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스펜드 볼륨 안정성에 대해 궁금 합니다.

   조회 3677   추천 0    

이베이에서 주워온 2bay 외장하드가 Jbod이 되는줄 알았더니만...

서스펜드, 0. 1. mix(1로 50 0을 50 ??) 4가지 모드만 지원하네요

같은 케이스가 하나 더 날아오고 있는데 충격이 큽니다 ㅡㅜ


질문이 두가지가 있습니다.

1. 제가 생각하기로는 서스펜드 볼륨은 레이드 0과 같은 위험성을 가지면서 아무 장점도 없는 볼륨 형태가 아닌가 생각이 드는데요

서스펜트 볼륨이 가진 장점이 있는지요?

2. 5~6년된 하드를 주로 쓰는 환경인데요 위 4가지 중에는 레이드 1로 쓰는게 낫겠죠?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drachen 2018-01
일반적으로 2Bay 외장케이스는 싱글 모드, RAID 0, RAID 1, JBOD를 선택할 수 있는게 보통입니다.
SATA 칩셋이 그렇게 지원하니까 서로 다른 제품이라고 해도 대동소이합니다.
구입하신게 어떤 제품인지를 알려주셔야 찾아보기라도 할텐데... 각 제품마다 모드 명칭이 다르니까 말씀하신 것 만으로는 알 방법이 없습니다.

그리고 1번 질문의 경우... 그건 JBOD에 해당하는 얘기겠죠. OS 상에서 그냥 하나로만 보일뿐 성능상의 이점도 없고, 데이터의 안전성이 늘어나지도 않고요.
그냥 하나가 죽어도 재수가 좋으면 나머지 하나에서 데이터를 건질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것과 하드 용량이 달라도 하나로 묶을 수 있다는 정도 말고는 장점이 없죠.
     
elkiselee 2018-01
확실히! jbod이 안되는 제품 입니다 lacie 2big quadra

서스펜드 볼륨에서 두번째 하드의 자료를 건질 수 있나요?
          
drachen 2018-01
해당 제품의 매뉴얼에는 Fast (RAID 0), BIG (JBOD), SAFE (RAID1), MIXED (볼륨을 쪼개서 RADI 10).. 이렇게 4가지 입니다만...
서스펜드 볼륨이라는게 무얼 말씀하시는건지요? 스팬 볼륨을 얘기하시는 건가요?

용어를 혼용하시는 것 같은데... JBOD는 복수의 하드를 RAID에서와 같은 추가 기능이 없이 단순히 묶기만 한걸 총칭하는 단어 입니다.
윈도우에서 SW로 JBOD를 구현할 때 지칭하는 용어가 스팬 볼륨이고요.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의 차이나 각 회사별로 다른 이름을 쓰기도 하지만, 그런것들을 통틀어서 JBOD라고 부르는 겁니다.
해당 제품의 BIG 모드 역시 JBOD 입니다.

그리고 해당 제품의 BIG이라면 일반적인 JBOD랑 마찬가지로 일부 하드가 고장났을 때 나머지 하드의 데이터를 건질 수 있을지 없을지는 아무도 장담을 못합니다. 어디까지나 순차적으로 기록한다는 거지 실제로 하나의 파일이 반드시 같은 하드에 들어간다는 보장도 없고, 파일 테이블이 어디에 들어있는가에 따라서 전부 날아갈 수도 있습니다.
               
elkiselee 2018-01
용어가 헷갈렸습니다ㅋㅋ... 말씀 하신게 맞네요
그동안 JBOD가 디스크별로 따로 묶인걸 의미하는줄 알았네요
스팬하고 서스펜드도 헷갈렸고요 ㅋㅋ(왜그랬을까)

테스트를 해보니까 big 모드에서도 하드 하나 제거시 전체 볼륨이 언마운트 되는걸 보니 그냥 아쉬워도 하드 연식이 있으니
raid1 로 하는게 마음이 편하겠네요

물리적 디스크 단위로 그냥 별개로 쓰는건 뭐라고 부르나요?
                    
drachen 2018-01
각 하드를 개별로 쓰는건, 외장 하드의 경우에는 싱글 모드로 부르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레이드 카드의 경우에는 밑에 박문형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RAW나 패스쓰루 혹은 각각의 하드를 JBOD로 하나씩 묶도록 설정하기 때문에 혼동을 하신 것 같네요.

lacie나 drobo 같은데는 홈이나 SOHO용 DAS를 컨셉으로 내세우는 회사라서 싱글모드를 지원 안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싱글모드가 필요하시면 오리코 등 중국 OEM의 더 저렴한 제품을 선택하셔야 합니다.
                         
elkiselee 2018-01
네 아답텍을 썼는데 Jbod이 하드별로 구분된 볼륨이여서 그건줄 았았습니다.

심지어 라씨에서도 후기 모델중에 jbod 하고 BIG 모드가 구분되어 있었거든요
박문형 2018-01
레이드 용어는 같은 철자인데도 실제 사용해보면 제조사에 따라 그 기능이 다른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하드를 디스크 단위로 별개로 레이드 카드에서 사용하는 것을 JBOD 혹은 패쓰쓰루 라고 이야기 합니다.. (Areca 에서)


서스팬드 볼륨을 구글링 해보니 일종의 디스크 단위 백업 시스템 (실시간이 아니고 명령을 주면 스냅샷식으로 백업하는)

같아 보입니다..
     
elkiselee 2018-01
그러게요 ㅋㅋ
서스펜드는 제가 스팬을 헷갈렸습니다.

박문형님 궁금한게 raid0은 통계를 봐도 특유의 동작 방식 때문에 볼륨이 깨질 위험이 크다고 하잖습니까
2TB 하드 2개를 raid 0으로 묶은 4TB 볼륨에 비해 4TB 단일 하드로 만든 볼륨이 훨씬 안전하다고 생각이 드는데요
스팬볼륨의 경우는 하드웨어로 2TB를 2개로 묶은 4TB 볼륨과 1개의 하드로 만든 4TB 볼륨이 동일한 안정성이 있다고 기대를 해봐도 될까요?
박문형 2018-01
RAID0 는 데이터를 블럭 단위로 쪼개서 이하드 저하드로 순서적으로 퍼트려서 기록하고 읽는 것이고요..

따라서 속도는 빠르게 나옵니다만 하드 1개라도 배드 블록이 생기면 데이터가 망실이 되어 버리죠..

SPAN 볼륨은 하드 2개 혹은 여러개를 앞뒤로 이어주는 것으로 아는데요..

요즘 레이드 카드에서는 보기 힘들죠..

하드 하나가 망실되도 그 부분의 데이터만 날라가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저도 레이드 시스템 10여년 넘게 만지작거리고 있지만 개인 컴퓨터는 레이드 볼륨 절대 안 묶고 사용합니다..

캐쉬 달린 레이드 카드에 하드만 그냥 달아서 사용하고 그 특성이 재일 저한테 잘 맞는게 아레카 제품입니다..

캐쉬 달린 레이드 카드의 캐쉬가 하드를 빠르게도 하지만 보호한다고 생각합니다..

그 외 하드를 오래 사용하려면 컴퓨터 전원이 안정적이여야 합니다..


QnA
제목Page 1764/5724
2015-12   1761394   백메가
2014-05   5235036   정은준1
2018-01   3463   예관신규식
2018-01   3522   산지직송
2018-01   3880   박준영2
2018-01   3421   김1정2욱
2018-01   5488   Psychophysi…
2018-01   3988   초보IT
2018-01   5705   아이오딘
2018-01   6173   쁘앙쁘앙
2018-01   8808   양재혁
2018-01   3904   MikroTik이진
2018-01   4495   이건희
2018-01   4095   BJH
2018-01   3548   느낌
2018-01   7993   김건우
2018-01   3678   올빼미잠와
2018-01   6652   angrypig7
2018-01   3328   inquisitive
2018-01   3886   perls
2018-01   3602   Nicoffeine
2018-01   4090   진신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