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s 서버 관련 문의..

니포   
   조회 4472   추천 0    

 완전 무식한 질문인듯 하나 이리 저리 찾아보아도 이해가 되지 않아 질문드립니다..

이번에 abc.com이라는 도메인을 구입하였습니다.

네임서버는 dnszi라는 무료 사이트로 등록을 하였구요..

그리고 집에 ad서버를 구축하였고 몇개의 시스템이 abc.com 도메인으로 등록 되었습니다.

(AD 서버 : 192.168.125.254

system1 : 192.168.125.111

system2 : 192.168.125.115)

시스템 두개다 ad서버의 abc.com으로 도메인 등록이 된 상태입니다.

system2에서 system1.abc.com으로 주소를 치면 시스템 1로 접속이 됩니다..

그럼 이 ad서버에 등록된 시스템을 외부에서 system1.abc.com으로 접속해서 사용할 수 있을까요??

외부에서 사용할려면 포트포워딩으로 포트를 열어주고 그것을 dnszi 웹 포워딩에서 abc.com:449 이런식으로등록을 해야하는건지요.

만약 위처럼 등록을 하는거라면 제 집에 있는 ad 서버가 전혀 필요가 없다는 의미인지요..

소속그룹 도메인과 제가 구입한 도메인은 전혀 다른 별개의 것인지 궁금합니다...

개념이 잡히지 않아 질문조차 이상하네요..ㅠㅠ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RevoEPKO 2017-03
네임서버 등록 이후는 내용을 잘 이해도 못하고.. 설명도 못드릴거같아서 패스하는데..
보통 도메인 구입하면 네임서버도 제공해주지 않나요? 가비아 쓰는데 가비아만 그런건가요?
     
니포 2017-03
제가 이해하고 있는게 잘못되서 이상해 보이죠? ㅠㅠ
고대디에서 구매했는데 외국서버라 느리다고 한국의 dnszi로 옮겻습니다
이윤주 2017-03
192.168.125.254
- 외부ip가 아니라 내부ip입니다.
즉 외부에서 사용할수 없는 ip대역입니다.

DNS와 관계없이 외부에서 ip만으로도 서버에 접속이 가능해야합니다.
최소한 ping이라도 나가야 합니다.

도메인등록과정에 이상한게 있는거 같습니다.
abc.com소유자는 대충 소유자가 중국같고
Updated Date: 19-may-2016
Creation Date: 22-may-1996
Expiration Date: 23-may-2017
로 되어 있는데 그러면 2016년 5월전후로 구입하신건가요?
     
니포 2017-03
아 abc.com은 예제이구요 다른거 사용하고 있습니다.
저 내부 IP로 설정된 AD 서버를 외부에서 사용할려면 즉.. 외부에 있는 PC에 도메인 가입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아니면 제가 잘못 이해한건지..윈도우 그룹 설정하는거에서 도메인 그룹이 있는데 그거랑 다른건지요..
          
이윤주 2017-03
서버가 있는 PC에 공인ip가 부여되어야 합니다.
즉 인터넷선이 우리가 일상적으로 쓰는 인터넷선이 아닌 전용선이나
고정ip를 제공해주는 인터넷서비스선이 PC에 물려 있어여 합니다.

한마디로 인터넷만되는 2-3만원대의 서비스(유동ip)로는 외부에서 서버를 접속하는 방법이 없습니다.

변칙으로 유동ip로 서버를 운영할수 있도록 DDNS서버스를 제공해주는 방법으로 사용가능하시도 합니다.
               
니포 2017-03
그렇군요 제 집에있는 AD서버 자체적으로 공인 IP하나를 물려줘야되겠군요..
감사합니다!
버지니아 2017-03
abc.com은 그냥 예를 드신 것 같고요...

외부에서 접속시엔 dns lookup시 dnszi 네임서버(도메인의 네임서버가 이곳이니)에 등록되어 있는 a 레코드(ip)를 참조하여 접속 시도하게 됩니다. 내부망이라면 AD DNS의 레코드를 참조하겠지요.

포트포워딩은 dnszi단에서 조정하는 항목이 아닙니다. 네임 서버는 단순히 ip 정보만 제공한다고 생각하심 편합니다
     
니포 2017-03
dns와 제가 사용하고 있는 ip와 a레코드로 설정하였습니다.
그러면 단순이 윈도우 도메인 그룹은 내부망만 적용되는건가요?!
lamanus 2017-03
포트포워딩은 본인의 서버나 공유기에서 하는거지 도메인은 저 내부네트웍으로 들어가는 외부 ip만 잡으면 되죠.
     
니포 2017-03
그저 ddns와 별다른 차이가 없는건가보네요.. 웹포워딩 가능하다는 것 정도로 생각하면되겠네요..
김윤술 2017-03
또 답변들이 산으로 가네요.
AD DNS는 내부용으로만 써야되는 DNS이고 외부용 DNS서버 별도로 있어야 됩니다. 즉 외부 사용자들이 이름풀이가 되어야될 서버죠.
포트포워딩 개념은 나중에 해야될 문제이고 외부 DNS 등록업체에에 네임서버를 사용해도 됩니다. 즉 외부 사용자들이 접속하게 할려면 내부IP가 아닌 외부IP로 호스트 등록을 하여 처리해야되며 이건 AD 랑은 별개입니다. 그리고 AD의 DNS는 외부서비스를 하는게 아닙니다.
     
니포 2017-03
오호 깔끔한 답변 감사합니다. 별개였군요 ㅎㅎ 속이 시원해졌습니다


QnA
제목Page 2011/5705
2015-12   1661862   백메가
2014-05   5126913   정은준1
2017-03   3361   쓰레기단장
2017-03   3878   전설속의미…
2017-03   4391   서동국
2017-03   3230   lamanus
2017-03   6055   여주농민76
2017-03   3577   임진욱
2017-03   8076   이천풍
2017-03   4823   클래식
2017-03   4473   니포
2017-03   11562   Rime
2017-03   3601   Balance
2017-03   3431   라이젠
2017-03   4718   김영기대전
2017-03   6489   버디
2017-03   4041   캔위드
2017-03   3536   김진영JK
2017-03   4520   NiteFlite9
2017-03   3724   두cpu
2017-03   3996   Dobi
2017-03   3673   PAMA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