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브 브릿지 라우터 스위치 중에 무얼 써야 할까요?

handan   
   조회 4026   추천 1    


안녕하세요.

서보 모터 제어를 해보게 되었습니다.  모터의 제어기를 PC와 통신하여 제어하는 방식인데 모터의 제어기가 TCP/IP 통신을 지원한다고 합니다.

위와 같이 구성하려고 하는데 사이에 허브/브리지/라우터/스위치 중에 무얼 설치해야 할까요?

아무것도 모르니 답답해 죽겠습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시도니 2017-07
하하하..

요즘에 허브/브리지는 찾아보기 힘듭니다.

그냥 8포트든 16포트든 용산가서 허브주세요...

하면 스위치 줍니다.

왜 허브달라고 했는데 스위치를 주나요? 하면 똑같은 겁니다. 혹은 스위치가 더 좋은 거예요. 하면서 팔겁니다.

맞는 이야기 입니다.

좀 더 자세하게 들어가면 쓸데 없이 복잡해져서요.

다 다른 장비이지만 쓰시는 용도에 싸구려 먹통허브/스위치면 됩니다.
     
handan 2017-07
허브/스위치 아무거나 괜찮다는 말씀이시죠?
          
시도니 2017-07
하... 이 셋의 차이를 상세하게 설명 드리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이제 허브나 브리지는 이제 팔지를 않아요.

HUB 는 다른말로 멀티포트리피터라고 합니다. 물리계층의 1계층에 해당하구요. 단순히 신호를 증폭시켜 내가 아닌 다른 곳으로 뿌려줍니다.

전송원리가 매우 단순합니다. 예를 들어 1번 포트에서 4번 포트로 데이터가 흘러야 한다면 1번에서 4번으로 바로 보내는 방식이 아니라 flooding 즉, 전체에 다 뿌려버립니다. 2.3.4.5 연결되오 있는 모든 다른 컴퓨터들이 받게 되죠. 어짜피 4번이 아닌 PC가 자신의 IP 정보가 아님을 감지하고 패킷을 Drop 시켜버립니다. 문제는 1.4번과 2.5번 같이 동시에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어떻게 되느냐 인데... 이때 패킷의 충돌이 발생합니다. 콜리전이라고 이야기 하죠 소위 랜카드를 사면 CSMA/CD 라고 쓰여진 것이 있을텐데 여기서 CD가 콜리전 디텍션을 말합니다. 근데 이더넷은 기본적으로 무식하게 통신을 합니다. 콜리전 신호가 양단에 전달되면 랜덤한 시간을 기다린 후 다시 전송을 하는 방식이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허브는 많은 포트를 집선해봐야 의미가 없습니다. 충돌이 너무 많아져 실제 네트워크 효율이 급감하기 때문이죠.

자 브리지와 스위치를 설명합니다.
이둘은 L2 계층에 속합니다. L1인 HUB와의 차이점은 L2의 경우 MAC Table 을 작성하는 것이 다릅니다. 즉 이더넷을 포함하는 2계층 장비에는 모두 고유한 MAC을 가지고 있습니다.(사실 고유하지는 않습니다. 재활용되눈 경우도 있고요. 맥클론 기능을 통해서 해킹이나 인증회피용도로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MAC 정보를 이용해서 어떤  포트에 어떤 MAC이 있는 지를 조사해 테이블을 만들게 됩니다. 이것이 MAC 테이블입니다. 이 MAC 테이블을 기반해서 1.4 번 2.5번이 동시에 통신을 해도 서로 1:1 관계를 형성해줄 수 있으니 당연히 네트워크 효율이 올라가겠죠?

여기서 브리지는 CPU와 MEMORY 를 가진 일종의 컴퓨터 였습니다.

이것을 고속처리를 하기 위한 고집적회로 ASIC를 만든 것이 오늘날의 스위치 입니다. 그래서 스위치가 앞의 개념들을 다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그냥 허브나 스위치나 통념적으로 같은 의미로 쓰이고 있는 것입니다.

원칙적으로는 스위치도 많은 종류와 많은 기능으로 분류 되기 때문에 통상 허브 주세요. 하면 스위치를 준다는 말이였습니다.

참고적으로 더 언급하자면 스위치는

L2/L3/L4/7 등이 있으며 각기 하는 역활은 다르지만 스위치라고 분류되어 있고 Lx스위치 라고 이야기 합니다.
               
handan 2017-07
이렇게 자세하게 설명해 주시면 감사합니다. 허브는 스위치의 일부 기능을 하는 거군요. 말씀 들어보니 스위치에 mac 할당을 해서 사용하면 되겠네요.
                    
시도니 2017-07
IP를 할당하는 것이죠. TCP/IP 니까요.

MAC은 이미 박혀있습니다.
                         
handan 2017-07
예 제가 글을 잘 못 썼네요. 각  장비의 mac  주소에  ip를 할당하면 되겠네요. 덕분에 머리가 맑아지는 기분입니다. 감사합니다.^^
박문형 2017-07
저기서 누가 IP를 생성하고 뿌려주나요??
     
handan 2017-07
제가 지식이 부족해서 잘 모르지만 각 모터 제어기가 고유의 IP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고유 ip들을 가지고 통신을 한다는 것만 알고 있습니다. 개별 제어기의 ip 들을 pc에서 인식할 수만 있으면 가능할 것 같습니다.
박문형 2017-07
IP가 아니고 MAC값이겠죠...

IP를 가지고 있다면 그 장비 IP 수정이 가능해야  네트웍을 셋팅할수 있습니다..

단지 저 그림대로의 페쇄망이라면 허브보단 공유기/라우터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handan 2017-07
말씀 듣고 열심히 매뉴얼을 찾아보니 다른 프로그램을 사용하여서 ip 수정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처음엔 매뉴얼에서 각 제어기 장비의 뒷면에 개별 ip가 적혀 있다고 해서 고유 ip가 특정되어 있는 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수정도 가능하다고 하네요.
     
handan 2017-07
오직 제어기와 pc만이 통신하는 폐쇄망입니다. 이런 경우 일반 공유기를 사용하는게 좋을까요?
박문형 2017-07
수정 못하면 네트웍에 못달죠...

그리고 저렇게 사용할때 무슨 네트웍 프로토콜을 사용하는지 알아야 합니다..
     
handan 2017-07
네크워크에 관한 지식이 없는 저로써는 너무 어렵네요. ㅠㅠ
매뉴얼에 나오는 아래와 같은게 포로토콜 인가요?

Baudrate 115200, I/F Mode 4C, Flow 01
Port 10001
Connect Mode : C0
Send '+++' in Modem Mode enabled
Show IP addr after 'RING' enabled
Auto increment source port disabled
Remote IP Adr: --- none ---, Port 00000
Disconn Mode : 00
Flush Mode : 80
Pack Cntrl : 10
SendChars : 0A 3E
불펭 2017-07
일반 많이 쓰는 공유기 쓰셔도 됩니다
     
handan 2017-07
아 그런가요? 그럼 일단 공유기에 연결해서 삽질해봐야 겠습니다.
박문형 2017-07
Baudrate 115200 ==> 네트웍이 아니고

RS-232C나 그런 통신에서 사용하는 것인데요..

모뎀, 링 이란 말도 들어가니 렌케이블로 하는게 아닐수도 있습니다..
     
handan 2017-07
RJ45 소켓에 연결하도록 되어있습니다. 랜케이블이 맞는 것 같습니다. 하... 어렵네요.
박문형 2017-07
집에 있는 컴퓨터가 어떻게 IP를 받고 동작하는지 알면

그것과 하는 방법은 똑같습니다..

공유기 셋팅하는 법도 알아야겠네요..
     
handan 2017-07
예 공유기에서 특정 ip를 mac address에 할당해 준적이 있었는데 그렇게 하면 될까요? 공유기 말고 스위치/허브 쓰면 어떻게 될까요?
박문형 2017-07
공유기는 내부망(LAN 포트)에 DHCP 서버가 있습니다..

이것이 내부망의 IP (192.168.x.0-192.168.x.255)를 만들어 내고 내부 네트웍을 스캔하여 디바이스(장비)의 랜포트마다 순서대로 IP를 부여합니다..

보통 말하는 허브/스윗치는 L2스윗치인데 이것만 달면 IP를 생성하지 못합니다..

만일 PC의OS가 서버OS라 DHCP서버를 운용할수 있다면 PC가 공유기의 내부망역활을 하게 됩니다.

디바이스들도 DHCP를 지원해야 하며 그렇지 않는 경우 IP를 일일히 수동으로 공유기에 맞게 셋팅해야 합니다..
     
handan 2017-07
아 감사합니다. 이제 이해가 되는 것 같습니다. 제어기의 mac 주소를 찾아서 공유기에  수동으로 ip를 세팅하는게 가장 확실할 것 같네요.
김강호 2017-07
UDS1100이란 물건 같네요.
아이피를 수동으로 지정해둔다면 스위치를 쓰시면 됩니다.
아이피를 자동으로 받게 한다면 (DHCP) 공유기를 쓰시면 됩니다.
     
handan 2017-07
와 말씀하신 물건이 서보 드라이버 안에 설치된게 맞는거 같습니다. 서보 드라이버의 ip를 수동으로 바꿔주는 프로그램의 UDS1100에서 만든 프로그램이네요.
유영근 2017-07
서보드라이브를 연결하실려고 하시는것 같은데 스위치(허브)에 연결하시면 됨니다.
보통 IP는 DHCP를 안쓰고 사설IP를 수동으로 잡아서 사용합니다. 자체 프로그램이나 WEB, BOOTP등으로 IP를 설정해주시면됩니다. 보통 IP방식이면 디폴트IP가 잡혀서 출고가 됨니다.
     
handan 2017-07
예 맞습니다. 자체 프로그램에서 ip 수정이 가능한데 서보 드라이브의 고유 ip가 제품 뒤면에 찍혀서 나옵니다. 스위치를 사용해도 되는 군요. 공유기에서 ip를 수동으로 각 서보드라이버의 mac 주소에 할당해 줘도 같은 역할을 하는게 맞나요?
박문형 2017-07
공유기는 아무 IP나 막 잡을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보통 192.168.XXX.000 - 192.168.XXX.255 까지 사용할 수 있는데

XXX는 공유기 회사마다 약간씩 다르며

192.168.001.000 - 192.168.001.255 공유기라면

디바이스들은 192.168.001.001 /192.168.001.255 사이의 값만 줄 수 있습니다.

세번째 001이 무조건 통일 되어야 합니다.




스윗치를 달면 어떤 IP라도 피씨에서 사용되는 전용프로그램이나 상응하는 프로그램(프로토콜)에서 디바이스 IP가 어떤 대역이라도

직접쳐서 불러낼 수 있습니다.
     
handan 2017-07
그럼 공유기 보다는 스위치가 맞겠네요. 명확해지는 것 같습니다. 이렇게 자세히 시간내어 주셔어 정말 감사드립니다.
박문형 2017-07
하드웨어도 중요하지만 가끔 소프트웨어가 더 중요할 때가 많습니다..

서보제어기를 콘트롤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있다는 이야기네요..
     
handan 2017-07
네. 테스트 및 설정이 가능한 전용 소프트웨어가 제공됩니다.
Fireyoon 2017-07
어차피 공유기도 스위치처럼 사용가능합니다.


QnA
제목Page 1926/5725
2014-05   5243215   정은준1
2015-12   1768532   백메가
2017-07   7317   bigmaster
2017-07   3940   나너우리
2017-07   15618   장동건2014
2017-07   5103   susemi
2017-07   4765   마통
2017-07   3375   시사니
2017-07   4027   handan
2017-07   3940   정은준1
2017-07   4256   보탕
2017-07   3331   laputa
2017-07   3136   머라카는데
2017-07   11183   범범이
2017-07   4922   한효석
2017-07   3532   검은콩
2017-07   3588   누굴까
2017-07   4120   차평석
2017-07   5336   이원재K
2017-07   3007   최시영
2017-07   6703   예관신규식
2017-07   3465   서형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