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D가 꽉찬 상태에서 계속사용하면..

김장우   
   조회 6000   추천 0    

어떤 문제가 생기나요?

권고사항으로 2~30%를 비워두라고 하는 사실은 알고있는데..

이로인해서 어떤 문제 생기는지는 ^^;;

고객이 자꾸 디스크를 꽉 채워서 사용하는데.. 그러지 말라고... 얘길 해도.. 심각하게 생각하질 않아서요..

SSD의 경우는 Trim 이나 GC 때문이라고는 알고 있습니다만.. HDD 는 어디서 본것 같기도 하고.. 가물가물하네요.. ^^;;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엠브리오 2016-01
디스크가 꽉 차면 컴퓨터가 죽습니다.

SSD는 30% 정도는 비워두어야합니다.
그 이상 데이터가 꽉차있으면 SSD의 수명이 급격하게 짧아집니다.
     
김장우 2016-01
말씀 감사합니다.
컴퓨터가.. 죽는다..라.. 결과는 이해하겠습니다만.. 어떤 이유로 죽는지 왜 죽는지.. 고객에게 어떻게 설명을 해야 이해를 할지가 고민이네요..
관련 문서를 알고 계시면.. 부탁드려도 될런지요..

SSD는 어지간히 설명을 해볼 수는 있겠는데.. HDD 는 깝깝하네요.. ^^
무아 2016-01
꽉찬 상태에서 사용한다는 것이 읽기만 한다는 것인가요?
하긴 뭐.. OS가 읽기만 하겠습니까만은...
OS가 깔린 영역이라면 꽉찬 상태에선 죽든지 못살겠다고 아우성을 칠 것이고
데이터용 이라면 쓰기만 되지않을뿐 죽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김장우 2016-01
말씀 감사합니다.
제가 조건을 명확히 말씀드리지 못한 것 같습니다.
OS 디스크는 아니고 Data 디스크 입니다.
읽기만 했을 경우에는 죽지는 않는다는 말씀이시군요.. ^^
제가  아는 한도내에서라면  운영체제가 읽기  쓰기할공간과  메모리가  모자를시 사용되어질  가상메모리 공간  그리고  캐쉬나  각종 temp  파일들이  쓰여지고  지워지고 할공간    이 없는  상태로  운용되어지면  에러를  뿜어주고  그 에러에 의해 시스템  불안정적  현상이  충분히  일어날수 있습니다..    그리고  하드의  공간을  많이  체울수록  읽고  쓰기 할때  헤더의  움직임은  한정되고 읽고  쓸 공간 을 꼭 빈공간에 해야하다보니  시스템  느려짐 현상도  있을수  있고요..
     
김장우 2016-01
말씀 감사합니다.
OS 디스크가 아니라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어지기는 합니다.
그런데.. 꽉찬 상태로 계속 유지하면서 시스템은 계속 동작을 한다면 당연히 공간이 없어서 저장은 못할테고 제가 넘겨짚어서 생각하는건
당연히 조각모음은 안될 것이고, 조각난 상태에 따라 다르겠지만 2~3TB 디스크라면 읽어내는데 원활 하지 못하고(조각 모음 되었을 때 보다.) 혹시나 이 링크들이 끊어질 확율이 있을까 하는 겁니다.
즉, 꽉찬 상태를 계속 유지한 상태로 시스템이 운영된다면 데이터 유실이 있을 수도 있다... 모.. 요런생각? ^^;;
          
무아 2016-01
조각 모음은 파일을 썼다 지웠다를 많이하여 파일의 단편화가 많이 되었을 때 효과를 봅니다.
디스크가 꽉 찰 정도로 쓰기만을 주구장창 하는 디스크라면 단편화가 거의 되지않고 조각모음도 필요하지 않습니다.
               
김장우 2016-01
아~하~~ 그렇겠군요~~ ^^


QnA
제목Page 2565/5726
2015-12   1773260   백메가
2014-05   5247906   정은준1
2016-01   4684   머리가아프다
2016-01   4311   유정호샤콘느
2016-01   6656   뇽이닷
2016-01   4863   황재광
2016-01   6049   종이와연필
2016-01   6367   푸하히
2016-01   6661   캔위드
2016-01   4548   강물처럼
2016-01   5512   우싸
2016-01   5470   제스퍼즈
2016-01   3989   박문형
2016-01   4725   DaVinci
2016-01   6001   김장우
2016-01   7966   이건희
2016-01   6846   신우섭
2016-01   4422   나라뜨
2016-01   4005   izegtob
2016-01   3931   라긍
2016-01   5496   pap100
2016-01   3832   차평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