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uKfx13EgoUY
해당 영상을 4k 영상으로 플래이 해봅시다.
위 두 부분(2160P, 4K)을 확인해 주세요.
크롬에서 재생시 어지간한 하드웨어를 갖고 있으신 분들도 영상이 끊기는 걸 볼 수 있습니다.
반면 익스플로러에서는 끊김 없이 부드럽게 재생됩니다.
(다른영상은 유튜브 검색에서 UHD, 4K SAMPLE 등으로 검색하면 많은 영상이 있습니다.)
크롬에서는 내장된 플래시플레이어를 이용하지 않고, HTML5 영상으로 실행되고
익스플로러는 기본플레이어가 플래시가 구동되어집니다.
크롬은 HTML5로 기본설정되어 변경되지 않고,
익스플로러는 https://www.youtube.com/html5 에서 HTML5 플레이어 요청 / 기본플레이어 사용
둘 중에 원하는 플레이어를 클릭하면 됩니다.
익스플로러 사용자는 보통 최신플래시 플레이어는 별도 설치되어있고, 기본플레이어(플래시사용)을 해주었을 경우
4K 영상이 끊김 없이 플레이됩니다. 익스플로러에서는 HTML5 플레이어 사용시 4K 옵션이 활성되지 않습니다.
크롬에서 4K영상을 실행시 CPU 와 GPU 점유율을 보면 GPU 이용은 거의 없이 CPU만 주구장창 사용해서 사용량이 100%가까이 치솟습니다.
여기서 단순하게 HTML5로 실행되느냐 하드웨어가속이되는
FLASH 플레이어에서 실행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다르구나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면에 다른 이해관계가 내포되어있습니다..
같은 영상을 실행해도,
크롬에서 4K 영상을 실행하면 VP9 코덱이 실행됩니다.
반면 익스에서 영상을 보면 H.264 코덱인 MP4 avc 1.640033 이 실행됩니다.
이것은 크롬이 H.264 비디오지원을 드랍하고, 크롬 자신들이 인수한 Wem/VP8,VP9 을 밀어주기한 결과이죠.
보통은 크롬은 오픈소스를 지향하는 절대 선의 이미지이지만 이 경우엔 그렇지 않네요.
수많은 이해관계가 얽혀 있겠죠.
구글은 H.264 지원 중단을하면서 애플과 코덱 표준 경쟁 불을 붙혔습니다. H.264의 대표격은 APPLE 사입니다.
VP9은 인텔의 최신칩셋과 최신의 일부 그래픽 카드등에서만 하드웨어 그래픽 가속이 가능합니다.
H.264가 가장많은 사람이 사용하고, 오픈소스이며
보편적으로 하드웨어 가속이 가능하고, 출시된지 얼마안된 Wem 코덱보다 성능면에서도 훌륭합니다.
자세한 것은 ( 여기 <- 이 홈페이지 글을 읽어보세요. 최근 크롬의 이러한 행보 때문에 해외포럼에서 많이 많습니다.
다시 익스플로러로 돌아가는 사람도 많구요.)
제 입장에서는
낮은 사양에서도 충분히 하드웨어가속이 되는 H.264코덱 사용을 막아,
구글 - 유튜브 -인텔 3사가 표준으로 지정하고 앞으로 팔아먹을 코덱을 일방적으로 사용하게해서
현재 시점에서 영상이 끊기게 된다고 생각할 수 밖에 없네요.
여기서 이 게시물의 제목인 "구글 크롬 유튜브 4K 영상 끊기는 것 해결법"에 대한 답을 드립니다.
https://chrome.google.com/webstore/detail/h264ify/aleakchihdccplidncghkekgioiakgal
크롬 확장 프로그램입니다. 기능은 유튜브에서 vp8, vp9로 재생하는 것을 H.264로 바꾸어줍니다.
설치후 영상을 실행하면 크롬에서도 익스플로러에서 실행한 것처럼
4K영상이 부드럽게 돌아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IE 에서는 부드럽게 재생이 되네요. CPU도 그렇게 많이 먹지 않고요.
크롬에서는 CPU 사용량이 100%로 되면서 끊기네요 (i5-3360m 2.8GHz)
그런데 뭔가 꼼수가 있어 보입니다.
그림에 보면 앞부분의 그래프는 IE 로 데이터 전송이고 뒷부분은 크롬의 전송량 입니다.
IE는 뭔가 데이터량이 적습니다.
그리고 화질을 보면 IE는 좀 구립니다.
느낌에 IE가 4K라고 표기만 하고 실제로는 4K 데이터를 받는 것이 아닌 것 같습니다.
윈탭에서 VP9 강제로 되어있어서 따로 그냥 메트로앱으로 쓴다는
https://ko.wikipedia.org/wiki/H.264/MPEG-4_AVC 의 라이선스와 브라우저 항목을 보시면 됩니다.
파폭,엣지,익스 전부 테스트 했고, 숨겨진 옵션을 구글링해서 찾아서도 해보왔구요.
조금씩이지만 끔김현상이 있었습니다.
일단 재생이 원할데한요.
html5로 구동되었는지 플래시로 구동되었는지 확인할 방법이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