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76387 |
25 |
2015-12
1776387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51343 |
0 |
2014-05
5251343
1 정은준1
|
68128 |
차량 AUX 노이즈 (9) |
Christopher |
2016-07 |
8019 |
0 |
2016-07
8019
1 Christopher
|
68127 |
아수스 보드의 익스페레스 게이트 .. (5) |
2CPU최주희 |
2016-07 |
4521 |
0 |
2016-07
4521
1 2CPU최주희
|
68126 |
[비컴, 축구]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 스웨덴 국가 대표 선수인가요? (5) |
하셀호프 |
2016-07 |
4097 |
0 |
2016-07
4097
1 하셀호프
|
68125 |
[ Triple Os ] 오픈스택 on 오픈스택/VMware 에서 SRIOV 가능한가요 ? |
전설속의미… |
2016-07 |
3588 |
0 |
2016-07
3588
1 전설속의미…
|
68124 |
DL120 G6 에 리눅스 설치 (4) |
이갑부 |
2016-07 |
4114 |
0 |
2016-07
4114
1 이갑부
|
68123 |
SQL 테이블 병합에 대해 여쭙습니다. (11) |
Midabo |
2016-07 |
8764 |
0 |
2016-07
8764
1 Midabo
|
68122 |
H310 Mini 추가 질문 드립니다. (2) |
prasha |
2016-07 |
3593 |
0 |
2016-07
3593
1 prasha
|
68121 |
ML350 Gen9 사용중인데, 부팅에 문제가 있습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6) |
뽀뽀중 |
2016-07 |
4952 |
0 |
2016-07
4952
1 뽀뽀중
|
68120 |
DELL R720 디스크 인식문제 (6) |
prasha |
2016-07 |
6688 |
0 |
2016-07
6688
1 prasha
|
68119 |
미크로틱 CRS-125-24G 설정오류 (1) |
회원K |
2016-07 |
4431 |
0 |
2016-07
4431
1 회원K
|
68118 |
hp z230sff에서 i7-4790s 사용가능할까요? (1) |
sinabro |
2016-07 |
3743 |
0 |
2016-07
3743
1 sinabro
|
68117 |
케이블을 찾습니다 도와주세요~! HDMI에서 DisplayPort 로... (5) |
나파이강승훈 |
2016-07 |
5313 |
0 |
2016-07
5313
1 나파이강승훈
|
68116 |
[질문] 사용중인 피씨의 ip정보 출력 프로그램 문의 (1) |
monan |
2016-07 |
3762 |
0 |
2016-07
3762
1 monan
|
68115 |
혹시.. 델 보스트로 나 비슷한 데스크탑 OS DVD 있으신분 계실까요? (1) |
나파이강승훈 |
2016-07 |
3400 |
0 |
2016-07
3400
1 나파이강승훈
|
68114 |
용산 메인보드 수리점 정보 알려주세요 (7) |
쿨리스트 |
2016-07 |
7415 |
0 |
2016-07
7415
1 쿨리스트
|
68113 |
EAC를 이용한 CD음원 리핑시 Track quality 99.9 % 의미? (2) |
오준호5 |
2016-07 |
6365 |
0 |
2016-07
6365
1 오준호5
|
68112 |
이럴 땐 어떤 규격의 전선, 콘센트, 플러그를 사용해야 하나요? (5) |
태성기김 |
2016-07 |
7996 |
0 |
2016-07
7996
1 태성기김
|
68111 |
최신 리눅스는 스카이레이크 다 지원하지 않나요? (8) |
drycell |
2016-07 |
9158 |
0 |
2016-07
9158
1 drycell
|
68110 |
[문의]이정도면 누진이 없다면 월 전기요금이 얼마나 나올까요? (2) |
퍼싱글 |
2016-07 |
4067 |
0 |
2016-07
4067
1 퍼싱글
|
68109 |
DL360 G9 1G SFP동작 관련 질문입니다. (1) |
Dominozlol |
2016-07 |
4278 |
0 |
2016-07
4278
1 Dominozlol
|
그 이상의 A를 가지는 제품들은 전기기자제 상에 문의하여 주문해야 합니다..
전선 자체가 버틴다고 해도 플라스틱이 비바람을 맞고 직사광선을 받으면 플라스틱이 경화되서 갈라집니다.
차라리
http://storefarm.naver.com/seoullamp/products/176178454?NaPm=ct%3Dir5u1wjs%7Cci%3D9434a5388ce7214c2fd12eb393ecfe17007721e8%7Ctr%3Dsls%7Csn%3D172414%7Chk%3D4bdaf5b044cc1b7470ba3650da8ef7db96ffea5a
이 제품처럼 망철통에 말아서 쓸 수 있는 것이 훨씬 나을 겁니다. 관리면에서도 허용 A 면에서도 훨씬 유리할 겁니다.
누전 차단기가 달려 있으면 더더욱 좋을 거구요.
일반적으로 16A 정도면, 에어컨이나 난방기를 튼 상태의 일반 가정집에서 전기 사용량을 모두 소화하고도 남을 겁니다.
문제는 2M 짜리 멀티탭인데, 멀티탭은 일단 싼것을 사면 안됩니다.
소위 PC 연결해서 쓰는 싸구려 멀티탭에 대형 에어컨을 꼽으면 전선이 전력량은 버텨도 문제는 멀티탭이 열때문에 녹을 수 있습니다. 좋은 거 사세요.
PS. 절대 조립해서 쓰지 마세요. 전파사에서 파는 것으로 접지3선으로 만들 수도 있습니다만, 뒷단에 에어컨이나 전열기를 꼽으신다면 위험합니다.
인버터 타입은 일반 브레이커 쓰셔야지 누전차단기는 떨어집니다.
케이블은 사실 제작해서 써도 되지 않겠나? 하는 생각인데... 문제는 제작하는 케이블이 아무케이블이나 되는게 아니라,
실외 야지 포설을 염두하고 만들어진 대용량 연선 케이블이 있습니다. 그걸 쓰셔야 할꺼에요~
그리고 허용 용량을 간당간당하게 쓰시는건 절대 안됩니다.
포설위치의 기온이 높거나 직사광선에 노출되어 있다거나 동작중인 뭔가 기기가 열이나 노이즈를 내뿜고 있다거나 하는 이유로 국부적이거나
광범위한 온도상승의 가능성이 있다면 열로인한 선로저항의 변화도 생각을 하셔야 합니다.
불나요.
포터블하게 사용하시겠다믄 일반기기용 전원라인과, 냉/난방용 대용량 라인을 분리해서 쓰시고, 더 안전하게 가자믄 설치지역의 땅을 조금 파서
그 안에 충분한 용량의 선로를 전선관에 넣어서 매립하여 사용하시는게 안전합니다. 매립하는 경우는 라인 하나로 되겠네요.
2M 라인도 마찬가지고, 일반콘센트가 아닌 30a 급으로 나오는 르그랑이나 메네키스 콘센트와 플러그 세트가 있습니다.
그 콘센트랑 용량 충분한 전선 사용해서 조립된 아울렛으로 만들어서 사용하세요.
최소 2.5mm2 이상을 사용하셔야 하고 안전하게 4mm2 를 사용하는걸 권합니다.
2.5mm2를 사용하실 경우 VCT 2.5mm2*3선 을 사용하시면 작업성이 훨씬 좋습니다.
그리고 ELB에 바로 전선 연결하는걸 권합니다.
콘센트는 15~16A가 최대라 그 이상의 용량이 들어갈 경우 바로 전선끼리 연결하셔야 하구요...
5A(70% 이하) 이하의 전격용량 제품을 사용하시길 권합니다.
자주 설치, 철거를 한다고 하면야 전선릴이 제일 나은데... 무엇때문에 설치,철거를 반복하시려는건가요?
어설프게 해서 사고내지마시고 후렉시블 지하에 묻고 전선 SQ3mm 이상 옥외용으로 설치하세요. 부하있는측에 누전차단기 하나 더 설치하시면 좋구요. 접지도 따로 하나 묻으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