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76347 |
25 |
2015-12
1776347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51297 |
0 |
2014-05
5251297
1 정은준1
|
56428 |
컴퓨터에서 나는 아주 얇은 삐~~~~ 소리 (16) |
나파이강승훈 |
2015-02 |
6981 |
0 |
2015-02
6981
1 나파이강승훈
|
56427 |
[외장ODD Q] 처음보는 IDE 슬롯 타입 입니다; (3) |
Smile |
2015-02 |
4768 |
0 |
2015-02
4768
1 Smile
|
56426 |
[외장ODD Q] 처음보는 IDE 슬롯 타입 입니다; |
김황중 |
2015-02 |
4217 |
0 |
2015-02
4217
1 김황중
|
56425 |
쿨러팬 효과많이보는법좀알려주세여 (12) |
로트1 |
2015-02 |
5392 |
0 |
2015-02
5392
1 로트1
|
56424 |
[ DVD 영화 ] 를 Plex에서 구동 가능한 포멧으로 Linux에서 CLI로 변화하는 방법 문… (1) |
전설속의미… |
2015-02 |
3463 |
0 |
2015-02
3463
1 전설속의미…
|
56423 |
bios 포스팅화면관련 질문있습니다. (11) |
우승곡 |
2015-02 |
3816 |
0 |
2015-02
3816
1 우승곡
|
56422 |
만약에 파워가 부족하다면?? (8) |
순백의야수 |
2015-02 |
5348 |
0 |
2015-02
5348
1 순백의야수
|
56421 |
쿼드로 K4200 과 K5000 을 모두 사용해보신 분 계신지요? (6) |
수필처럼 |
2015-02 |
9625 |
0 |
2015-02
9625
1 수필처럼
|
56420 |
asus P5K pro에 제온 e5450 작업시 컴퓨터 다운 (5) |
v김호준v |
2015-02 |
7222 |
0 |
2015-02
7222
1 v김호준v
|
56419 |
공유기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8) |
지나가는행인 |
2015-02 |
3909 |
0 |
2015-02
3909
1 지나가는행인
|
56418 |
새 아파트 댁내 랜선으로 cat5e와 cat6 차이가 있을까요? (9) |
앵앵앵 |
2015-02 |
5094 |
0 |
2015-02
5094
1 앵앵앵
|
56417 |
아파트 단자함 질문입니다. 오랜된.... (22) |
나몰라1 |
2015-02 |
14817 |
0 |
2015-02
14817
1 나몰라1
|
56416 |
[ PANO ] 집에서 실사용으로 쓸만 할런지요 ? (3) |
전설속의미… |
2015-02 |
3818 |
0 |
2015-02
3818
1 전설속의미…
|
56415 |
P35 NEO 보드 E5450 개조제온 부팅안됨요ㅠ (6) |
순백의야수 |
2015-02 |
5050 |
0 |
2015-02
5050
1 순백의야수
|
56414 |
이보드 제온 지원하는지요. (4) |
푸른하늘아래 |
2015-02 |
3911 |
0 |
2015-02
3911
1 푸른하늘아래
|
56413 |
total host write가 뭐예요? (4) |
아름다운노을 |
2015-02 |
5414 |
0 |
2015-02
5414
1 아름다운노을
|
56412 |
앤트워크라는 모니터인데 수리해주는 데가 있을까요? (6) |
만능야매 |
2015-02 |
5710 |
0 |
2015-02
5710
1 만능야매
|
56411 |
데이타쉬트좀 찾아주세요 (6) |
보물섬 |
2015-02 |
3802 |
0 |
2015-02
3802
1 보물섬
|
56410 |
GRID K2 문의 (6) |
윈도우10 |
2015-02 |
3684 |
0 |
2015-02
3684
1 윈도우10
|
56409 |
모니터가 이런 증세면 어떤상태인가요? (5) |
방o효o문 |
2015-02 |
4120 |
0 |
2015-02
4120
1 방o효o문
|
crystal disk info를 다운받아 실행 해보니, 제 OS 설치 SSD가 150시간 나오네요.
감사합니다.
제조사와 모델에 따라 수십TB 에서 수백TB 가 넘는 것까지 다양합니다.
그리고 많이 쓸수록 속도와 성능도 점점 떨어 집니다.
HDD처럼 물리적으로 모터를 돌리지 않는 SSD는
사용시간같이 단순히 전원을 인가한 시간만으로 수명을 판단하기는 곤란하고
실질적인 수명을 알 수 있는 건, 얼마나 쓰기에 사용되었나 하는 Total Bytes Written을 보아야 합니다.
삼성 SSD Maician 의 최근 버전을 실행시키면
현재 사용중인 SSD가 얼마나 쓰기에 사용되었는지 누적된 쓰기 총량이
Total Bytes Written 으로 창 중간쯤에 바로 표시됩니다.
http://www.storagereview.com/images/homemagician.jpg
위 링크 그림 중간에 녹색으로 Good, 0.12TB 라고 쓰인 부분입니다.
예를들면, 평균 쓰기수명이 100TB인 SSD에서
3년 AS가 끝나도록 1TB밖에 사용 안했다면 그 물건은 99%의 수명이 남아 있을거고
6개월 밖에 사용 안했어도 토렌트같은 걸 많이 돌려 20TB를 사용했다면 평균 잔여수명이 80%밖에
남지 않은 물건이 됩니다. 제조사보증도 무조건 3년이 아니고 1년안에 100TB를 다 사용하고
고장이 나면 교체해주지 않으려 할 겁니다.
저는 SSD 만큼은 중고를 거의 사지 않습니다, 사용조건에 비해 정말 가격이 싸다면 모르지만
중고 판매자 대부분이 Total Bytes Written을 밝히지 않거나 밝히길 싫어하니까요
단순히 전원 넣은 시간만 가지고는 SSD 수명을 아는 데 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마치, 충전배터리의 웨어율 같은 거라고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