDC설비업에 그치지 않고 미래에는 IDC센터를 구축하고 창업을 하려하는데 

어디서 부터 시작하는게 좋을까요??



IDC설비업을 배우기 위해서는 현재 고3인 제가 어떤 루트를 밟아야 할지 도움되는 답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15-02
공대 어디를 가도 됩니다만

수학을 무지 잘해야 합니다.

기계과쪽부터 밟는게 좋을 듯합니다.

열역학,수치해석 등등

IDC 글쎄요 전 그리 미래가 밝다라고 보기는 힘들지 않을까요?

재일 편하게 하는건 돈으로 밀어 붙이는 겁니다.
디오 2015-02
idc구축은 전기보다는 오히려 영업을 잘해야 합니다.

그리고 왠만한돈으로는 힘드니 그냥 딴거 찾으세요.
못생긴애 2015-02
요즘은 소프트웨어가 좋아서, 열역학 정도는 다 풀어주지 않나요?
이희권 2015-02
기계과에서 3학년 때까지 미적분학, 공업수학, 기구설계학, 열역학, 유체역학, 수치해석, 열전달, 진동공학, 제어공학 등은 배우는데, 전기 관련 강좌는 거의 없습니다.
전자공학은 관련성 거의 없어요.
IDC 설비업이라고 하니, 기계, 컴퓨터네트워크, 전기 관련이 그나마 연관성이 있는 것 같네요.
윈도우10 2015-02
그냥 내신 챙기고, 수능 1문제라도 더 맞춰서 스카이서성한 등급 컷 안에 들생각만하는게 더 이롭습니다. 시간이..지나보면 압니다. 졸업하면 갈 수 있는 곳과 없는 곳이 극명하게 갈리기에ㅋ. 이과라 약간 다를 수도 있지만, 중경외시까지는 사실 전혀 취업때문에 걱정할 일 없습니다. 사업을 해도 더 편하게 시작하고요. 취업이 안되는 건 그 밑에 대학들 얘기라서요.
이지영 2015-02
IDC는 대부분 회선사업자들이 가지고있습니다.
일부 제외하고는 거의 SK나 KT, LG의 전유물이란거죠.
개인 창업으로 IDC는 사실 사업성이 없다고 봐야합니다.
공간 + 회선 + 전력 3가지 모두 가격경쟁력이 있게 끌어올 수 있어야하는데,
사실상 개인은 불가능하다고 봐야하죠.
ZSNET5 2015-02
왜 스스로 섶을 지고 불에 뛰어들려고 하십니까?
어차피 개인이나 개인사업자가 IDC를 만들고 운영하는건 불가능합니다.
대부분의 호스팅 사업자들도 회선사업자들이 만들어 놓은 인프라에서 일정 공간을 임대하여 운영할 뿐이지, 자체적으로 IDC(정확히는 IDC건물)을 만들지는 않습니다.
김황중 2015-02
대부분 다 부장적인 글들이 난무하여 부정하고 갑니다...^^

저도 한때는 꿈이 idc 샬립이고
지금도 idc를 짓기위해 현재 kt idc에서 전반적인 시스템을 배우고 있습니다.

물론... 개인으로 짓는다는거 다른분들 말씀처럼 힘듭니다.
뭐 한층에 한 20억쯤 예상해서
5개층 100억 예상으로 건립을 위해 자금을 모으고 있으나 죽기전에 가능할지 도전 중이고요...^^

물론... 이돈들여 지여봐야 경쟁성이 없죠..^^

하지만 저는 꿈이 idc 설립인 관계로 굳이 남을 위한 서비스도... 그렇다고 서울에다 지을 생각도 없습니다.


그저 우리나라의 한구석 무인도에다가......^^

꿈은 도전해야 결국에 뭐가 되든 된다 생각합니다.
도전하세요. 그래야 길이 보일것입니다....^^
김병철 2015-02
IDC 라는 것은 복합 산업 입니다.

건축 또는 설비 그리고 운영 주체

설비 라는 것은
전기 설비, 공조 설비, 그 외 기반 설비가 존재 합니다.

또한 법으로 반드시 지켜야만 하는 각종 설비가 존재 합니다.

연관된 사업 중 배워야 할 것은
법으로 반드시 지켜야 하는 계통을
배우셔야 합니다.

또한 시대적 요청이 무엇으로 변하는지 알아야 합니다.
그것은 법으로 강제하기 마련이기 때문입니다.

혹시 스토리 보드를 할 줄 아시면
스토리 보드 즉 거창하게 말하면 사업 계획서를 그림으로 그려 보십시요.

영업 분석 또는 계획서 그리고 스토리 보드는
무엇을 하던 그려 보시기 바랍니다.

강제하지 않는 것은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비효율이라 하는 것입니다.
도덕적으로 문제가 되더라도 법에 저촉되지 않으면..


QnA
제목Page 2908/5724
2015-12   1763248   백메가
2014-05   5237541   정은준1
2015-02   3184   나비z
2015-02   4723   테돌아이
2015-02   4354   씨형
2015-02   4767   별마루
2015-02   15039   김상민
2015-02   5881   최재원99
2015-02   4166   DaVinci
2015-02   5954   동부
2015-02   4788   TuLynn
2015-02   4295   이희주
2015-02   5639   천외천oo노…
2015-02   3087   isaiah
2015-02   13326   김한영
2015-02   4160   전설속의미…
2015-02   4448   토나르
2015-02   3086   물탄찬밥
2015-02   5315   아난케
2015-02   5307   차평석
2015-02   5004   정글탐험
2015-02   4095   삐돌이슬픔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