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37715 |
0 |
2014-05
5237715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3418 |
25 |
2015-12
1763418
1 백메가
|
67712 |
메인보드 시계 관련해서 질문좀 드립니다.. (3) |
FreeBSD |
2016-07 |
4746 |
0 |
2016-07
4746
1 FreeBSD
|
67711 |
데이터 복구 프로그램 추천 부탁드립니다.... (4) |
황혼을향해 |
2016-07 |
4965 |
0 |
2016-07
4965
1 황혼을향해
|
67710 |
cat6 케이블 및 커넥터 퀄리티 문제 (8) |
겨울나무 |
2016-07 |
5633 |
0 |
2016-07
5633
1 겨울나무
|
67709 |
aspeed 내장그래픽 월래구린가요? (5) |
행복하세 |
2016-07 |
6705 |
0 |
2016-07
6705
1 행복하세
|
67708 |
내용에 알맞는 원격 프로그램이 있을까요 (2) |
나라뜨 |
2016-07 |
3716 |
0 |
2016-07
3716
1 나라뜨
|
67707 |
TV 구입 인터넷 대리점 차이 있을까요? (5) |
정진환 |
2016-07 |
6463 |
0 |
2016-07
6463
1 정진환
|
67706 |
램 디스크 관련 궁금한점 (8) |
백만스물하나 |
2016-07 |
4674 |
0 |
2016-07
4674
1 백만스물하나
|
67705 |
저의 램드라이브 벤치점수 올려봅니다. (4) |
박상일 |
2016-07 |
3800 |
2 |
2016-07
3800
1 박상일
|
67704 |
램 수리 관련하여 문의 드립니다.. (4) |
차넷컴퓨터 |
2016-07 |
5036 |
0 |
2016-07
5036
1 차넷컴퓨터
|
67703 |
구형 아이폰 수리점 문의 드립니다 (5) |
권희석 |
2016-07 |
4932 |
0 |
2016-07
4932
1 권희석
|
67702 |
socks5 proxy vs squid(http) proxy (2) |
NGC |
2016-07 |
5673 |
0 |
2016-07
5673
1 NGC
|
67701 |
이런 필터는 어디서 구매 해야 하나요? (10) |
팝이좋아 |
2016-07 |
5527 |
0 |
2016-07
5527
1 팝이좋아
|
67700 |
듀얼cpu문제일까요? 아니면 운영체제 문제일까요? [해석프로그램 설치관련] (12) |
GoJoo |
2016-07 |
5960 |
0 |
2016-07
5960
1 GoJoo
|
67699 |
e5-2670 저렴한 보드 없을까요? (4) |
레종9 |
2016-07 |
4772 |
0 |
2016-07
4772
1 레종9
|
67698 |
아이폰5 케이스중... (3) |
전직P연구원 |
2016-07 |
3875 |
0 |
2016-07
3875
1 전직P연구원
|
67697 |
SuperMicro CSE-825 CSE-825 2u 샤시 호환성 어떨까요??? (6) |
룰루랄라 |
2016-07 |
4238 |
0 |
2016-07
4238
1 룰루랄라
|
67696 |
제온시피유 듀얼로 쓰는것과 싱글로 두대 돌리는 것의 전기소모 (4) |
하나비 |
2016-07 |
4054 |
0 |
2016-07
4054
1 하나비
|
67695 |
iLO 라이센스 질문 (3) |
Noman |
2016-07 |
3594 |
0 |
2016-07
3594
1 Noman
|
67694 |
t7810 사용자입니다. 3dmax 랜더시 코어가 반만 일하는 증상으로 3dmax 패치중 질문… (11) |
PLANX |
2016-07 |
4754 |
0 |
2016-07
4754
1 PLANX
|
67693 |
3D Max는 공식 지원이 36코어 까지 입니다 (8) |
박성만 |
2016-07 |
6568 |
1 |
2016-07
6568
1 박성만
|
예를 들어 제가 쓰는 LG G3의 경우, 해상도가 2560 x 1440인데 이게 바로 LCD의 해상도가 2560 x 1440라는 얘기입니다. 그러니까 기본적으로 항상 최고 해상도로 화면 표시를 하고 있는 겁니다.
다만 PC처럼 픽셀 대 픽셀로 매칭을 하면 글자가 무진장 작아지고 기기별로 차이가 크니까, DPI를 조절해서 해상도가 다른 기기들끼리도 비슷한 글자 크기를 유지하는거죠. 즉 요즈음 스마트폰은 FHD 동영상 같은 경우에는 오히려 동영상을 늘여서 화면을 꽉 채우는 겁니다. 그래서 동영상 플레이어에서 100%로 출력하면 화면보다 작게 표시되죠.
스마트폰에서 루팅으로 해상도 변경을 한다는 것은 이 기본 해상도를 더 낮추는게 목적 입니다. PC와 마찬가지로 해상도가 높을수록 화면 표시시에 부하가 더 걸리니 게임이나 웹서핑시에 버벅거리거나, 터치감이 밀리는 것 같다던지, 전기를 많이 먹는다던지 하는 문제가 생기는 걸 해결하려고 일부러 해상도를 낮추는거죠.
반면에 외부 출력의 경우에는 출력용 칩셋의 성능에 따라서 지원 해상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화면의 해상도랑은 다를 수 있습니다. 대부분 FHD는 문제가 없지만, 4K 60Hz를 지원하려면 어느 정도 스마트폰도 신형이어야하고 케이블도 SuperMHL이나 슬림포트 중에도 4K를 제대로 지원하는 몇몇개만 가능한 상태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뭐 이건 UHD가 좀 더 보급이 되어야지 해결이 되겠죠.
역시 PC랑 (안드로이드)태블릿/핸폰은 비슷한 기능을 할뿐 별개의 것으로 봐야되겠군요.
휴대폰의 해상도는 그냥 휴대폰 화면(lcd)크기에 따른 결과이고
외부 장치로 출력했을 경우
그 외부장비의 해상도로 결과물이 나오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