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ntOs 운영체제를 백업하려고 합니다.

perls   
   조회 4330   추천 0    

개인 블로그와 클라우드를 돌리고 있는 서버입니다. Centos 6.8 사용중이고요..

리눅스 서버를, 보통 Os 를 백업하기도 하나요?

아니면 홈피 소스정도만 백업하는지...

통상적으로 어떻게 하는지 궁금해서 글 올려봅니다..

Os에 문제가 생기면 백업한거 복구하는것보다.. 원인 파악해서 직접 복구하는게 정석일까요?

혹시 그게 맞다면, 리눅스는 대부분 해결이 가능해서 os 백업은 필요 없는걸까요?

흠.. 고민입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17-04
관리자 능력에 달린 것입니다.
     
perls 2017-04
음.. 고민중인데.. 제가 결정장애라.. 정석대로 하려고, 정석은 어떤건지 궁금해서요..
리눅스는 보통, 백업 안하고 구글링해서 직접 해결을 하지 않나요?
     
+1

그리고 무엇을 백업하려하느냐에 따라서 다르겠지요...

그냥 통째로 해놓으면 바로 다시 살릴 수 있다라는 장점이 있지요...
요즘처럼 스토리지의 가격이 싼 시대에는 당연히 통째로!!!

그리고 어짜피 data를 제외한 리눅스 hdd는 얼마 되지도 않는데 말이죠...  그냥 통째로 이미지를 뜨는게 좋을것 같은데요...

과거에는 tar를 했었지만... downtime 이 없어야 하는 100% online 씨스템에서는 어쩔 수 없이 tar 밖에 하지 못하지요.... 그렇다면 미러를 떠서 fail over를 구현하는게 맞구요...
만약 downtime 이 허락된다면 이미지를 뜨는게 갑이라는것이 저의 의견입니다...
          
perls 2017-04
아.. 저도 그럼 그냥 tar로 / 를 통째 백업하고 exclude 로 제외할건 제외하고 백업해봐야 되겠네요.. 이미지로 뜨면 좋은데, 귀차니즘때문에 tar로 해봐야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박문형 2017-04
정석이란 것은 없습니다..

보통 인터넷을 참조로 해서 직접 해결하는 경우가 많지만 다루는 사람의 능력이 어디까지냐에 따라서

결과는 엄청나게 달라집니다..
     
perls 2017-04
그럼 혹시, 관리자 능력만 되면 해결 안될 장애는 없는거죠?
리눅스는 어떤 장애든 대부분 해결이 된다는 얘기는 들었던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그런일이 생겼을 때 저같은 초보도 죽자고 덤벼들면 해결 안될일이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ㅎㅎ
          
IT 세계에서는 모든것이 시간과 돈 입니다...

시간과 자본만 있으면 무엇이든 가능합니다~
               
perls 2017-04
네 그래서 문제 생겼을 때, 시간이 없거나, 도저히 해결 안되면 백업해놓은걸로 복구하는 정도의 보험 정도로 생각해봐야 되겠습니다.
그 이전에 직접 해결한다는 마음으로 최선을 다하는 것이 우선일 것 같습니다ㅎㅎ
감사합니다~
                    
그럼 무조건 이미지입니다... 그냥 하드를 이미지를 떠놓았다가...  문제생겼을때 밀어버리는거죠...

앞에서 투자를 미리 좀 해놓고 싶다면...

미러씨스템을 추천! 합니다... Fail Over...
박문형 2017-04
저는 리눅스 커널 0.99때부터 리눅스는 보아왔지만 아직 리눅스의 리짜도 모릅니다..

하드웨어는 조금 알기에

저 같으면 저런 상황일 경우에는 다른 하드에 이미지 만드는 프로그램(윈도우즈용) 클론을 만들어버립니다..

하드가 여러개면 쉽지 않지만요..

관리자도 신은 아닌지라 해결 안되는 장애는 존재하겠죠...

그리고 모든 서버및 서비스가 IDC에 들어가 있다면 호스팅업체와 협의해서 백업서비스를 넣으면 100%는 안되도 90% 이상 해결될 것입니다..

물론 돈이 들지만 돈 준만큼 복구 책임을 그 쪽에 넘길수 있지요..
     
perls 2017-04
헉스.. 0.99때부터 보신분이 모른다고 하실 정도면, 겸손도 있으시겠지만.. 그만큼 리눅스의 세계는 무궁무진하다는 말씀이시겠군요..
일단은 개인 서버라서, 간단하게 tar로 시작해봐야 될 것 같습니다.
3테라 하드 두개로  raid1 세팅해놓은 것도 있어서 tar 백업파일을 레이드 하드에 보관해두는 것으로 결정했습니다.
결정에 도움 주셔서 감사합니다~
캔위드 2017-04
저같은 경우 OS는 따로 뜨지 않고
설치 버전. 미디어 정도만 기록해 두며

웹서버등 뭐뭐 설치했는지도 기록해 두고
환경설정 하고 데이터 별도 스케줄 백업 합니다.

운이 좋은건지 멀쩡하게 잘 돌아가던 OS가 운영중 문제가 생긴적은 없었습니다. 문제가 생기건 물리적인 HDD가 맛이 가서 재설치 하고 백업본으로 복원 한적은 있네요.

음.. 어쨌든 정해진건 없으며 하기 나름인게 맞는거 같습니다.
셧다운 시키고 미디어로 떠두는 것도 좋은것 같고 설치정보.미디어. 설정값 백업등으로 하건 관리자 마음이지요.
제온프로 2017-04
서버 백업

1. DB 백업 (Data 화일 및 CSV 둘다)
2. 홈페이지 소스 : 전체 압축 백업
3. 드라이브 전체 백업 : 다른 하드로 클론

서버 백업의 다중 백업은 지나치지 않습니다.
요지는 문제 발생시  각 케이스 별로 20분 안에 해결 방안을 Plan 합니다.

문제별
1. DB 문제 발생
2. 홈페이지 문제 발생
3. 도메인 문제 발생
4. 하드 드라이브 문제 발생
5. 서버 하드웨어 문제 발생.. 부팅불가

개괄적인 정리 였습니다.
각 Detail 내용을 정리 하셔야 겠습니다.


QnA
제목Page 2020/5723
2015-12   1760714   백메가
2014-05   5234364   정은준1
2017-04   3452   전설속의미…
2017-04   4148   빠시온
2017-04   3983   하나룸
2017-04   4255   마장기신
2017-04   30016   정은준1
2017-04   4921   python
2017-04   3832   행복하세
2017-04   3885   hurricane
2017-04   4049   호박고구마
2017-04   4773   김영기
2017-04   4331   perls
2017-04   3539   신은왜
2017-04   5471   깨우친소
2017-04   3274   전설속의미…
2017-04   3473   행복하세
2017-04   4380   박남규
2017-04   10491   행복찾기
2017-04   4338   브래들
2017-04   4843   PCMaster
2017-04   7445   쌍cp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