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트싱크 문의

   조회 5047   추천 0    

서버용 통구리 히트싱크와 vs

히트파이프 5개와 알루미늄을 사용한 히트싱크(플라워타입 슬림)

동일한 풍량으로 뒀을 때 어느 것이 성능이 더 좋을까요?

꿈만 꾸는 공상가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16-04
아마 거의 차이가 없을텐데 (1-3도차이)

개인적으로는 비싸도 통구리 히트싱크를 사용하겠습니다.
     
ParkJungSoo 2016-04
오...통구리가 많이 떨어지는 건 아닌가보군요
근데 패시브를 하려면 서버팬처럼 굉음을 내는 고풍량이
필요할지....두렵군요 하하하

빨리 브로드웰e가 나와야 결정짓고 뻘짓을 해볼건데
말입니다.
에스오투 2016-04
상황은 조금 다르지만,
i5 2500 에 모양이 동일한 인텔 정품쿨러(구리심이 있는 쿨러와 없는 쿨러)로 풀로드시 비교했을때 7도 이상 차이 나네요.

http://blog.naver.com/nacolulu0707/220165092039
     
ParkJungSoo 2016-04
구리의 위력이 상당하군요
구리의 열전도율은 알루미늄의 2배입니다. 구리보다 좋은 것으론... 금이나 은이 있지만 그렇게 차이가 나지 않는데다 이걸 방열판으로 쓰기엔... 켜켜~
힛파이프의 열전도율은 그렇게 좋은 구리보다 적게는 20배 많게는 2000배가량입니다. 이것도 점점 더 좋은 기술을 개발중이죠. 따라서 방열핀의 방열 능력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면 힛파이프쿨러의 방열 능력이 월등합니다. 그런데 현실은 방열핀의 방열 능력이나 쿨링팬의 능력 그리고 주변온도(배기가 안되는 경우 맴돌이 현상)등의
영향으로 방열 능력은 천차만별이 됩니다. 단순히 힛싱크의 능력만 볼 건 아닙니다.
거기다 힛파이프는 보통 2단계 이상의 접합이 필요한데 이 접합이라는 것이 또 방열을 방해하는 요소입니다. 그래서 나왔던게 힛파이프의 한쪽면을 아예 CPU에 직접
접촉하는 방식이었고요. 힛파이프도 금속이나 내부 액체에 따라 종류가 여러가지고 또 성능이 다릅니다.


QnA
제목Page 2436/5725
2014-05   5240508   정은준1
2015-12   1765979   백메가
2016-04   6546   에이씨피유
2016-04   4504   samkid
2016-04   8447   왕용필
2016-04   6806   제로섬
2016-04   6246   새총
2016-04   4387   아르코
2016-04   5048   깜박깜박가
2016-04   5717   김승현1
2016-04   11774   AI입니다
2016-04   6143   MikroTik이진
2016-04   8744   PiPPuuP
2016-04   5928   인디고
2016-04   8589   위드엔
2016-04   6138   langrisser
2016-04   5886   임시현
2016-04   4506   anh
2016-04   14356   회원K
2016-04   6769   Christopher
2016-04   4793   2CPU최주희
2016-04   4426   퍼싱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