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플라워가 이곳에서 왜 인기가 없을까요?

   조회 12812   추천 0    

http://www.coolenjoy.net/bbs/boardc.php?id=review&no=27346&page=1&num… (444)
http://www.playwares.com/xe/index.php?mid=mainpreview&document_srl=47… (530)

슈플 리덱스 550W가 칼전압 칼리플 칼노이즈입니다.
이런 스펙은 시소닉이나 안텍 정도에서 가능하가고 생각했는데 요즘 슈플의 약진을 보면 내구성이나 as정책의 비교 이외에는 명가 제품과 별 차이가 없어보이는 성능이라고 생각하는데요.
이곳에서는 슈플의 인기가 썩 좋지않은듯한데요.
혹시 어떤 이유때문에 그렇게 인식이 않좋나요?
슈플이 모든 라인에서 인기가 있진 않겠지만 리덱스 모델은 고급 유저들에게도 추천도 많이되고 인기가 많은것 같더군요.



111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게지네 2015-07
ㅎㅎ 이미 말씀하신것 대로

시소닉과 안텍을 쓰기 때문이지 않을까요?

전 데탑은 시소닉 ,서버는 안텍쓰고있습니다만...

안텍은 요즘 마음에 안들어가고있더군요

VPF 보급형시리즈들 칼전압 칼리플도 아닌데 450W 6만 5천원이나 받는다는...

지금은 5만원 후반대로 가격이 떨어졌지만.. 아쉽네요
백남억 2015-07
쓰실분은 쓰겠죠~
하지만 역시 일반 파워와 서버나 웍에 장착된 파워의 품질을 얘기한다면 웃고 가야 하는지라.....
그리고 여기는 그 품질을 감안하고 파워를 선택하는 분들이 많이 있는곳이구요.

단기간 극단적인 성능을 보여주는 물건을 사용하느냐,
장기간 지속적인 안정성을 보장하는 물건을 사용하느냐의 차이겠구요.
이규섭 2015-07
문제는 사용 2~3년후의 벤치마크가 아니라는겁니다. 칼전압 칼리플로는 그 제품의 내구도를 판단할 수 없습니다. 서버에서는 특히 내구도가 가장 중요합니다. 게임이야 세이브가 날아가는거지만 서버가 급작스럽게 파워 문제로 꺼지는건 업무 마비는 물론 일부 작업에서는 수십억씩 날아갈수도 있는 크리티컬한 곳이기 때문입니다.

시소닉 안텍은 서버파워 OEM에서도 탑클래스급 회사이기 때문에 급이 다르게 느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충분한 내구도가 보장되기 때문이죠. P3~P4때 사용하던 시소닉 230W 300W 이런거 지금 재봐도 칼까진 아니더라도 줄자정도 수준의 전압, 리플입니다. 그보다 극단적으로 제 20년 정도된 세븐팀 AT 파워는 아직도 구형 부품 들어오면 테스트용으로 쌩쌩하게 돌아가고 있습니다. 최소한 그정도 기간(1~20여년) 동안 신뢰가 쌓이지 않는 한 절대 2cpu에서 좋은 파워로 인식하지 않을겁니다.

마치 Asrock ASUS 서버용 보드들이 다양한 기능과 꽤 괜찮은 성능을 보여주지만 이곳에선 아무도 추천하지 않는 것과 같은 맥락이죠. 오랜 기간에 걸쳐서 충분한 신뢰도가 쌓여야 될겁니다.

그리고 실제로 벤더 서버에서 사용하는 에타시스, 인헨스 서버용 파워들이랑 비교해보시면 알겁니다. 이쪽 업계는 80플러스 플레티넘 이런 인증같은거 비웃고 넘어가는 곳입니다.

크리티컬한 곳일수록 보수적일 수 밖에 없습니다.
     
장동건2014 2015-07
시소닉이나 안텍이 서버파워도 만드는지 몰랐습니다.
이런쪽 시장에서는 밑에 박문형님께서 말씀하시는 메이커가 가장 고신뢰도 부품을 만드는것으로 알고있었는데요.
시소닉, 안텍, 에너맥스는 아무리 잘나도 pc제품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는지알았습니다.
뭐 실력이 없어서라기보다는 타겟층이 그렇게 설정되었기때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이규섭 2015-07
시소닉의 경우 리테일로 나오는건 PC용이지만 OEM으로 고성능 장비에 많이 들어갑니다.
시소닉매출은 리테일보다 OEM이 압도적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40년 전통의 고성능 PSU 업체입니다. PC제품의 한계에 벗어나지 못하는 회사는 아닙니다.
               
장동건2014 2015-07
그렇군요. 시소닉을 다시보게되네요..
박문형 2015-07
슈플은 피씨파워

서버/웍용파워는 델타,에타시스,지피,아크벨,슈퍼마이크로 정도

그 외 대량생산하는 업체가 몇 있습니다.(라이트온 같은)
박문형 2015-07
심심풀이로 컴퓨웨어(슈퍼마이크로) 리던던트파워 로드맵 보내드릴까요???
     
장동건2014 2015-07
파워 로드맵이 뭔지 잘모르겠습니다.
장동건2014 2015-07
짧은 시간에 많은 답변이 달렸습니다.
감사합니다. 확실히 내구성 문제가 크군요.
이곳은 서버나 웍을 바탕으로한 고신뢰성 파츠가 주류다보니 내구성이 pc정도의 스펙으로는 어림도 없을것 같습니다.
김준연 2015-07
여기는 ETASIS정도는 되어야 칭찬을 듣고, '서버용' Antec이나 Delta는 평범하다는 반응을 보이는 동네입니다. SuperFlower나 TopPower같은 '같잖은' 물건은 쓰건 말건하는 반응을 보여줍니다. 그 이유는 다들 위에 적혀 있습니다. 서버의 전원공급장치 신뢰성은 그냥 고출력을 버텨주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안형곤 2015-07
결국은 장시간 내구성아니겠습니까?

벤더사 파워 보면 델타 FSP 에타시스 지피 acbel 이정도 되는거 같구요....

아답터쪽은

델타 fsp 라이트온 치코니.. 이정도가 설계 잘 뽑는다 하는 업체쯤 되더군요....

그 이하는 안쳐다보기로 했습니다.
장동건2014 2015-07
fsp는 최고라 하기에는 좀 부족하지않을까요?
     
김준연 2015-07
FSP의 '서버용'은 이야기가 다릅니다. 보통 데스크탑 PC쪽만 보던 분들은 FSP나 Delta를 '그저 그런 동네'라고 생각하지만, 저 두 동네의 '서버용' 전원공급장치는 벤더사에 들어가는 물건들입니다. FSP 사이트를 잘 보시면 1U용부터 리던던트까지 있을 건 다 있습니다. 굳이 못한다고 한다면 다른 서버용 PSU 제조사들이 80Plus Titanium이나 Platinum으로 도배를 할 때 Gold 정도밖에 못 만든다는 정도 뿐입니다.

데스크탑에서 인기 좋다는 SuperFlower는... 아예 서버용은 손도 못댑니다. ToPower는... 일단 서버용 라인업은 있는데 그냥 몇 종류 없습니다.
조병철 2015-07
델타 시소닉 안텍 애너맥스

대략 이런 메이커 외엔 꺼리는 편입니다

신품 구매는 죄다 안텍으로 하고 있습니다
장동건2014 2015-07
뭐 최고급 제품만 고집하지않는다면 요즘 제품이 상향 평준화도 되고 해서 선택의 폭은 넓어진것 같더군요.
제온프로 2015-07
슈퍼플라워가 어떻게 안텍.. 세븐팀.. 델타랑..
..
같은 급은 아닌 것 같은데요.
     
장동건2014 2015-07
같은급은 아니지만 리플, 노이즈, 칼전압에 있어서는 명가제품과 차이가 별로 없어서요.
이곳은 평가기준이 이미 웍이나 서버등 극한의 내구성으로 결정이 되니 pc정도 스펙으로는 탈락인것 같습니다.
마왕 2015-07
일단...이름이 촌 스러워서~~~
     
장동건2014 2015-07
제가보기에도 이름이 그참...
Won낙연 2015-07
메이저리그에서 빤짝이스타가 대접받지 못하는 경우와 비슷한 맥락아닐까요...

잘하다가도 결정적일때 일저지르는...
     
장동건2014 2015-07
그래도 영업력이 좋아선지 검은동네에서 몇번의 사고에도 불구하고 건재하더군요.
베어그릴스 2018-06
채굴 pc에 사용된 파워 2년 통계를 보고 이 글을 다시 찾아왔습니다. 이 데이터를 통해 슈플이 내구성이 안좋다는게 확실한데 여기 계신 분들은 안써봐도 파워 내구성을 아시는것 같아서 어떻게 판단할 수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저는 메인 cap 제조사, 스펙, 나머지 cap 은 제조사만 보는 편입니다. 트랜스는 잘 안죽는다고 배웠는데 슈플은 독자적인 트랜스를 쓰더군요. 이것도 수명 고려대상이 되는지 궁금하네요.
     
장동건2014 2018-06
전 전문가는 아닙니다만 여기 계신분들은 비교대상이 24시간 몇년동안 굴려도 무사해야하는 서버계통의 파워입니다.
칼전압, 낮은 리플 당장 이런게 좋은게 문제가 아니라 그런 스펙이 몇년을 쉴새없이 굴려도 고스란히 보존되야하는 정도의 내구성을 요하는거죠.
따라서 슈플 고가 라인이 높은 스펙으로 여러벤치에서 호평을 받긴했지만 이곳 기준에서는 단지 일반 pc용 정도의 스펙인거지 서버나 웍의 내구성을 갖는 고신뢰 제품이 아니라는것 같습니다.

과거에는 확실히 서버나 웍용 파워에 비해 pc용 파워가 내부에서 차이가 확연했습니다.
서버용 파워는 고급, 고내구성 부품으로 정말 빈틈없이 꽉채워져있더군요.
같은 용량일때 내부가 확연히 차이가 났습니다만 요즘은 pc용 파워중 플레티넘급정도 되면 내부가 정말 충실하더군요.
100% 일제 고내구성 캡에 실사용시에도 낮은 온도 특성을 보여줍니다.
오히려 한10년전쯤 보았던 웍용 파워는 내부가 큰 방열판과 부품들로 꽉채워져있는데 몇몇 캡이 대만제 teapo캡을 썼더군요.
아 웍용 파워가 이래도되나 싶었습니다.


QnA
제목Page 2769/5729
2014-05   5264729   정은준1
2015-12   1789749   백메가
2015-07   4651   레클
2015-07   3464   슬루프
2015-07   3365   izegtob
2015-07   6183   편한세상
2015-07   4729   편한세상
2015-07   3581   izegtob
2015-07   14535   가빠로구나
2015-07   3427   Ei알지마
2015-07   3588   머재긴
2015-07   3671   chotws
2015-07   4740   Jjun
2015-07   5830   안산동네손형
2015-07   3988   김건우
2015-07   12813   장동건2014
2015-07   7647   코넬
2015-07   12772   izegtob
2015-07   3996   나몰라1
2015-07   3782   mkb6408
2015-07   4798   edguy
2015-07   3376   가빠로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