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78127 |
25 |
2015-12
1778127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53178 |
0 |
2014-05
5253178
1 정은준1
|
63376 |
z620 후면 팬 전원 (7) |
한성호 |
2016-01 |
5953 |
0 |
2016-01
5953
1 한성호
|
63375 |
KVM 이나 KM switch 추천 부탁드립니다 (7) |
Sunrise |
2016-01 |
9759 |
0 |
2016-01
9759
1 Sunrise
|
63374 |
히티치하드 모델 구별법? (4) |
권오준 |
2016-01 |
4464 |
0 |
2016-01
4464
1 권오준
|
63373 |
윈도우7 볼륨라이센스 버전도 윈도우10으로 무상업그레이드 가능합니까? (8) |
김진영JK |
2016-01 |
8114 |
0 |
2016-01
8114
1 김진영JK
|
63372 |
아반떼 오토 눈길운전 기어.. (13) |
2CPU최주희 |
2016-01 |
8822 |
0 |
2016-01
8822
1 2CPU최주희
|
63371 |
T7610 직구 고민 하다가... 메모리 관련 질문입니다. (4) |
악마라네 |
2016-01 |
4360 |
0 |
2016-01
4360
1 악마라네
|
63370 |
위 2500K 오버클럭한 스샷입니다. 전압몇으로 4.5 오버한걸로 보이시나요? (6) |
Fantasy |
2016-01 |
13521 |
0 |
2016-01
13521
1 Fantasy
|
63369 |
아파트에 2000W이상 출력하게 할수있나요 (12) |
izegtob |
2016-01 |
6792 |
0 |
2016-01
6792
1 izegtob
|
63368 |
넷기어 나스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12) |
DOOWON |
2016-01 |
5339 |
0 |
2016-01
5339
1 DOOWON
|
63367 |
ZFS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7) |
이승윤a |
2016-01 |
4823 |
0 |
2016-01
4823
1 이승윤a
|
63366 |
Windows 7 과 8.1 초기 설치 로딩 단계에서 무한로딩 됩니다. (3) |
신우섭 |
2016-01 |
6896 |
0 |
2016-01
6896
1 신우섭
|
63365 |
내부 인터넷을 기가넷으로 꾸몄는데, 자꾸만 100M로 인터넷이 연결됩니다. (6) |
안개속영원 |
2016-01 |
10671 |
0 |
2016-01
10671
1 안개속영원
|
63364 |
겔럭시 탭 이상증세.. (3) |
Won낙연 |
2016-01 |
5013 |
0 |
2016-01
5013
1 Won낙연
|
63363 |
usb3.0 외장 하드독 추천 해주세요 (2) |
쌍cpu |
2016-01 |
6819 |
0 |
2016-01
6819
1 쌍cpu
|
63362 |
[초보]iptime NAS2e 사용중 궁금점 (2) |
chinni00 |
2016-01 |
5273 |
0 |
2016-01
5273
1 chinni00
|
63361 |
케이스 DIY 팁? (4) |
susemi |
2016-01 |
4478 |
0 |
2016-01
4478
1 susemi
|
63360 |
[Raid Controller] SSD RAID 5 or 6 용도로 추천 부탁 드립니다 (6) |
전설속의미… |
2016-01 |
5133 |
0 |
2016-01
5133
1 전설속의미…
|
63359 |
서버가 와장창 . 어쩌면 좋을까요 ? (18) |
준바이 |
2016-01 |
4971 |
0 |
2016-01
4971
1 준바이
|
63358 |
CCTV 감시 카메라 조언 (7) |
AKMU |
2016-01 |
5226 |
0 |
2016-01
5226
1 AKMU
|
63357 |
디스크 할당 크기 질문 |
포카 |
2016-01 |
4030 |
0 |
2016-01
4030
1 포카
|
기어를 D -> +/- 쪽으로 옮기고( P R N D 방향에 수직왼쪽방향 ),
+ 쪽으로 한번 올리면 1단씩 +
- 쪽으로 한번 올리면 1단씩 - 됩니다.
그리고 계기판에 D1 / D2 이렇게 표시됩니다.
수동과는 다르게 +/- 한번 옮기면 오락실 조이스틱 처럼 기어가 다시 제자리로 돌아갑니다.
1단에서는 깊게 밟으면 윗분 말씀처럼 눈길에서 휠스핀 날 가능성이 높으니...
1단에서는 출발만 하고, 2단에서 살살달리다가 정지해야할 상황이면 -쪽으로 한번 내려서, 브레이크를 쓰지않고 속도를 낮추는게 좋을 듯 합니다.
눈길 안전운전 하세요~
미끄러운길.. 내리막 등에서 속도가 붙으면 변속이 되어버리기 때문에 스포츠 모드를 씁니다.
엔진브레이크로 활용하기 위함이지요.
엔진브레이크도 막걸면 위험합니다.
그 외는 d 옆의 +- 로 조작하면 될 것 같은데 계기판에 현재 기어가 몇단인지 디스플레이가 없어 rpm 과 속도를 보고 대충 짐작해서 조작했던 거 같습니다.
p.s. 아.. 다시 생각해보니 d +- 로 조작한 것은 계기판에 표시가 되었던 것 같습니다. 그냥 D 모드일 경우 자동 변속중인 현재의 기어값을 표시하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제가 수동모드를 사용했던 경우는 처가를 오갈때 산을 넘어야 하는데 한여름 오랜 시간동안 브레이킹으로 베이퍼락이 발생하는 걸 막고자 할 때... 뭐 그런 경우였습니다. 물론 기우였죠. 흐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