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usb LTE 써보신분있나요?

topschool   
   조회 6184   추천 0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유심개통해서 1기가에 월 15000원 정도하는 usb lte 서비스 이용해보신분 계신가요?

이게 고정아이피 방식인지 usb 를 빼고 다시 꼽으면 ip 바뀌는방식인지 궁금해서요.

사용해보신분 팁 좀 부탁드려요.


와이브로는 꺼지면 3시간 후쯤 ip 바뀌더라구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엠브리오 2016-01
IP도 자원이라서 쓰지 않으면 회수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IP주소도 돈주고 사오는 것이라. 고정IP일리가 없지요.
DoubleSH 2016-01
그런 서비스에 고정IP는 택도 없다 보입니다 -0-
린드버그 2016-01
여긴 일본인데요.. 좀 된 거라 LTE는 아니고 3G 방식이긴 한데.. 고객사 협력업체 중 한 곳에서 고정 IP 사용중입니다.
통신사에서 광케이블 설치 불가 지역이라고 해서 대안으로 무선 데이터 통신으로 인터넷에 접속하는 식으로 해결했고, 고객사의 특정 네트워크 접속 방식 등 이용하기 위해 고정 IP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물론 USB방식으로 접속하는 기기고, 그걸 라우터(흔히 말하는 공유기)에 직접 꽂아서 접속하고 있죠.

즉, 우리나라도 비즈니스용으로 고정IP 서비스가 옵션으로 있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드네요. 결국 프로바이더가 제공을 하느냐 마느냐의 문제이니..
엠브리오 2016-01
그리고 국내 무선 통신망은 내부통신망으로 Closeed 네트워크입니다.
대충 10.XXX.YYY.ZZZ 와 같은 IP가 할당됩니다.
즉, 공인IP가 아니라서 외부망에서 직접 접속이 안되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걸 가능하도록 만들려면 VPN을 쓰던지
아니면 통신사에서 그 단말기에만 특별히 Real 고정IP를 할당해야만 합니다.
ZSNET5 2016-01
USB방식의 모뎀에서 고정IP할당은 통신사 정책 및 기술적인 부분에서 불가능 합니다.
아울러 공인 IP의 할당도 극히 제한적으로만 가능하며, 일반 사용자 선에서는 불가능하다고 보셔도 무방합니다.

즉, 외부에서 직접 해당 단말기로 접속은 불가능하며, VPN을 사용하시거나 팀뷰 같은 중계방식 원격접속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가능은 합니다.

PS. 고정 IP를 할당하는 방법이 없지는 않은데, 이건 알려드릴 수 없는 민감한 자료입니다. 그냥 개인은 안된다고 보세요..
topschool 2016-01
고정 ip 는 안되나보내요.
컴퓨터를 안끄면 고정아이피가 될 확율을 있을수도있겠지만..
조언 달아주신분들 감사합니다.!!
김동수P 2016-01
LTE 망 기술상 거대한 공유기 아래에서 사설IP를 할당받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MSmikoto 2016-01
고정은 안됩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해외에서 모뎀을 사와 데이터 쉐어링을 하는데요 항상 다이나믹이라 VPN을 이용 합니다 (집)


QnA
제목Page 2561/5725
2015-12   1769220   백메가
2014-05   5243853   정은준1
2016-01   4069   앙드레준
2016-01   4098   jack33
2016-01   3933   s김종화z
2016-01   4645   윈도우10
2016-01   6185   topschool
2016-01   7868   제스퍼즈
2016-01   4044   죠슈아
2016-01   4386   껄껄껄s
2016-01   7157   밀우
2016-01   5087   윈도우10
2016-01   4561   권용1
2016-01   4290   황굴이
2016-01   4025   캔위드
2016-01   5089   이현길
2016-01   9401   트리플소켓
2016-01   6031   김건우
2016-01   4947   푸하히
2016-01   4399   편한세상
2016-01   4338   김훈1
2016-01   4502   서울I김동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