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 cpu 소켓 구멍 뚫어 보신분 계신가요?

병맛폰   
   조회 7710   추천 0    



일전에 도선 노트북에 요나 듀얼코어 장착이 가능하냐고 물어봤던 사람입니다.

칩셋이 지원하는 경우 소켓만 개조하면 인식이 될까 안될까 궁금했었는데요.

마땅한 대답이 없어 직접 해보기로 했습니다.

그리서 533MHz 최고 cpu인 t2410을 사서 해보기로 했습니다.

다음주쯤 물건이 도착할텐데 그전에 개조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위 사진의 도선 소켓을 요나 cpu가 맞게끔 노트북 소켓에 구멍을 1개 뚫어야 할텐데요.
이 구멍을 뚫는데 - 드라이버 하나면 충분할까요?

그리고 구멍 1개 뚫는데 별 문제 없겠죠?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신은왜 2015-05
도구로는 송곳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근데
너무 손이 후달달 할 것 같습니다. 크게 문제는 없느 건가요?
공구상 가시면 가는 드를날물 있습니다.
가격은 비싸지만 사용하시면 편리합니다.
현진 2015-05
기대가 됩니다
gmltj 2015-05
요나와 메롬 시피유에 대한 인텔 데이타 시트 자료입니다.

요나

http://download.intel.com/design/mobile/datashts/31407804.pdf

메롬

http://download.intel.com/design/mobile/datashts/31674505.pdf

두 링크 모두 다 페이지 50, 51에 단자에 대한 설명이 나오는데, 두 시피유 단자의 차이가 단순히 한쪽 모서리 부분에 만 있는 것이 아니고 다른 곳에도 많습니다. RSVD 는 상관 없지만 Vid 가 바뀐 것들은 모두 바꿔줘야 됩니다.

도선도 이 이상으로 차이가 있을껄로 생각됩니다.
     
2CPU주희 2015-05
+1
당연한 것입니다.
2CPU주희 2015-05
99% 안된다고 생각됩니다.
gmltj  님 말씀대로 ..
이건 바이오스 개조문제로 해결되지 않을것 같구요
일단 해본다고 하셨지만
기대하지 않으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이것이 된다면 이미 유투브나 전세계 컴매니아들이
아마 성공샷을 올렸을겁니다.
조병철 2015-05
1MM 정도 되는 드릴날로 갈아보세요
김준연 2015-05
전에 단순히 물리적으로 안맞는 차원이 아닌 핀 배열이 전혀 다르다고 말씀드린적이 있는데, 핀 배열이 달라지면 그냥 BIOS 개조하고 구멍 뚫는 정도로는 안됩니다. CPU 세대가 바뀌면서 핀이 바뀌는걸 그냥 1366 제온을 X58 메인보드에 쓰거나 771을 775 메인보드에 꽂는 정도로 생각하시면 NG입니다.
ging 2015-05
핀바이스? 라고 얼핏 들었는데 손으로 돌리는 작은 드릴이 있어요. 느리지만 정교한 작업에 사용하거든요. 드릴처럼 날 교체도 가능하구요.
하태훈 2015-05
http://www.eleparts.co.kr/EPX33FFV  :  핀바이스
http://www.eleparts.co.kr/EPX3C6JT  :  드리날1mm

핀바이수가 생각보다 비싸군요.../

2개모두 보유하고있는데 가까우시면 비려드릴수 있음니다.
이윤주 2015-05
http://itempage3.auction.co.kr/DetailView.aspx?ItemNo=B233112816&keyword=%c7%c9%b9%d9%c0%cc%bd%ba&scoredtype=0

핀바이스 저렴한것도 있습니다. 참고로 일반 저항등의 구멍지름은 0.7mm입니다.
catstyle 2015-05
핀 배열은 모르겠고
구멍 뚫는 자체는 큰 문제 없습니다
예전 투알셀 와이어할 때 구멍 넗히기 많이들 했었죠
저도 호기심에 BX 보드에 사이릭스 CPU 꽂아보느라고 구멍 추가로 뚫어봤습니다
CPU 바꿔 꽂아보니 보드에서 연기 폴폴
보드 날렸구나 싶어서 끄고 다시 펜3 CPU 꽂아보니 정상 작동
이후로 몇년간 더 썼는데 연기까지 났던 보드가 아무 문제 없이 돌아가서 오히려 신기했던....
김석중 2015-05
모두들 답변 감사합니다.
단순히 구멍만 뜷어서는 안되겠네요. 그래서 취소 시켰습니다.


1394 단자를 통해 캠코더 실시간 캡쳐용으로 쓰려고 하는데 현재 박혀있는 셀러론 1.6으로는 캡쳐한 영상을 원활히 프리뷰 하기가 어렵네요.
dxva 코덱을 써도 점유율이 90%가 넘으니 다른 작업은 할수가 없지요.
그래서 미천척하고 듀얼코어 써볼까 한건데 넘어야 할 산이 많군요.


장터를 매복하고 있는데 요즘은 도선 cpu 구하기가 너무 어려워요.
욕심같아서는 2ghz정도면 좋겠는데...
물건이 없어요. 있어도 비싸게 부르거나요.

그냥 옥양에서 파는 1.8g 짜리로 만족해야 할거 같습니다.
     
gmltj 2015-05
저도 도선 노트북이 한대 쓰고 있는데요. (문서 작업용) 영상 캡쳐의 성능은 잘 모르겠지만.. 도선 펜티엄 M 725 같은 걸 와이어트릭으로 오버클럭 해보세요. 1.6 -> 2.13 으로 33프로 성능이 향상되고 발열이 2~3도 정도 오릅니다. 끝자리가 5로 끝나는 것들이 400 fsb 인데 와이어 트릭으로 533 fsb 로 바꾸는 모드입니다. 1.5 Ghz (715)는 백프로 성공하고 1.6 GHz (725)도 80~90프로 이상의 확률로 성공합니다. 그 이상 빠른 도선 시피유는 성공 확률이 절반 이하로 떨어져서 시도는 안 해봤습니다. 도선 725 5개를 와이어트릭으로 오버 해봤는데 기본 전압에서 모두 성공했습니다.

셀러론 m 380 같은 것도 오버가 되기는 하는데, 캐쉬의 양이 적고 스피드 스텝이 없어서 발열도 많이 올라서 비추합니다.

관련 링크입니다.

http://www.notebookreview.com/news/pin-modding-and-overclocking-a-pentium-m-guide/

아 혹시 ddr1 메모리를 쓰고 400 fsb 시피유 만 지원하는 노트북이라면 이 모드가 불가능합니다.
          
김석중 2015-05
좋은 정보를 주셔서 관심이 가는데요. 궁금한 점이 오버한 fs400짜리 도선이 533이 되었을때 기존의 533 cpu와 성능차이는 거의 없나요? 발열은 많이 증가하나요?
chis 2015-05
1394가 필요한거면 구형 후지쯔에 포트있습니다 제 똥랩탑이 s6311인데 이거도 1394포트있어요. Cpu는 t7200까지 들어가요. 중고로 구하면 큰돈안들이고 살수있을거같은데요
1394들어가는 노트북들 펜린급까진 꽤 많아요...
시계드라이버 가장 작은거 부터 차례로 돌려주면 소켓구멍이야 해결됩니다...
나너우리 2015-06
그냥 안하시는것을 추천 드립니다.~ 고난의 연속일것이고. 결국은 답이 없는 삽질이 될가능성이 큽니다.(99%)이상

그리고 된다손 치더라도 안정적인 작동을 보장하지 못하므로 시간과 노력모두 허사가 되고 제품도 못쓰는 사태가

벌어질듯 합니다.


QnA
제목Page 2801/5724
2014-05   5237998   정은준1
2015-12   1763682   백메가
2015-06   5251   바보차주
2015-06   3815   퍼싱글
2015-06   5847   박현근
2015-06   3799   황혼을향해
2015-06   4202   김건우
2015-06   4184   하나룸
2015-06   3151   김석환
2015-06   7283   겨울나무
2015-06   3278   윈도우10
2015-06   3552   하나룸
2015-05   8725   김윤술
2015-05   3638   한국소방
2015-05   3622   윈도우10
2015-05   4566   조병철
2015-05   3684   마스터고양이
2015-05   5093   Sunrise
2015-05   7711   병맛폰
2015-05   4051   주변
2015-05   4540   송주환
2015-05   3930   윈도우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