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컴퓨터 부품 가격이 보통 해외보다 비싸던데

Tu7885   
   조회 4360   추천 0    

국내에서 120만원짜리 cpu가 미국에서는 90만원대에 판매되고 있는걸 보았습니다. 보통 국내 컴퓨터 부품 가격이 해외보다 비싸던데 국내 유통사가 마진을 많이 남겨먹어서 그런건가요?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는건가요?  

서명입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crogym 2018-02
김프....김치프리미엄이죠......
페르세우스 2018-02
마진도 존재하지만, 그거 가지고 한국들어오면
세금이 + 되고 운임 + 되고

ES QS 버젼 지뢰피하시고 등등

아마, 생각만큼 많이 남지는 않습니다.
불량율도 있고...
대량만이  ...
박문형 2018-02
CPU는 크게 따져서 피씨용과 서버용 이 있고

피씨용도 인텔코리아 정품과 그레이 제품이 있고 (워런티 차이, 가격차이가 있습니다.)

박스제품과 트레이 제품이 있습니다.

따라서 어떤 모델의 어떤 제품이냐에 따라 가격이 차이가 날 수 있고 하나하나 따져 봐야 합니다..
isaiah 2018-02
얼마나 많이 팔리느냐가 포인트 아닐까요...
 인증비용등 고정비용으로 잡히는 놈들이 있으니 시장 규모에 따라서 처음부터 최초 가격이 다른 셈인거죠..

 물론... 품목에 따라서는 호구님 오셨습니까도 있을테고요...
김준연 2018-02
미국 기업이 미국에서 파는 것과 대한민국으로 수입하고 인증받고 세금내고 다시 유통단계별 마진을 계산하는 가격은 차이가 날 수 밖에 없습니다. 또한 미국에서도 주문 시 주의가 필요한 것이 주마다 세금 체계가 다르다보니 쇼핑몰에 올라간 가격은 세금 제외 가격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배송지를 선택할 때 갑자기 운송비 이외에 세금이 더 붙어버리는 사태도 벌어집니다. 즉 저 가격으로 미국 국민 전원이 다 살 수 있다는 것도 아닌 셈입니다.
회원K 2018-02
세금, 기본판매수량 등을 감안하면 비싸게 파는 것이 아닙니다.

대량판매 할인점 = 미국
소량판매 편의점 = 한국
     
한효석 2018-02
+1
서버 CPU 같이 많이 소비 되지 안는 것은 차이가 크고,
대중화 된 PC 용 CPU 는 이거 저거 다 따지면 국내와 동일 한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다만 철 지난 CPU 를 해외에서 떨이를 할때는 세금을 내더라도 국내보다 확실히 쌉니다.
한효석 2018-02
잘 보셔야 합니다.
일단 미국에서 90만원대 라는 것은 미국 소비자가 구입할때 미국내 소비세를 부담하여야 합니다.
7~8% 정도 더 + 해야 하지요.

한국에서 구입하려고 하면 90만원대 + 10%VAT + 국제 운송료가 필요합니다.
또한 신용카드로 구입하게되면 환율도 아주 고약하게 제일 높은 TTS + 카드사 수수료 같은게 더 붙고...
그래서 900불 이었다면, 한국에서 손에 쥐려면 대충 110만원 선을 생각해야 합니다.

물론 고장이 나면 AS 가 좀 어렵게 되는 경우가 흔하죠.
인텔 CPU 는 국내 인텔에서 AS 대행을 해 주니까 예외 입니다만..
안형곤 2018-02
제 경험상 시퓨가 그만큼 차이 안납니다.

그정도면 역수입 하시는분 꽤 있을껄요?


QnA
제목Page 1735/5724
2014-05   5234804   정은준1
2015-12   1761140   백메가
2018-02   4508   OSLP
2018-02   4670   힘내용
2018-02   11293   stressor
2018-02   4423   시골집노안
2018-02   3876   쭈쭈봉
2018-02   4070   페르세우스
2018-02   4337   주황별
2018-02   4361   Tu7885
2018-02   4786   다롱이
2018-02   12620   딸기대장
2018-02   4674   컴박
2018-02   3883   유호준
2018-02   4750   요괴인간
2018-02   8763   진혼
2018-02   3860   Win31
2018-02   4709  
2018-02   7297   캔위드
2018-02   5707   델빠돌이
2018-02   14629   풉풉이
2018-02   4477   행복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