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적 배드섹터가 자주나는게 하드디스크 불량이 원인일 수도 있나요?

하재영   
   조회 11070   추천 0    

 제 하드는 아니고, 사용시간이 대략 13600시간 쯤 되는 제 형이 쓰는 삼성 502GB 하드에 관한 질문입니다만, 한 두세달 전 쯤 갑자기 부팅이 안된다길래 봤더니, 하드디스크가 CRC 오류를 뱉어내면서 아예 접근 자체가 안되더군요. 파티션 포맷은 RAW 형식으로 변해있었고요. 처음엔 이게 드디어 맛간건가 싶었는데, CrystalDiskInfo 로 상태를 확인해보니, 물리적 배드섹터는 아니고 논리적 배드섹터로 나오더군요. 어쩌다 운 좋게 접근이 다시 되서 바로 백업하고 제로필을 해서 결론적으론 일시적으로 소프트웨어가 꼬여서 일어난 문제였으며 운 좋게 문제가 해결된 것으로 지금까지 알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금요일에 또 동일한 오류를 내길래 봤는데, 이번에도 마찬가지로 물리적 배드섹터는 없고, 논리적 배드섹터만 존재하며, CRC 오류를 뱉고, 파티션 포맷이 RAW로 변해 있었습니다. 혹시 형한테 토렌트나 뭐 하드 많이 굴리는 프로그램을 돌리거나 하드에 무리를 주는 행동을 한 적 있냐고 물어봤는데, 문서작업이랑 게임밖에 안했답니다. 문서작업은 ppt나 워드, hwp 정도밖에 하지 않았다고 했고, 게임은 넥슨 게임이나 블리자드 게임, 스팀 게임정도밖에 한적이 없다고 했습니다. 적어도 제가 보기에 하드에 무리를 줄만한 작업은 하지 않은걸로 보입니다. 이번에는 전문 복구 툴을 이용해서 복구를 시도했으나, 대부분의 파일이 아예 깨져 버려서 쓸데없는 파일밖에 복구가 되지 않았습니다. 혹시 이러한 논리적 오류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에는 꼭 물리적 손상이 아니고 제로필을 하면 해결되는 논리적 손상일지라도 컴퓨터가 돌아가면서 소프트웨어적으로 꼬이는게 아니더라도 하드디스크의 불량이 원인일 수 있는건가요? 친구말로는 하드 문제가 맞는것 같다고는 하는데, 전 지금까지 하드가 한번도 뻑가본적이 없어서 보통 하드 자체가 불량이다 하면 거의 반드시 물리적 배드섹터로 나타나는줄 알았거든요....


내용정리 및 그외 최대한의 관련 정보

하드 스펙 : 사용시간 대략 13600시간, 삼성 502GB 하드디스크, 4096byte NTFS 포맷으로 사용중이었음

문제는 항상 부트 시 바이오스상에서 운영체제가 있는 하드에 접근할 수 없는 것으로 발견됨(즉 , C:로 돌리는 파일, OS는 Windows7 64bit)

윈도우상에서 접근 시 하드가 CRC 오류 뱉음. 접근 아예 안됨. 파티션 포맷은 RAW로 변경되어있음. 파일은 일부 깨짐

CrystalDiskInfo 확인 결과 물리적 손상은 전혀 발견되지 않음. 항상 논리적 손상만이 발견됨

제로필을 하면 문제가 해결됨

주 작업은 문서작업 및 넥슨, 스팀, 블리자드 류 및 몇몇 온라인게임.

복구 툴을 돌려본 결과 일부 파일(특히 바탕화면에 있는것들)은 깨지나, 꽤 많은 파일들이 정상적으로 탐지

TestDisk로 확인했을 때 부트섹터가 Bad 상태

매우 느린 속도긴 했으나 논리적 배드섹터가 조금씩 증가함. 맨 처음에는 원시값 2 였으나, 제로필 직전에는 원시값 A (10진수로 10) 까지 감


혹시 알고계신게 있으신 분들이나 오류를 발견하신 분께서는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하재영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악마라네 2016-09
하드디스크 오래 쓰셨네요. 하드디스크 하드웨어적 문제일 가능성이 높아보이네요.
악마라네 2016-09
블리자드 게임은 다운로드시 토렌트를 이용합니다.

무엇보다도 물리적 사용시간이 13600시간, 대략 560일 가량, 생산일로 부터 따지면 대략 3년이상은 되지 않았나요? 그러면 보증기간도 지난 하드디스크 인데... 당연히 문제가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하드디스크는 소모품입니다. 대략 24~30개월 단위로 교체해야 문제없이 사용가능합니다. (극도로 사용시간이 짧은, 외장하드라고 해도 말이죠.)
     
뭔가 이상한 말하시네요
하드디스크가 소모품이란건 알지만 적어도 사용보증 시간이 10만 시간 이상입니다.
보증기간 지난 하드디스크면 당연히 문제 있다고한 근거는 무었이며
24개월에서 30개월 사이에 교체를 해야한다는 근거는 무었입니까?
          
24~30개월사이에 교체한다는 근거는 경험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저도 24~30개월에 대한 경험이 많기에 동의합니다.
물론 절대적인 수치는 아니며, 심지어 AS기간내일수도 있는 상황이긴하지만요.
크리티컬한 자료를 보관하는 경우라면 24~30은 최대한 지키려고합니다. 유지보수체를 24개월로 설정하고 계획을 합니다.(저의 경우..)
개인용이거나 크리티컬하지 않다면 굳이 게획하지는 않습니다.
          
ZSNET5 2016-09
저는 제가 관리하고 있는 고객사들에게 36개월 단위로 엔클로저의 디스크들을 전량교체하라고 권고하고 있습니다.
좀 덜 민감한 고객사에도 최소 48개월을 권고하며, 디스크 교체 안해주면 유지보수 계약 연장 안한다고 협박(?)합니다.
디스크 교체시에는 시간이 좀 걸리고 힘이 들더라도 백업했다가 새로 부어넣어 줍니다.
하드디스크는 사용보증시간이라는게 없다고 보고 대응책을 수립하는게 건강에 좋습니다.

가끔 제가 장터에 디스크를 수십개씩 내 보내는게 이것 때문이며, 데이터의 외부유출에 덜 민감하고(가져가 봐야 쓸데없는 데이터) 교체비용을 조금이라도 줄이려는 고객사의 물건들입니다.(저도 몇푼 남기기는 합니다...^.^;;)
          
악마라네 2016-09
보증기간도 지난 하드디스크에서 논리적 베드가 발견된 디스크에 데이타를 담아두는 것은 자살행위라고 생각합니다.

MTBF가 100,000 시간이라고 100,000 시간까지 고장이 안난다고 보증하는 것은 아닙니다.
MTBF의 의미 : http://bahndal.egloos.com/191450
AFR의 의미 : http://bahndal.egloos.com/193171

제조회사에 상관없이 Fail Rate는 24개월이 지나면 올라가기 시작합니다.
http://bahndal.egloos.com/480216

Mission Critical 한 중요한 자료들을 담아놓은 Array의 HDD들을 24개월 이상 유지할 자신감은 저는 없습니다.
근거가 뭐라고 물으시면, 2009년 이후로 NAS 5대가량을 유지하면서, HDD 교체를 해본 경험적 근거입니다.
Raccoon 2016-09
논리적 bad 가 무엇인가요, file system 에 링크가 끊어지면 끊어진 다음 block을 read을 할수 없지요, 단순히 file system만 crash되면  disk을 format하면 되지요,
format으로 끊어진 장애block이  정상적으로 block number을 취득하면 이것을 논리적 bad block으로 보는것입니다.
format해도 복구가 안되면 말그대로 물리적 bad block 입니다.
원시값이 2에서 10으로 증가하였다면 말그대로  물리적bad block이 10입니다.
Operating system에서 file system part에 상세하게 설명 되어있읍니다.
디스크 조각모음을 자주해서 예방을 해주면 좋습니다. 왜나하면 disk head에 무리을 방지해줍니다. 연속해서된 block이 file acess time이 줄고, disk head 이동거리도 짧아져서 무리을 줄여줍니다.
죄송하지만 빨리 중요 file은 backup 하시고 교체를 고려함이 .....
Boot sector bad란 의미는 file system이 crash 란 의미입니다.
system disk인경우 window경우  master file 밑에  system booting, page file , active, crash dump,  ....이window install시 생성됨니다.
Operating system에따라 Master file 밑에 생성되는  종류는 조금씩 틀림,
master file system은 format (DOS, NTFS,....) 할때 생성,
통산 format을 하면 원래 disk 용량이 감소하지요, 이유가 master file system이 생성되어서 발생하는 지극히 당연한 현상입니다.
low format하면 용량감소가 없지요, 이유는 단순히 Zero or One 을 block에 write만 하고 file system을 구축안하기때문에 감소가 없읍니다.
     
오세은 2016-09
정확히 설명하신 듯 하구요
저는 논리 배드 물리 배드로 구분해서 말하는 근거를 보통 이해하기 힘듭니다.
열어서 분석하지 않는 한 딱 잘라 구분되지 않는다고 봅니다.
     
하재영 2016-09
아...감사합니다 정말 자세하게 설명해 주셨네요... 제가 잘 모르는 학생이다보니 처음에 대강 '링크가 끊어져서 파일은 그대로 있는데 접근이 안되거나, 코드가 꼬여서 제대로 읽을수 없는거' 를 논리적이라고 보고, '헤드 불량이나 플래터 스크래치같은거' 정도를 물리적이라고 구분하고 질문했었습니다. 확인 방법은 일단 CrystalDiskInfo에서 보류중 섹터수를 논리적이라고 판단하고, 제로필을 하면 실제로 해결이 됬기에 논리적으로 판단했던 것이구요.
자세한 설명과 조언 감사드립니다. 혹시 제 생각에 다른 문제가 있다면 조언해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Raccoon 2016-09
통상 file link가 끊어지면 file을  delete하면 정확하게 clear가 안되는데요, 이러한 file을 통칭 lost files 라고 칭함니다 file system에서...
자리는 차치하는데, disk capacity는 감소하지요. Main Frame computer에서는 clear 하는 방법이 있으나, PC에서는 보지못한것 같습니다.
방법은 그래서 disk format으로 복구 하지요.
결론은 LOGICAL BAD BLOCK도 PHYSICAL BAD BLOCK의 일종입니다.
이문영 2016-09
배드는 배드일뿐,
하드는 문제 생기기 시작하면 정상으로 돌아올 확률이 지극히 낮습니다.


QnA
제목Page 2265/5728
2015-12   1782361   백메가
2014-05   5257571   정은준1
2016-09   3923   에이핑크
2016-09   11071   하재영
2016-09   4775   박성만
2016-09   5342   예관신규식
2016-09   4143   이해하면오…
2016-09   8153   Dishy
2016-09   4403   김은호
2016-09   4875   권용1
2016-09   4140   J2Wn
2016-09   6979   모자란트
2016-09   5309   김건우
2016-09   11847   icetigerr
2016-09   6582   김건우
2016-09   3926   허인구마틴
2016-09   3788   호박고구마
2016-09   4073   클래식
2016-09   10556   송진현
2016-09   4809   Win31
2016-09   4629   iaress
2016-09   5058   안지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