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압/전류 그리고 고장에 대하여

   조회 13093   추천 2    

 컴퓨터나 전자제품을 사용하다보면 흔히들 전기문제로 고장이 난다고 많이들 말씀하십니다.

저도 그렇게 알고 있고 많은 경험도 했습니다.

예를들어서 인터넷공유기의 경우에 12v  2A의 아답터를 사용한다고 할경우에 아답터의 이상으로 어떨 경우에 

공유기가 고장나는지 알고 싶습니다.

1.전압이 12v 이하로 떨어질때-일반적으로 이경우에 기기에 문제가 생긴다고 알고 있습니다.

2.전압은 12v이상인데 전류가 떨어질 경우도 있나요???

3.전압이 12v를 너무 오버해서 15v일경우에도 고장나겠죠?이 경우 기기에 무리가 갈테니..

------

제가 이런 궁금증을 가지게 된 이유가 iptime공유기를 사용하다보면 흔히들 아답터문제로 공유기가 고장난다고 많이들 말씀하시고 요즘 멀티탭을 보면 수많은 아답터가 끼워져 있어서 불안하던 차에 멀티테스기를 하나 구입했습니다.

멀티테스트기로 한번 테스트를 해보니 전압은 쉽게 바로 나오는데

전류측정은 고정되게 측정되는게 아니라 내려갔다 올라갔다를 반복하기도하고 어떤 아답터는 들쑥날쑥하더군요.

그래서 전류의 이상으로도 기기가 고장이 날수있는지도 궁금했습니다.

전기에 대해서 많은 지식이 없다보니 모든 것이 서투네요..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이번에 2011년부터 사용하던 N6004가 언제부턴가 인터넷전화기가 끊기고 음질이 안좋더니 그때부터 무선에 문제가 있었나봅니다 .그러다 어느날 유선이 아예 안되고 무선도 당연히 안되어서 새롭게 A3004로 넘어왔습니다. 그러던 차에 인터넷검색하다보니 아답터의 중요성에 대해서 많이들 말씀하셔서 멀티테스트기를 하나 장만하고나니 궁금한게 많이 생기네요)

세상을 즐겨라. 그리고 베풀어라..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이규섭 2016-06
1. 전압이 낮아지면 오작동을 일으키다가 고장나기도 합니다.

2. 전압의 높낮이와 전류의 높낮이는 전혀 관계없습니다.
옷에서 일어나는 정전기는 전압이 매우 높지만, 전류량이 낮아 웬만해서는 정전기로 인해 감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참고로 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는 대략 수만볼트에서 높으면 십만단위 볼트까지도 올라갑니다.

3. 12v짜리에 15v짜리 아답터 꽂으면 열에 아홉은 기기 고장이 납니다.
정격 전압 대비 20%이상 높은 전압이 들어오는데 고장안날리가 없죠. 가끔은 터지기도 합니다.

그리고 전압이 동일하면 좀 더 높은 전류량을 가진 아답터를 꽂아도 됩니다.
오히려 인가전류량에 딱 맞는 아답터보다 전류량이 좀 더 높은 아답터를 꽂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일례로 파워서플라이의 12v 전류량이 20A짜리와 15A짜리가 있을 때, 만약 15A를 꽉채워 쓴다면 20A일때가 더 안정적이죠.

일반적으로 PC파워서플라이 안정성 테스트때 주로 체크하는 것이 전압출렁임이죠.
즉, 아답터도 전압이나 전류량이 출렁이게 되면 불안정해지는 것입니다. 그래서 기기가 고장나거나 아답터가 고장나거나 하는거죠.
     
라온제나 2016-06
멀티테스트기로 전류테스트를 하면 전류측정은 일정하게 안나오는게 정상인가요?
기기에 연결을 안해서 그런건가요?
멀티테스트기를 구입한김에 전류측정을 해보니 숫자가 서서히 떨어졌다가 서서히 올라가기를 반복하는 아답터도 있고 어떤아답터는 이상한건지 그렇게도 측정이 안되고 끊겼다 전류가 표시되었다를 반복하더군요
          
무아 2016-06
기기에 연결 안했는데 전류 측정이 일정하게 안나온다라....
뭔가 잘못하신 것 같은데요.
기기에 연결하지 않았다면 전류는 0 이 나와야 합니다.
멀티 테스터기로 전압을 측정하는 방법과 전류를 측정하는 방법이 다릅니다.
전압은 그냥 두 점을 찍으면 되지만 ( + 부분과 GND 부분)
전류는 회로를 끊고 그 사이에 테스터기를 연결해야 측정이 됩니다.



               
라온제나 2016-06
아 그렇군요..ㅠㅠㅠ 문외한이라서 다시한번 멀티테스트기기로 전류테스트하는법을 찾아봐야겠군요.
답변감사드립니다.
                    
무아 2016-06
만약 전압 측정하듯이 전류를 측정하였다면
불꽃이 튀는 걸 봤을 수 있고 멀티테스터기에 데미지가 가거나 (멀티 테스트기의 허용 전류 이상으로 흘렀을 경우) 아답타에 데미지가 갈 수 있습니다.
                    
에스오투 2016-06
전류측정은 위의 그림처럼 회로 중간을 끊고 전류계로 측정하거나, 클램프미터 라는 장비를 사용해야 합니다.
               
배병렬 2016-06
음냐... 고등학교 때 기술 책에 나왔던 것 같기도 하고.....
시도니 2016-06
입타임의 아답터는 문제가 많습니다.

제품단가 때문인지... 아답터들이 잘 나갑니다.

차라리 좀 더 비싸게 팔지언정 아답터의 품질이 좋아지면

제품 신뢰도도 좋아질텐데요.

정작 입타임의 제품 라이프사이클이 그리 길지 않아서 큰 문제가 안된다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입타입 공유기를 편리하게 잘 쓰고 있습니다.

요즘은 제법 고가 흉내낸 제품도 나오긴 하던데..

그냥 무선아이피공유기 딱 고 수준으로만 사용하는 데는 크게 무리 없는 제품이라고 생각합니다.

망가져도 그렇게 크게 아쉽지 않은......? 그 정도라고 생각합니다.
박문형 2016-06
그 돈이면 아이피타임 밖에 없지요..
1851 2016-06
캐패시터가 수명이 있어서 주로 고장을 잘 일으켜요.
사용온도에 따라 적정사용 가능시간이 있는데.. 이부품을 좋은걸 사용안하면 얼마 안가서 수명이 다해요
캐패시터 역활은 안정적으로 전류를 공급해주는건데 이게 고장나면 순간적으로 전류가 떨어지거나 공급이 끊겨서 문제를 일으켜요
단순 멀티테스터기로는 순간 전류 변동을 측정하긴 어려울거에요.
chis 2016-06
IPTIME꺼 아답타가 유리아답타로 유명한데요...
진짜 오래된 모델 아니고서는 5~12V를 다 먹습니다...
예를들면 지금 제방에서 쓰는 공유기가 A1004NS인데 들어있는 아답타는 12V 1A지만 그 아답타는 사용한적이 없고 예전에 쓰던
DLINK 공유기의 5V 2A아답타를 그대로 쓰고있습니다...거실에 있는거는 N6004인데 원래 5V아답타가 들어있던거로 기억됩니다..
지금은 12V아답타 꼽아놓고 쓰고 있어요...
     
라온제나 2016-06
그렇군요..
전 무선인터넷은 그냥 인터넷전화 가끔씩 사용하고 태블릿/노트북 아주 잠깐씩 사용하는 정도고 주로  pc를 사용해서
유선안정성이 뛰어나면서 그냥 보통수준의 무선이 필요해서 A3004를 선택했습니다.
어드반 2016-06
V 는 강의폭  A는 물살 로 이해하면 쉬울겁니더 
혹은 물호스 크키  와 수압


QnA
제목Page 2394/5727
2015-12   1777416   백메가
2014-05   5252389   정은준1
2016-06   5021   izegtob
2016-06   6136   김건우
2016-06   5246   김건우
2016-06   4996   하셀호프
2016-06   13094   라온제나
2016-06   7281   NAS고장났다…
2016-06   6112   푸하히
2016-06   4010   새총
2016-06   5426   무아
2016-06   6016   yuno
2016-06   6103   zzsyi30
2016-06   6688   아마데우쓰
2016-06   4837   H4CHI
2016-06   5857   미담
2016-06   4415   미담
2016-06   5473   김훈1
2016-06   4685   쓰레기단장
2016-06   4391   초보IT
2016-06   4961   Noman
2016-06   7934   최진형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