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커 초보적인 질문입니다...

   조회 5973   추천 1    

찾아보니 도커가 컨테이너를 이용해서 기본의 os?의 기본적인 라이브러리를 공유하면서 가상적인 샌드박스?처럼 만들어서 사용하는 개념으로 이해했는데 맞나요???

 그리고 사용을 하면 그냥 설치해서 버츄얼 호스트로 나눠서 쓰는것과 대비한 이점은 뭔가요??? 컨테이너에의해서 반독립적으로 운영되니 보안상의 이점이 있는 건가요?? 아님 문제 있어서 복구할때의 이점이나 vps서비스처럼 남는자원 사용하기 좋아서 인가요??

전공자도 아니고 개인적인 취미로 이거저거 해보는 거라 제 지식이 맞는지도 모르겠네요... 암튼 도움 부탁드립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하셀호프 2017-02
     
김도윤 2017-02
아 저도 원래 관심없다가 이 사이트보면서 관심이 생겨났습니다 ㅎㅎ 암튼 밑의 유튜브 추천 감사드립니다!
Kernel까지는 공유하는.. 가상화라고 생각해도 될 것 같습니다. 제 경우엔 vmware 등의 가상화 대비 성능하락이 거의 없어서 좋은 것 같습니다.
     
김도윤 2017-02
vmware같은걸로 돌리는거보다 더 효율적인가보군요 몇개 가상으로 띄울때 더 좋겠네요!
엠브리오 2017-02
커널은 공유하고, (라이브러리 + 프로그램) <- 이걸 한꺼번에 묶어서 이미지 파일로 만든후 멀티코어 CPU를 써서 돌리는 방식입니다.
이미지 파일은 여러개 만들수 있고, 여러개를 동시에 운영하는것도 가능하구요.

각자 커널을 별도로 쓰는게 아니고, 커널은 공유하기 때문에 ESXi 보다 성능은 더 낫습니다.
다만 커널을 공유하기 때문에 셋팅 방식 및 자원공유 방식은 ESXi 와는 다릅니다.
     
김도윤 2017-02
사실 정확한 단어의 쓰임이랑 정의를 몰라서... 커널을 공유하고 라이브러리와 프로그램을 따로 이미지화하는ㄱ군요
 성능저하가 적다는게 vmware같이 처음부터 완전하게 돌리는거보다는 필요한부분만 이미지화해서 그런거 같네요 exsi 생각을 하고있었는데 좀 고민해봐야겠네요
새벽늑대 2017-02
저는 다양한 리눅스 버전을 쉽게 설치하고 가볍게(작은 용량으로) 운영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사용 중입니다.
원하는 리눅스 종류 버전별로 OS를 설치하는 시간도 만만찮은데 도커를 사용하면 OS는 커맨드 하나로 금방 설치되고 하드 공간도 200~300M 정도면 됩니다.
여기에 원하는 프로그램 한두개 설치해서 돌리면 끝.. 편합니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하나의 리눅스에서 돌릴꺼라면 vmware, 한두개만 돌릴꺼면 Docker로 선택하는 편입니다.(개발용으로만..)
docker 는 ip 할당 등의 문제(?)로 다양한 서비스를 올리는 것은 좀 불편합니다. 제가 못찾은 걸 수도 있습니다만...
     
김도윤 2017-02
본서버 업데이트 전에 시험용으로 적용해보는 서버구성시에 강점이 있나보네요...
 쫄보여서 그런진 몰라도 항상 뭐 설치할때 문제가 많이 일어나서 정확히 먼저 가상으로 돌려보고 그대로 적용했었거든요ㅎㅎㅎ 개인적으로 쓰는거라 포트는 남아돌고 아이피는 kt는 맨 위의 공유기에서는 하나룰 더 주더군요?
 암튼 좋은 재료발견한거 같네요 ㅡㅎㅎ
          
새벽늑대 2017-02
제 필요에 의해서 그렇게 사용하는거지 시험용에 강점이 있다라는 것은 조금 다른 의미인 듯 합니다.
(저는 라이브러리 의존성 문제로 한 서버에서 같이 운영할 수 없는 어플리케이션들을 각각의 도커에서 실행하는데 주로 씁니다.
이런 경우 VM 으로 실행하려면 할당해야 하는 메모리와 차지하는 디스크 용량 등이 좀 더 부담스럽습니다. 잘 관리하면 되겠지만..)

실제 운영 서버들에서도 하나의 서비스당 하나의 도커(웹 서버용 도커 + DB용 도커 각각 실행)를 띄워서 연동해서 서비스하기도 하고
가상화에서는 이미 많이 적용된 Failover 등도 docker를 관리해주는 오케스트레이션 툴에서 지원하는 것 같습니다.

도커는 고정 IP나 공유기가 주는 DHCP IP를 받기 어렵습니다. 포트포워딩 개념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아뭏든 잘 쓰시면 재미나고 유용한 툴입니다.


QnA
제목Page 2085/5729
2014-05   5264763   정은준1
2015-12   1789779   백메가
2017-02   5497   longhun
2017-02   4703   장동건2014
2017-02   4501   김건우
2017-02   5291   나파이강승훈
2017-02   5666   무아
2017-02   5727   신은왜
2017-02   5297   메이
2017-02   5372   컴박
2017-02   4688   붉은전갈
2017-02   5600   쌍cpu
2017-02   4042   배병렬
2017-02   4793   PCMaster
2017-02   5675   김건우
2017-02   5676   Sikieiki
2017-02   5295   zaro
2017-02   5974   양로퓨채도
2017-02   5131   나파이강승훈
2017-02   6894   매냐
2017-02   5371   컴맹주니
2017-02   5343   겨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