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US 메인보드 바이오스 롬라이터로 굽기 질문드립니다.

   조회 22691   추천 0    

플래쉬백 하지 그러냐~   그냥 씨모스 셋업에서 업데이트 하면 되지 그러냐~    이런 대답은 하지 마시구요..

플래쉬백 하다가 비싼 보드 홀라당 날려먹은 뒤로 플래쉬백은 생각도 하기 싫습니다.

바이오스가 날아가서 씨모스 진입 안될때 롬 라이터로 칩에다 바로 쓰는 방법을 여쭤보는겁니다.

 

그러니까.. 예전의 X79 보드의 초기 바이오스 파일을 다운 받아보면 .ROM 으로 끝나는 파일이었습니다. 

SABERTOOTH-X79-ASUS-1203.ROM    --> 이런식으로요...

 그러다 어느시점부터 이 바이오스 파일의 확장자가 달라졌습니다. .CAP 로요...

 SABERTOOTH-X79-ASUS-4801.CAP   -->이런 식으로요.... 

 

중간에 SABERTOOTH-X79-CAP-Converter.ROM  이 파일을 USB에 넣고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이 파일로 한 다음에

그 이후에 나온 .CAP 로 끝나는 바이오스 파일로 업데이트를 했습니다.

이 컨버터를 거치지 않고는 .CAP로 된 바이오스 파일을 업데이트를 할 수가 없습니다. 

 

그런데 재밌는건.. .ROM 인 파일들은 롬라이터로 잘 써집니다... 바이오스 칩 빼서 롬라이터로 라이팅 한 다음에 메인보드에 꼽으면 부팅이 됩니다. 그런 다음에 위와같은 컨버터 작업을 한 다음에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하면 됩니다.

그런데 .CAP로 끝난 파일은 롬라이터로 써지지가 않습니다. 써지긴 하는데 중간에 메세지가 하나 나오는데 허용범위를 넘어간다나?  뭐 그런 메세지였던거 같습니다. 여튼 라이팅 까지는 되기는 하나 이 칩을 꼽고 부팅하면.. 부팅이 안됩니다.... ㅠㅜ

 

 STCOM 이나 아이보라에 전화로 바이오스 구워 줄 수 있냐고 물어보면 롬에 구워준다고 하는데... 아마도 다른 방법이 있는거 같습니다.

 롬라이터로 쓰기는 하지만 롬라이터 기계가 다르거나 .CAP 파일을 굽는 다른 방법이 있나봅니다...   그게 궁금합니다.

 제가 써본 롬라이터가 314A  인가?  하는 모델인데 찾아보면 더 좋은 롬라이터들 많으니 그런것들은 되고 제꺼는 안되는건가 싶기도 하구요.

 

근데 어느 사설수리점에서도 .CAP 파일은 롬라이터로 안된다고 하더군요.. 수입사(유통사)에서 운용하는 서비스센터에서는 방법을 알고 있을거 같은데 얘기는 안해주고 지들이 유통한 제품 맞으면 구워준다고만 하더라구요.. 

요즘 나오는 Z170 보드들의 경우엔 . ROM 이 없고 죄다 .CAP  입니다..  그러니 롬라이터로 살리는 방법은 아얘 없는거죠...

 

어떻게 하면 롬 라이터로 구울 수 있을까요???

 

 

 질문이 너무 장황해서 짧게 질문 들어갑니다.

 

"ASUS 신형 메인보드 바이오스 업데이트 또는 깨진 바이오스 복구할때 .CAP 로 된 바이오스 파일을 롬라이터로 어떻게 굽느냐??"

 

입니다.


별입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김성진75 2016-07
제가 이문제를 문의 하셨던 분이 있는데.. 그게 님인지 모르겠습니다.
일단 전 잘구웠습니다.
아마도 칩은 WINBOND 칩에 25Q64시리즈일껍니다.
롬바이오스 프로그램에 위의 칩셋을 모델은 선택하시고요.
바이오스 불러오기하실때. *.*것을 선택하셨어 구우시면 됩니다.
제가 같은 롬바이오스로 그렇게 구워서 사용을 했었습니다.

위의 허용범위를 넘었다고 나오는 메세지는 바이오스 칩 명을 정확히 지정해주지 않으면 나오는 문구입니다.
에를 들면) 용량이 안맞아서 나오는 내용입니다.(롬의 내용은 8M인데 롬은 4M자리로 설정이 되어 있었서 그렇게 되는겁니다.
     
별이쨔잔 2016-07
네... 저 맞는거 같습니다. ^^  25Q64 선택하고 잘 구웠습니다. .ROM 으로 된건 이제 잘 되네요..
그런데 .CAP 로 된건 안되더라구요. .CAP 이 문제입니다..
일단 아랫분들 댓글보고 연구좀 해봐야겠습니다.
isaiah 2016-07
저도 몰랐엇는데 최근에 들어보니.. CAP은 그냥 바이너리가 아니라 앞뒤로 뭐가 더 붙어 있다고 하더군요.
 알맹이만 까서 구워야 한다고 들었습니다.
 그리고 최근 BIOS들은 보드에 맞추어서 추가로 삽입해 주어야 할 정보도 있다고 들었습니다. 보드 GUID 라던가 그런것 이였던것 같은데.

 바이오스 업데이터가 업데이트 할땐 해당 부분은 기존의 rom에서 추출해서 설치되는 롬의 빈자리에 넣는다고 하더군요.
 
 롬 라이터로 구울땐 그 작업을 수동으로 해 주어야 한다고 들었습ㄴ디ㅏ.
디오 2016-07
https://rog.asus.com/forum/showthread.php?55900-UEFI-BIOS-Chip-Recovery-Reprogram-Guide-(EZP2010-Programmer)

cap파일에 uuid와 mac등의 정보를 수동으로 넣어서 굽는  방법외엔 현재 없는거 같습니다.

읽어보시면 도움은 되실겁니다.  mac은 보드에 스티커로 있는데 uuid 찾는게 힘들듯합니다.

링크중에  uuiid 만들어주는 사이트도 있긴하던데 저 uuiid가 mac기반으로 만드는건지 다른조건으로 만드는건지는

확실히 나와있지 않습니다.
     
별이쨔잔 2016-07
제가 찾던게 이거네요... 이렇게 하면 되겠네요...  천천히 다시보고 시도해봐야겠네요..  근데 128메가짜리 칩이 있어야 테스트 해보는데..
이걸 어디서 구할수 있을까요?? 산넘어 산 이네요..
          
디오 2016-07
블루2014 2019-08
https://github.com/LongSoft/UEFITool/releases/tag/0.21.5

CAP 파일을 ROM 파일로 변환해 주는 유틸입니다.

UEFITool_0.21.5_win.zip 파일 설치하신 후, CAP 파일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나오는 메뉴에서 Extract body 선택하신 후 .ROM 형식으로 저장하면 됩니다.
rubrum 2020-06
asus 사이트에서 바이오스 파일 받으면 cap 확장자인데요
요즘 나오는 넙적한 바이오스칩이 아닌 dip타입이라면 ch341a 롬라이터에 물려서 바이오스 추출하여 bin으로 저장하고
커피레이크 개조할때 쓰는 커피타임0.85a버전으로 asus 사이트에서 받은 바이오스 파일을 읽어들입니다.(리스트에 있어야 합니다. 리스트에 없을경우 제작자에게 메일보내니 패치 보내주더군요)
커피타임으로 cap(캡슐)을 읽어들인후 개조할게 아니라면 메인보드에서 추출한 바이오스에서 uuid와 mac주소를 복사하여
아수스 사이트에서 받은 바이오스 파일에 붙여넣기하여
cap으로 저장하지 말고 그냥 저장하면 bin으로 저장됩니다.
그럼 롬라이터로 쓰는데 문제 없습니다.
뭐 개조를 해도 아수스 메인보드는 uuid와 mac주소를 복사 붙여넣기 해야 합니다. 플래시백 쓸때는 필요 없다고 합니다만.. 저는 플래시백되는
메인보드가 아니기에...

asus h110m-ks 메인보드를 이런식으로 커피레이크 개조를 했네요.. 부팅되고 잘 인식됩니다.

https://mycomputerstory.tistory.com/5

uuid와 mac주소 복사하는 방법은 위에 주소를 참고하세요


QnA
제목Page 2337/5725
2015-12   1768587   백메가
2014-05   5243284   정은준1
2016-07   4582   전설속의미…
2016-07   4772   병맛폰
2016-07   4182   Astarot
2016-07   8120   팔코2
2016-07   12454   고기
2016-07   9405   s김종화z
2016-07   4787   Cartman
2016-07   7598   싱어송라이터
2016-07   3972   스피어스
2016-07   4650   만년초보
2016-07   4309   이니이니
2016-07   3906   이호섭
2016-07   4991   김건우
2016-07   4225   김성진75
2016-07   22692   별이쨔잔
2016-07   5467   구름빵
2016-07   4673   서울사람
2016-07   5428   철슈
2016-07   4051   김현린
2016-07   6020   별이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