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49830 |
0 |
2014-05
5249830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75139 |
25 |
2015-12
1775139
1 백메가
|
56722 |
centos 6.4 버전 이관... 신규 하드 (4) |
초록아이 |
2015-03 |
4473 |
0 |
2015-03
4473
1 초록아이
|
56721 |
메인보드의 usb 과 외장 하드와의 연결 케이블 (6) |
주황별 |
2015-03 |
5533 |
0 |
2015-03
5533
1 주황별
|
56720 |
메인보드의 usb 과 외장 하드와의 연결 케이블 |
삐돌이슬픔이 |
2015-03 |
3908 |
0 |
2015-03
3908
1 삐돌이슬픔이
|
56719 |
메인보드의 usb 과 외장 하드와의 연결 케이블 (2) |
AKA지니 |
2015-03 |
5330 |
0 |
2015-03
5330
1 AKA지니
|
56718 |
컴퓨터 전력측정기 추천부탁드리겠습니다. (2) |
김승권 |
2015-03 |
4518 |
0 |
2015-03
4518
1 김승권
|
56717 |
nas4free쓰는데...이상하게 wol이 안되네요. freenas로 바꿔설치해보려니 다운로드도… (5) |
김건우 |
2015-03 |
5862 |
0 |
2015-03
5862
1 김건우
|
56716 |
서버 가격 문의 좀 드립니다 (2) |
luin |
2015-03 |
3741 |
0 |
2015-03
3741
1 luin
|
56715 |
스토리지 서버는 어떨때 사용하고 내부는 어떻게 운용되는건가요? (13) |
대한민국 |
2015-03 |
4923 |
0 |
2015-03
4923
1 대한민국
|
56714 |
3dmark11,3dmark 오류 문의드립니다. (2) |
김승권 |
2015-03 |
9684 |
0 |
2015-03
9684
1 김승권
|
56713 |
EXT4-fs error 에 대해서 조언 부탁 드립니다. (4) |
박완경 |
2015-03 |
12255 |
0 |
2015-03
12255
1 박완경
|
56712 |
e5450 장착하려는데... (5) |
퓨리다 |
2015-03 |
4013 |
0 |
2015-03
4013
1 퓨리다
|
56711 |
특정 모델의 ES CPU를 구하려면.... (4) |
AKA지니 |
2015-03 |
3967 |
0 |
2015-03
3967
1 AKA지니
|
56710 |
윈도우 서버 2008 디스크 최대 인식 몇테라? (10) |
ADUS |
2015-03 |
5939 |
0 |
2015-03
5939
1 ADUS
|
56709 |
윈도우 서버 2008 디스크 최대 인식 몇테라? |
조병철 |
2015-03 |
3655 |
0 |
2015-03
3655
1 조병철
|
56708 |
HID 발라스터 |
삐돌이슬픔이 |
2015-03 |
4981 |
0 |
2015-03
4981
1 삐돌이슬픔이
|
56707 |
Gigabite EP45-DS3 보드 개조 바이오스 부탁드립니다. (4) |
저스트 |
2015-03 |
4058 |
0 |
2015-03
4058
1 저스트
|
56706 |
노트북에 들어가는 이 케이블 어디서 구할수 있나요~~ (4) |
조셉 |
2015-03 |
4120 |
0 |
2015-03
4120
1 조셉
|
56705 |
IBM *ES* System 이라고 ebay에 올라왔는데요. (6) |
김호성 |
2015-03 |
3812 |
0 |
2015-03
3812
1 김호성
|
56704 |
centos 하드제거 질문 (3) |
검은새 |
2015-03 |
4232 |
0 |
2015-03
4232
1 검은새
|
56703 |
ssd raid 1, 트림이 될까요? (2) |
디님 |
2015-03 |
4162 |
0 |
2015-03
4162
1 디님
|
쉐어웨어라 검색해서 다운로드 받아서 CD로 구우면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능은 윈도우용 고스트와 비슷하기는 하지만, 리눅스에서는 파일시스템과 마운트 기능이 추가되어 있어서 숙달되어있지 않으면 다소 위험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용 고스트 사용해본 경험 만으로 덤볐다가는 실패할 우려가 있습니다.
퍼티션도 원도우에서는 NTFS 를 사용하지만 리눅스에서는 EXT3, EXT4 등을 사용하기에 다른 점이 있습니다.
무슨 일이든지 한방에 해결할려고 하면 어렵습니다.
다른 서버를 한대 더 준비해서 SSD를 달고 리눅스를 새로 설치하고, 데이타를 이전하고 시험가동해보시고, 잘 된다고 판단이 될 때 서버를 교체하는 방법으로 진행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http://clonezilla.org
라이센스는 GPL이어서 개인도 무료, 회사도 무료입니다.
라이센스 문제 및 비용을 걱정할 필요가 없어서 좋습니다.
한번 익혀두시면 두고두고 도움이 됩니다. 사용방법은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세요.
http://freeprogram.tistory.com/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