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일러 온수관 누수가 발생했습니다. 도움 요청 드립니다.

   조회 15166   추천 0    



안녕하세요.

보일러 온수관에 누수가 발생했습니다.

첨부된 사진에서 동그라미 친 부분에 작은 틈이 발생했습니다.

작년에도 누수가 발생해서 사람불러서 고쳤는데 또 발생했습니다.

제가 직접 수리해 보려고 하는데 철물점에서는 ㄱ 자 이음관을 판매 안하더군요.

혹시 일반이 수리가 가능한지요?

그리고 사진의 부품을 구할수 있는 인터넷 주소좀 알려주세요.

 제가 시도했던 방법은


1. 자기융착 테이프 사용 -> 실패

2. 믹스앤픽스 수중용 사용-> 실패, 주말에 온수빼고 압력이 없는 상태에서 재시도 예정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ParkJungSoo 2016-04
외경/내경이 동일한 파이프 ㅡ ㄱ자 엘보 ㅡ 파이프
이렇게 구입하셔서 조립하시면 될 것 같은데요?
철물점에 가셔서 저렇게 만들어 달라고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해피버그 2016-04
철물점 가져가서 보여줬는데 부품도 없거니와
ㄱ자 엘보랑 파이프가 용접으로 된거라 제가 교체하기엔 어렵다고 하더라고요.
          
ParkJungSoo 2016-04
건재상이나 파이프집(배관집), 좀더 큰 철물점에 가보세요
파이프와 엘보도 없는 철물점이라니...

저게 금속 재질이라도 저기에 맞는 것들 다 팝니다.
애니악 2016-04
이건 PPC 융착기가 있어야 합니다.
개인이 하시기 어렵습니다.
     
해피버그 2016-04
아래 블로그 보니 어렵겠네요. ㅜㅜ
sso07091 2016-04
*비밀글입니다
     
애니악 2016-04
누수된 부분만 PB(에이콘)으로 시공했네요. 이렇게도 가능합니다 만 PB도 시공을 잘해야지 그렇지 않으면 또 누수.....
          
해피버그 2016-04
블로그를 봤는데 저것도 쉽지는 않을거 같습니다.
이기영1 2016-04
as 받으심이 정신건강에 좋읍니다,,
     
해피버그 2016-04
휴... 이번엔 또 얼마 달라고 할련지... 구멍 땜빵 해보고 안되면 AS 불러야 겠습니다.
김동수P 2016-04
그냥 테프론 테잎으로 엄청 두껍게 칭칭 감아 보세요.
의외로 테프론 테잎을 땡겨서 밀착시켜서 두껍게 감는 방법도 견고합니다.
옛날 수냉할때 누수가 있던 휘팅 부분을 테프론 테잎으로 한번 더 밖에서 칭칭칭칭칭칭칭칭 감는 방법으로 누수를 잡았던 적이 있습니다.
누수 테스트 후에 테프론 테잎 위에는 실리콘으로 마감해주면 됩니다. 생각보다 견고해요.

테프론 테잎이 믿음이 안가면, 옥션이나 그런데서 배관 누수 보수용 테이프가 있습니다. 재질은 실리콘/테프론인데 가격이 좀 나가긴 하는데...
     
해피버그 2016-04
네 그 테이프가 자기융착 실리콘 테이프인데
아무래도 ㄱ자로 꺽인 부분에서 누수가 발생한거라  ㅡ 형태에서 누수발생한거랑 다르게
실리콘 테이프로는 누수가 안잡히네요.
꺽인부분때문에 제대로 밀착이 안되나봐요
테프론 테입은 강한 압력으로 지속적으로 눌러주지 않으면 쉽게 풀릴 겁니다.

수압이 아주 높은게 아니면
알콜이나 아세톤으로 문제가 생긴 부분을 깨끗히 딱으시고 록타이트 401로 적당히 붙여 주신담에
그위에 방수용으로 엘보 주위에 좀 넓게 동그라게 욕실용 초산 실리콘 칠해 주시면 꽤 오래 가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틈이 아주 작으면 록타이트 401은 액체타입으로 쓰셔도 될듯한데 아니라면 젤타입으로 쓰셔야 할겁니다.

그리고 초산 실리콘은 작업 할때 최소 24시간 건조 시켜 주셔야 합니다.
제품에 따라 다르지만 완전 건조 까지는 7일정도 걸릴겁니다.
     
해피버그 2016-04
틈은 아주 작습니다.
테프론 작업 후 실리콘 테이프로 한번 막아봐야겠네요.
김준유 2016-04
설비 부속집 가셔서 xl 파이프용 커플링 &. 이건 엘보가 필요하겠네요.. 파손부위를 자르고 부속을 끼운후 테프론 테이프를 앞 코 부분에 칭칭 감아주세요.. 이유는 ppc 파이프가 xl 파이프보다 얇습니다. 두께 차이에서 오는 누수를 막기 위함입니다..
초보자는 여러번의 시행착오가 있을 수 있으나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몽키 2개로 꼭 채워 주시면 됩니다.
현장에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88파이프라고도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올림픽 직전에 지어진 아파트에 많이 쓰여서 그렇다는....
     
해피버그 2016-04
김준유님 방법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한번 시도해 보겠습니다.
          
김준유 2016-04
블로그에 있는 부속이 xl 커플링(cm) 부속입니다..
PPC+XL로 연결할 때는 유니온[http://cafeptthumb1.phinf.naver.net/20120406_88/yuhanmetal_13336972023059lFQg_JPEG/13.jpg?type=w740]
PPC+A-CON 연결시는 [http://blog.naver.com/sunggwang119?Redirect=Log&logNo=50129218922] 사용하시면 됩니다.

블로그의 가운데 있는 부분은 에이콘이구요.. 에이콘은 난방용으론 사용 잘 안합니다. 급수용입니다... xl은 수도용으로 사용하면 이끼가 낀다고 하네요... (그래도 다들 대충 섞어서 사용하더군요.. ) 이종 금속 부속이 들어갈 때는 이온화도를 고려해서 사용합니다..
catstyle 2016-04
일반 가정에서 직접 수리하신다면 sso07091님께서 링크 걸어주신 블로그처럼 하는게 답입니다
그나마 가장 저렴하면서 부품도 쉽게 구입 가능합니다


QnA
제목Page 2456/5730
2015-12   1791709   백메가
2014-05   5266781   정은준1
2016-04   5795   박남규
2016-04   4513   안형곤
2016-04   6117   김건우
2016-04   4772   쌍cpu
2016-04   4627   깜박깜박가
2016-04   4593   MS77
2016-04   10616   제스퍼즈
2016-04   3915   epowergate
2016-04   4684   블루모션
2016-04   7679   박상범
2016-04   6730   Lucyed
2016-04   19019   캡틴아메리카노
2016-04   4413   Lucifer
2016-04   15167   해피버그
2016-04   4656   주태백
2016-04   4228   나우마크
2016-04   11100   Psychophysi…
2016-04   4112   씨형
2016-04   5188   petabyte
2016-04   5340   Psychophys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