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드 이중화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RAID를 처음 듣고 해보는것이라 많이 모릅니다.
PC 구성
- Intel i7-4700EQ (TDP 47W)
- ADATA SP900 X 2EA
1. 고객이 하드 이중화(하드불량이 나도 다른 하드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PC 운영에 끊임이 없어야함)를 요청하여서
PC업체 문의를 하니 RAID1(미러링)을 말씀을 하시는데 하드 이중화 = RAID1(미러링)이 맞는것인가요?
혹시 다른 방법은 없는 것인가요?
2. 일단 PC를 구입하고 RAID1(미러링)으로 아래와 같이 BIOS에서 설정하고 윈도우를 설치하여 RAID 시험하고 있습니다.
SSD를 뺐다가 꼈다가 하면서 Rebuild도 해보고 있는데
가끔 Offline Member라고 나오고 raid 상태가 Degraded로 표시됩니다.
Degraded, Offline Member는 무슨 의미 인가요?
아래처럼 이해한것이 맞나요?
------------------------------------------------------------------------------
Nomal : RAID 상태 정상
Degraded : RAID 상태 비정상(두개의 하드중 1개가 불량 또는 연결되지 않음)
Rebuild : 불량하드를 교체하여 정상하드 데이터를 새로운 하드에 복사
Menmber Disk : 하드디스크 RAID 정상상태
Offline Member : 하드는 연결되어 인식하지만 RAID 되지 않은 상태
-------------------------------------------------------------------------------
Offline Membe이면 어떻게 조치를 해야 하나요?
3. RAID1(미러링) 사용 중 하드가 불량난 것은 어떻게 알수 있나요?
SSD 두개를 사용중이기 때문에 하나가 불량나도 PC는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을텐데
어떤놈이 불량이 발생되었는지 확인이 안될것 같습니다.
아니면 CrystalDiskInfo 같은 하드디스크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주기적으로 돌려서 상태확인 하는 방법 밖에 없을까요?
4. 하드 불량시 교체를 하고 부팅을 하면 Rebulid 모드에서 새하드에 자동으로 복사를 하는것으로 알고있는데
새 하드 RAID 설정은 따로 안해도 되는 것인가요?
물론 같은 모델로 교체하는 것이 좋겠지만 구하지 못할경우 같은 용량의 다른 모델로 교체하여도 문제는 안되겠지요?
질문이 많은데 도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 용어에 대해서는 질문자님이 이해하신 것이 대체로 맞습니다.
근데 . offline member 상태는 말그대로 디스크가 offline 상태라는 것을 의미하고요, online 으로 만들어 주시면 되죠. 연결을 다시 하든지, 디스크를 교체하든지...
3. 말씀하신 것이 맞습니다. 주기적으로 관리도구를 이용해서 모니터링 하셔야죠. 아니면 문제가 되면 메일 등으로 알림을 받도록 알림 체계를 만드시든지요.
보통 사용하다가 디스크 하나가 문제가 되면 볼륨이 Degraded상태가 됩니다. 그 때 교체해주면 되는데, 이건 좀 수동적인 방법이고요,
좀 더 적극적인 방법은 아니면 Smart 테스트를 주기적으로 하시다가 단일 디스크에 SMART 테스트에 문제가 생기면 해당 디스크를 바로 교체하는 방법입니다.
SMART 에러가 난다고 해서 바로 Degraded 상태가 되진 않습니다.
4. RAID 설정은 보통 따로 안해도 되고요, 용량은 기존 디스크보다 커야 됩니다.
2. offline을 online으로 변경시 따로 조건이 있는것인가요?
위의 사진에 offline으로 나와있지만 뻈다 꼈다 이것저것 하다보니 다시 online으로 되었습니다.
3. 모니터링 쪽은 좀더 공부를 해야겠군요. 좀더 방법을 찾아봐야겠네요.
4. 따로 설정없이 용량만 맞추면 되는군요. 감사합니다.
RAID는 백업 솔루션이 아니예요
RAID 1외에 다른 방법을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
하지만 메인보드에 달려있는 Onboard Raid 방식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그냥저냥 전통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인 Raid구성시에도 H/W Raid card를 이용하셔서 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모 금전적인 여유가 있으시다면 Disk storage를 이용한 SAN Boot 또는 iscsi boot 으로 구성하시면 좋겠네요 (금액은 아마 좀 나오실겁니다. ^^;)
* 디스크를 사용하시는건 strorage던 다른 방식이던 ,어떤 방식이라도 언젠간 디스크 장애가 발생합니다. *
금전적으로 여유가 없네요.. 메인보드에 달려있는것으로 해야할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2. 대체로 이해하신 부분이 맞는 듯 합니다. Member 는 Array 와 같은 뉘앙스로 이해하면 적당할 거 같네요.
3. 육안 LED 확인 외에 , 인텔 서버라면 공식 사이트의 Raid web console 2 라는 유틸리티로 리모트 진단 가능합니다.
4. 서버 상황에 따라 일반적으로 별다른 설정 없이, 장애나서 degraded 된 디스크 제거 후, 동일 새 디스크로 교체시 자동 Rebuild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외도 있으니, RWC2(3의 프로그램)유틸리티에서 확인 하시면 됩니다
5. 별도의 사족이지만, RAID 0/1 은 Intel서버의 내장 레이드 나쁘지 않습니다. 되려 저는 주변에 권장하는 편입니다.
디스크가 SSD 군요. 저라면 그대로 설정할 거 같습니다.
조금이나마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네요.
레이드 관리하는 프로그램인가보네요.Raid web console 2을 찾아서 보겠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그 외에는 대안이 잘 없는데 하루에 한번씩 원하드에서 복사하드로 카피하게 만드는 스크립트를 짜서 넣어두는 방법도 있습니다.
2개의 디스크로 불안하면 4개나 8개의 디스크로 RAID 1+0으로 잡아 사용하면 좀 덜합니다..
그리고 저 회사 SSD보다는 인텔 SSD를 권장합니다..
SSD는 인텔이 좋은가 보네요.
답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