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웤 대역 겹침 ?

무아   
   조회 5315   추천 0    

어떤 PC가 있는데 랜포트가 1개만 있습니다.
이 랜포트를 통해 다른 장비 (PLC) 와 통신을 합니다.
해당 장비는 192.168.0.1 을 쓰고있고
중간에 스위칭 허브를 통해 PC와 연결됩니다. PC는 192.168.0.30을 씁니다. 
스위칭허브는 장비들끼리만 물려있고 외부 인터넷과는 연결되지 않았습니다.

이 네트p을 통해서는 주로 이루지는 작업이
PC쪽에서 TCP 서버 소켓을 띄워서 PC쪽으로 들어오는 connection 을 listening 만 하고 그 에 해당 하는 작업만 합니다.

그런데 이 PC를 관리하기 위해 USB wifi 를 연결하고 주변의 AP를 잡았습니다.
어라?
그런데 AP의 DHCP가 192.168.0.2~254 를 서비스해주고 있나봅니다.
USBwifi 모듈이 잡은 IP가 192.168.0.201 로 나옵니다.

이러면 랜포트와 USB WIfi IP 대역이 겹치는 것 아닌가요?
일단 PC 쪽에서 PLC 쪽으로 직접 connection을 해야할 일이 없어서 별문제는 아직까진 안보입니다.

이렇게 써도 문제 없을까요?
(PC쪽에다가 route 설정을 해두는게 좋을까요?)
...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죠슈아 2015-09
192.168.0.1 는 보통 라우터 내부 주소로 사용되므로 다른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 합니다.

스위칭 허브를 통해서 연결되는 장비들은 외부 네트웍과 연결이 필요 없으므로
192.168.0.1 를 사용한다고 해서 문제 되지는 않지만 일반적이지 않습니다.
하지만 질문 하신 내용에서 처럼 어드레스가 겹치는 것은 않됩니다.
USB WIFI 를 연결하신 PC가 통신이 되지 않기 때문 입니다.


스위칭 허브를 통해서 연결되는 장비들을
192.168.1.xx 로 할당, 부여 하시는것을 추천 드립니다.

그런데 AP의 DHCP가 192.168.0.2~254 를 서비스해주고 있나봅니다.
==>  USB WIFI 를 AP로 기동하면 USB WIFI 를 갖은 PC는 192.168.0.1 이 됩니다.

USBwifi 모듈이 잡은 IP가 192.168.0.201 로 나옵니다.
==> AP로 기동하는 PC IP 어드레스를 의도적으로 192.168.0.201 로 설정하지 않았다면
      이렇게 어드레스가 된다는게 이상 하군요.
      의도적으로 192.168.0.201 로 설정했다면 DHCP 범위에서 192.168.0.201를 빼고
      할당하도록 설정 변경 하셔야 합니다.

USB WIFI 를 갖은 PC는 외부 네트웍 연결이 필요치 않나요?
USB WIFI 를 갖은 PC를 AP로 구동하지 않고 다우터로 부터 IP를 할당 받으면
다른 PC에서 USB WIFI 를 갖은 PC를 접근 가능하고
USB WIFI 를 갖은 PC를 통해서 스위칭 허브를 통해서
연결되는 장비들을 접근 하면 됩니다.
엠브리오 2015-09
장비들과 연결된 네트워크의 IP들은 10.0.1.xxx <- 이런식으로 바꿔주는게 좋겠네요.

같은 대역의 IP가 두개의 랜카드에 할당되면 데이터 패킷 경로가 꼬일수 있습니다.
무아 2015-09
답변 감사합니다.
장비쪽 IP 대역을 바꾸는 것도 저의 권한 밖이고 (바꾸려면 PLC 엔지니어 불러야 하고 장비마다 다 셋팅해줘야 하는데 만만찮은 일이죠)
AP의 대역 바꾸는 것도 저의 권한 밖이라서 (제가 설치한 AP가 아니라서)
그냥 놔두고 써야할 것 같습니다.
Wifi를 늘 쓰는게 아니라 필요시 작업자가 가서 꼽아줘서 쓰는 것이라서...
박주연 2015-09
편법일지 모르지만
공유기를 하나 중간에 끼우시는게 나을것 같네요
무선WAN 잡을수 있는 공유기를 쓰셔서
외부통신이 되는 AP - 공유기(무선WAN) - 공유기(무선, DHCP대역을 다르게 잡아서) - PC
이런 구성 고민해 보시는게 어떨까요?
     
무아 2015-09
답변 감사합니다.
무선 WAN 을 받아서 무선으로 날려준다.. 브릿지 처럼 쓰는 것 같은데 외부통신이 되는 AP 에서 무언가 설정을 해줘야 하는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외부통신이 되는 AP를 건들 수 없는 상황이라서...)
별다른 추가 장비 없이
route add 같은 식으로 라우터 설정을 PC에서 잡아주면 되지 않을까 싶어서 입니다.
192.168.0.1 로 내보내는 것은 내부 이더넷 포트로 맵핑 해주고
나머지는 wifi 쪽으로 맵핑 해주면 ...
그렇게 하면 wifi 쪽의 gateway가 192.168.0.1 이라서 더 꼬일지도 모르겠네요.

뭐 일단은 현재 별문제 없이 쓸 수 있으니까 그냥 쓰고 있습니다.
PLC 장비쪽에서 바라봤을때 PC인 192.168.0.30 으로 데이터를 쏘는데 문제는 없어서..


QnA
제목Page 2694/5726
2014-05   5248086   정은준1
2015-12   1773423   백메가
2015-09   6783   푸하히
2015-09   5141   황혼을향해
2015-09   8627   노아디
2015-09   4052   슬기로운생활
2015-09   4987   leeseongwoo
2015-09   4595   하윤아빠s
2015-09   7074   쁘삐
2015-09   5813   초박이
2015-09   5943   yexxnoah
2015-09   3992   션한맥주
2015-09   4113  
2015-09   4106   뮤노
2015-09   7960   AplPEC
2015-09   3833   윈도우10
2015-09   3400   숫총각
2015-09   4428   python
2015-09   4020   하셀호프
2015-09   5316   무아
2015-09   4493   윈98
2015-09   3597   겨울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