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선 확인 - 실제 한쪽선만으로 테스트해봤습니다.

이윤주   
   조회 7725   추천 0    

토요일 밤이니까



한쪽만 연결한 상태입니다. 작은것은 안쓰고 아예 한쪽만 찝었습니다.





테스터상단에서 보이듯이 초록을 단선시켰습니다.

36번 페어가 단선으로 표시됩니다.

황줄 황 녹줄 청 청줄 녹 밤줄 밤
잘사용하면 줄 순서확인도 가능한듯합니다.
- 지금보니까 될거 같습니다. 이전사용까지는
그냥 무의식적으로 저도 모르게 숫자는 봐왔던거 같습니다.
기럭지는 자로 실측해보니까 약130cm입니다. 10cm정도 오차나네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주연 2017-10
TDR 기능이군요
     
이윤주 2017-10
케이블 단선지점 확인을 위한 TDR 기능(Time-domain reflectometer).
활용만 잘하면 케이블이 단선위치도 어림짐작이 가능할거 같네요.
4가지 메뉴있는데 그냥 저는 오로지 제대로 찝었는지 확인하는 용도로만 사용합니다.
박문형 2017-10
최신 기계가 좋긴 좋군요..
pilsuni 2017-10
98년도에 처음으로 랜선 찝었을때가 나름 로망이였습니다. 그때 당시 테스터기가 정확히 몇번 라인이 결선인지도 보여 주더군요. 단 짤린 페어의 정상적인 케이블 길이가 오차가 컸던것(수치가 조금씩 계속 바뀌었던거 같네요) 까지는 기억이 납니다.

그때 테스터기가 300만냥 짜리라고 했었는데, 최근에 생각이나 갖고 싶었던 기능이였는데, 여기서 찾네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블루맥스 2017-10
좋은 제품 알아갑니다.
무아 2017-10
꼬여있는 케이블의 경우 1페어에 임피던스를 측정하면 됩니다.
케이블의 길이에 비례, 케이블 꼬임의 간격에 반비례 하여 임피던스(커페시턴스 부분)가 커집니다.
실제로 자동화 생산 라인에서는 HP 임피던스 측정기로 특정 주파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한쪽이 오픈된 커넥터에 자동 전수 검사를 합니다.
어드반 2017-10
이건 잘찝혔는지 확인하는 용도가아니라
단선 확인하는 기능이네요...
기존 깔린랜케이블 확인할때 유용하겠네요.
     
김준유 2017-10
구청에서 준공 (통신) 검사 나와서 단선 있는지 확인하면서 단선되면 몇 미터 지점에서 단선되었는지도 알려줍니다.
AA배터리4개의 무게를 못 이기고,
구석에 박아두었는데 이런 기능도 있었군요.
다시 꺼내서 기본툴박스에 넣어놔야겠네요.
여지껏 양쪽 다 찍고, 확인하는데만 사용했었는데.
정보감사합니다.


QnA
제목Page 1843/5724
2015-12   1762718   백메가
2014-05   5237063   정은준1
2017-10   5416   Doker
2017-10   7726   이윤주
2017-10   5775   스마트맨
2017-10   4093   지니컴I영진
2017-10   4052   hater
2017-10   4433   강민준1
2017-10   4440   나파이강승훈
2017-10   3710   cicatrix
2017-10   4882   한효석
2017-10   4852   봄들판에서다
2017-10   4778   정은준1
2017-10   3338   두cpu
2017-10   4171   송진현
2017-10   5846   jayou2323
2017-10   7464   TLaJ3KtYGr
2017-10   4428   Win31
2017-10   4453   박문형
2017-10   4161   뒷북소년
2017-10   3639   빠시온
2017-10   6206   이방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