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서버 2012r2 hyper-v 네트워크 세팅 문의드려요

슬루프   
   조회 4683   추천 0    

제가 궁금한 부분은 하이퍼-v의 네트워크 세팅이라기 보다는 rdp가 안되는 것에 대한 질문입니다. 

vm에서 정상적으로 인터넷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리 저리 찾아봐도 머리에 잘 안들어오는 설명들이 대부분인데

혹시 일목요연하게 정리된 사이트나 블로그 아시는 분 계시면 추천 부탁드려요.

물리네트워크 1개

가상으로 외부 1개 내부 1개.


이렇게 만들고 외부와 내부를 공유 시켜주면 되는 것인지요?

일단 vm에서는 인터넷은 되는데 rdp가 연결이 안되고 있어서 무얼 잘못했는지를 모르겠습니다. 


rdp에 관해서는 관리자 권한으로 계정을 한개 더 만들고 비밀번호 설정했고 네트워크는 모두 개인으로 설정하고 방화벽도 해제하였으나 

연결이 안되는군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김황중 2016-03
네트웍 구성 문제겠네요

일단 vm엔 물린 ip는 어떻게 되나요?

만일 내부만 물린것이라연
외부와 내부가 공유된 장치에서 포트 맵핑은 해주셨나요?
다이렉트로 외부가 물려있다면 열린포트 확인해보시고요
김황중 2016-03
Vm 설정 문제 아닌
네트웍 설정 문제로 접근하세요

내탓을 하기전에 남 탓부터...^^
     
슬루프 2016-03
공유기 통하지 않고 외부라인에 직접 물렸습니다... 175.211.53.190  ....  윈 서버 생소해서 좀 어렵네요. 한 두번 해봤는데 그래도 잘 모르겠습니다.  하하하...
열린 포트 확인은 어떻게 해야하는 것인지요.. 완전 생 초짜라서..
vm워크스테이션 쓰다가 관리하기는 하이퍼-v가 편해서 다시 이전하려고 했더니 좀 애먹이고 있습니다.
아.. 내부 스위치는 만들어놓고 그냥 외부로 직접 연결시켜 버렸네요..  내부와 외부가 아직 연결이 안된 상태인듯.
          
김황중 2016-03
tcping 로 핑 때려보심 되고요.
해당 ip는 포트 핑 죽었습니다.
고로... isp에서 막고 있다는거죠..^^
(예상이 맞았네요...^^v )

열린 포트는 포트스캐너 돌려보심 됩니다.

내외부 연결은 그냥 공유기 쓰셔서 super DMZ 셋팅이 제일 편해요.
그러다 관리한 머신이 많아지면 각각을 포트포워딩으로 셋팅하시고...

뭐 제일 좋은거야 IDC로...^^
모든 포트 오픈되어 있으니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막아두고 쓰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서버라면
윈도우던 리눅스던 유닉스던....
일단 모든 포트는 이런 이유로 다 막고 시작합니다..^^


QnA
제목Page 2497/5725
2015-12   1765871   백메가
2014-05   5240431   정은준1
2016-03   4796   일반유저
2016-03   9089   나몰라1
2016-03   6084   김건우
2016-03   4439   e5472
2016-03   5233   송주환
2016-03   13933   미수맨
2016-03   4483   다롱이
2016-03   4054   씨형
2016-03   15818   이선호
2016-03   27592   땅땅
2016-03   8678   Polonium210
2016-03   5884   izegtob
2016-03   4692   리오
2016-03   4684   슬루프
2016-03   4472   미수맨
2016-03   4765   듀얼cpu
2016-03   4188   박명근TN
2016-03   4524   정은준1
2016-03   5744   Fasda
2016-03   4451   케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