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b를 이용한 hyper-v 게스트 OS 시작 문제

binary   
   조회 7121   추천 0    

SMB를 통한 Hyper-V 배포 https://technet.microsoft.com/ko-kr/library/jj134187.aspx 기능을 이용해 hyper-v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두 서버 다 2012R2)

한가지 좀 걸리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리는데요.

hyper-v용 서버를 재부팅시 게스트 운영체제가 자동으로 다시 시작되지 않고 저장상태에 머뭅니다.

그래서 부팅하고 바로 hyper-v 관리자를 띄워 상황을 지켜보니 스샷과 같은 상태가 순서적으로 이루어 지는데요.

갓 부팅했을때 바로 SMB에 붙지 않아 '가상 컴퓨터 구성 저장소에 연결할수 없음' 이라는 상태를 만들어 놓고

SMB가 연결되면 가상 컴퓨터의 데이터를 가져와 저장 상태로 두는 것 같은데 자동으로 시작할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게스트 OS 옵션에서 자동 시작 작업과 자동 중지 작업을 바꿔가면서도 테스트 해보고

시작 지연 옵션을 이용하면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딜레이와의 간섭을 막을수 있을꺼같아 이것도 세팅해 봤는데 자동 부팅은 되지 않습니다.

해결 할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binary 2015-06
자답입니다. 가상컴퓨터 정보를 로컬에 저장하니 문제가 없네요.
김윤술 2015-06
SMB 서버 위치에 있어도 자동 시작이 됩니다.
일단 가상 이미지 옵션중에 자동 시작이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로그인 하지 않고도 가상이미지가 붙질 않았다면 권한위임과 CIFS공유권한과 NTFS 보안권한이 뭔가 빠진게 있지 않나 생각을 해봅니다.
     
binary 2015-06
윤술님 매번 답변 감사합니다.^^

가능하다고 하시니 일단 후련하네요. 아무리 해도 안되서... 권한 설정을 꼼꼼히 살펴보겠습니다.


QnA
제목Page 2792/5728
2015-12   1780969   백메가
2014-05   5256031   정은준1
2015-06   3339   김상민
2015-06   4147   황진우
2015-06   10720   AplPEC
2015-06   3507   윈도우10
2015-06   5292   옹드컴
2015-06   4424   윈도우10
2015-06   4271   김호성
2015-06   5376   나우마크
2015-06   4747   임형우
2015-06   26837   한가람돌이
2015-06   4676   냐하핫
2015-06   7122   binary
2015-06   5233   겨울나무
2015-06   5755   토찌
2015-06   3763   C3
2015-06   4213   대한민국
2015-06   7593   로트1
2015-06   4556   김건우
2015-06   6204   토찌
2015-06   4189   전설속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