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드폰스펙에 있는 고해상도는 언제 어떻게 쓰는건가요? 아니면 이 해상도는 일반적인 의미와 사뭇다른의미가 있나요?

김건우   
   조회 5244   추천 0    

핸폰에서 해상도 변경을 위해서는 루팅을 해야한다는 말은 보았는데요

날이갈수록 이젠 거의 FHD해상도가 주류가 되어가는데

이제껏 FHD는 커녕 핸폰 본해상도 외에는 사용해본적이 없어서 말이죠.

답답한김에 우선 고객센터에 전화하니 여기서도 잘모르고 횡설수설하네요.

보여지는게 그해상도고 외부에 연결( HDMI등)하면 그건 연결하는 장비에 따라서 해상도가 다를수있거나 핸폰의 기본해상도 또는 보여지는 대로의

해상도만 나온다...라는 말을하는데

그럼 핸폰에서 보여지는거라는건 뭔지, 핸폰스펙에서 제공하는 최대해상도도 구현 또는 사용이 된다는 것인지 질문하니

그건 또 어렵다고 하는.... 말이 왔다갔다 하는 답만주네요.


핸드폰에서 어차피 고해상도 써봐야 화면이 작아서 글씨도 안보이겠지만

외부에 연결할때는 달라지는거 아니겠어요? 최소 FHD해상도의 모니터로 연결하면 핸폰스펙대로 최대해상도까진 아니라도 FHD정도로 하면

마치 PC를 쓰는것과 같은 그런 효과도 좀 볼수있고 그럴텐데...

좀 답답한감이 없지 않아서 질문올리게 되었습니다.


정리하자면 

외부기기에 고해상도로  보여지게 하기 위해서는 루팅을 해야한다...라는 결론인가요?

그리고 루팅한다고 하더라도   외부기기에 고해상도(여기서는 핸폰이 지원하는 스펙에 있는 최고해상도)로 쏜다고 했을 때

아무래도 램이나 그래픽칩? 또는 cpu등의 사양때문에 동영상등을 구동할때 버벅대거나 끊어지는, 사진슬라이드쇼와 같은, 말과 자막이 싱크가 안맞는

그런 상태를 보게 되는 것일까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drachen 2016-07
뭔가 근본적으로 잘못 생각하고 계신 것 같은데요. 스마트폰 스펙에 써있는 해상도가 실제 화면의 기본 해상도 입니다.
예를 들어 제가 쓰는 LG G3의 경우, 해상도가 2560 x 1440인데 이게 바로 LCD의 해상도가 2560 x 1440라는 얘기입니다. 그러니까 기본적으로 항상 최고 해상도로 화면 표시를 하고 있는 겁니다.
다만 PC처럼 픽셀 대 픽셀로 매칭을 하면 글자가 무진장 작아지고 기기별로 차이가 크니까, DPI를 조절해서 해상도가 다른 기기들끼리도 비슷한 글자 크기를 유지하는거죠. 즉 요즈음 스마트폰은 FHD 동영상 같은 경우에는 오히려 동영상을 늘여서 화면을 꽉 채우는 겁니다. 그래서 동영상 플레이어에서 100%로 출력하면 화면보다 작게 표시되죠.

스마트폰에서 루팅으로 해상도 변경을 한다는 것은 이 기본 해상도를 더 낮추는게 목적 입니다. PC와 마찬가지로 해상도가 높을수록 화면 표시시에 부하가 더 걸리니 게임이나 웹서핑시에 버벅거리거나, 터치감이 밀리는 것 같다던지, 전기를 많이 먹는다던지 하는 문제가 생기는 걸 해결하려고 일부러 해상도를 낮추는거죠.

반면에 외부 출력의 경우에는 출력용 칩셋의 성능에 따라서 지원 해상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화면의 해상도랑은 다를 수 있습니다. 대부분 FHD는 문제가 없지만, 4K 60Hz를 지원하려면 어느 정도 스마트폰도 신형이어야하고 케이블도 SuperMHL이나 슬림포트 중에도 4K를 제대로 지원하는 몇몇개만 가능한 상태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뭐 이건 UHD가 좀 더 보급이 되어야지 해결이 되겠죠.
     
김건우 2016-07
음...그런건가요? 잘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역시 PC랑 (안드로이드)태블릿/핸폰은 비슷한 기능을 할뿐 별개의 것으로 봐야되겠군요.
씨형 2016-07
output 에 해당하는 결과물은 결국, 그 output 디바이스에 맡겨야하는게 아닐까요?
휴대폰의 해상도는 그냥 휴대폰 화면(lcd)크기에 따른 결과이고

외부 장치로 출력했을 경우
그 외부장비의 해상도로 결과물이 나오겠지요


QnA
제목Page 2339/5724
2014-05   5237715   정은준1
2015-12   1763418   백메가
2016-07   4746   FreeBSD
2016-07   4965   황혼을향해
2016-07   5633   겨울나무
2016-07   6705   행복하세
2016-07   3716   나라뜨
2016-07   6463   정진환
2016-07   4674   백만스물하나
2016-07   3800   박상일
2016-07   5036   차넷컴퓨터
2016-07   4932   권희석
2016-07   5673   NGC
2016-07   5527   팝이좋아
2016-07   5960   GoJoo
2016-07   4772   레종9
2016-07   3875   전직P연구원
2016-07   4238   룰루랄라
2016-07   4054   하나비
2016-07   3594   Noman
2016-07   4754   PLANX
2016-07   6568   박성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