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포괄적인 질문

   조회 3415   추천 0    

 안녕하세요. 네트워크쪽에 관심이 생겨서 인터넷과 책좀 찾아보면서 생겼던 의문이 풀리지 않아서

질문 올립니다.

실제로 네트워크를 구성하다 보면 장비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해 보이는데요. 이 과정은 어딜가도 명확하게 설명이 안되있는 것 같아

질문 드립니다.

1. 제가 공부한 바로는 단순 네트워크 (일반적인 가정집 수준의 기능)을 구성한다고 하면

라우터 (아마 제 수준에서는 공유기 정도)는 NAT의 성능 (bps)와  max concurrent seesion을 보고 판단하는게 맞을까요?


2. 스위치의 경우 저가 스위치의 경우에도 MAC address table 사이즈는 충분히 크니

일반적인 L2 언매니지드 스위치가 forwarding packet (pps)와 패블릭 사이즈 (bps)만 보고 산정이 하였을때

3조건 이하를 충족하면 엄청나게 많은 기기들도 한 스위치에서 처리가 가능 한 것인가요?


AP쪽도 한번 보고 있는데 이 쪽은 무선 대역폭보다는 기기댓수가 수십대 단위로 올라가면 순수 AP 성능 자체를 많이 타는 것 같네요

이 쪽은 더 공부해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엠브리오 2018-03
1. 공부하는데 기기성능이 중요하지는 않습니다.
바꿔말해서 요즘 기기들은 가정에서 사용할 경우를 기준으로 보면
성능이 차고도 넘쳐흐를 정도로 좋습니다.

2. 기기마다 사양서에 보면 패킷을 얼마까지 처리할수 있는지 MAC 테이블은 몇개까지 가능한지 상세하게 적혀있습니다.
     
MSmikoto 2018-03
1. 역시나 호기심으로 질문 드렸습니다
2. 질문의 요지는 사양서에 적혀있는 저 3가지 값만으로 실제로도 사용가능한지에 대한 질문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깡통이 2018-03
사양서의 값 보다는 브랜드와 칩셋의 종류, 메모리 크기를 보시는게 나을 것입니다.
맥 어드레스 테이블 크기는 메모리의 크기로 결정되고, 성능은 칩의 성능에 의존적입니다.
bps 같은 값들을 보시면, 보통 포트수 X 2(이중) X 대역폭 값으로 나와있는경우가 대부분이에요. 그게 물리적인 최대치이니까요.
pps 같은 값은 사실 업체마다 측정 기준이 다를 수도 있기 때문에 동일 브랜드가 아닌 경우 사양서만으로는 절대적인 기준으로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MSmikoto 2018-03
사양서의 수치값은 절대적 판단 요인은 못 된다는 말씀이시군요 감사합니다
깡통이 2018-03
요즘 기기들의 성능은 정말 차고 넘칩니다.
저가형의 경우에는 물리적인 포트의 안정성이라든가 AP의 경우에는 안테나라든가, 어댑터의 전원 공급능력이 오히려 문제가 됩니다.
저가형이라고 해서 스위칭 처리 성능이 문제가 될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십 몇년 전에는 저가형 스위치 쓸 때 한 장비가 대역폭을 많이쓰면, 다른 장비들간에 통신할 때 패킷 드롭도 되고 그러기도 했는데 요즘은 그런 일이 거의 없습니다.
패킷 드롭 나면 스위치 성능이 부족해서 그럴 일은 없고, 랜선 불량이나 포트 불량인 경우가 대부분이더라구요.
     
MSmikoto 2018-03
스위치 처리 능력 자체는 이미 상향 평준화라는 것이군요 감사합니다
박문형 2018-03
A1 : 대략 맞는 것 같은데 저는 공유기의 선택기준을 이렇게 잡습니다..
  # 1 : 어느 회사 칩셋이냐..
          (좀 유명한 칩셋 좋아라 합니다.. 브로드컴 등등)
  # 2 : 주 프로세서 클럭이 얼마나 되느냐..
          (우리나라는 최소 기가비트 인터넷이라고 생각해야 되어서 공유기[라우터]가 빨라야 하는데 개인적으로는 기가빗 인터넷을 사용하려면
            프로세서 스피드는 최소 1Ghz 이상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코어수는 2개내지 4개정도면 더 좋겠죠)
  #3 : 캐쉬 메모리가 큰가
          (공유기의 캐쉬메모리는 개인적으로 클수록 좋다라고 생각합니다.. 그만큼 동접이 늘어날수 있다라고 생각합니다..
            공유기 캐쉬 메모리를 노트북 메모리 끼우듯이 하면 좋겠지만 단가 절감 때문에 그런 제품은 공유기 급에서는 없더군요..
            1GB 혹은 그 이상 정도면 최고겠죠...)

아마도 이거 다 충족하는 공유기는 제조회사 여러 모델중에서 대략 끝판왕 급일 것입니다..


A2 : 말씀하시는게 맞습니다만 스위치류는 사용자에 따라 특정 벤더 제품을 고집하는 경우가 많기에 어느 정도 BMT가 필요합니다..

      개인적으로는 프로세서 빠르고 캐쉬 메모리 큰 것 좋아라 합니다..

      중대형급 스윗치들은 HP로 헤쳐 모여 하는 것 같아 보입니다..

      유명하던 여러 회사들이 HP에 흡수되어 모델명만 연명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100G 급 대형 스윗치는 프로세서를 인텔 X86 [제온]을 사용하고 임베디드 리눅스 기반 OS가 올라가는 제품들이 추세인 듯합니다..
     
MSmikoto 2018-03
일반적인 가정용 공유기라 하면 사실 그렇게 골라도 되긴 하는데 예를 들어 100명 정도 사용하는 라우터의 경우는 스펙시트를 어떤형태로 보게되나요?
네트워크 서적을 취미로 본거라 그럴수도 있는데 사양 결정에 대한 내용은 없어서 헷갈리네요, 뭔가 반만 배운것 같은 찝찝함
특정 벤더 제품을 고집하는 경우는 아무래도 납품용 말씀하시는 것인가요?
감사합니다


QnA
제목Page 1719/5723
2015-12   1758862   백메가
2014-05   5232165   정은준1
2018-03   3626   김건우
2018-03   4640   mscern
2018-03   3852   띠로리
2018-03   6162   쿨쿨쿨
2018-03   3737   페르세우스
2018-03   4020   페르세우스
2018-03   3459   세에라
2018-03   3416   TLaJ3KtYGr
2018-03   3713   두cpu
2018-03   7598   블루영상
2018-03   3375   여주농민76
2018-03   7419   kky23
2018-03   5699   유남생
2018-03   4579   빠시온
2018-03   6507   Dishy
2018-03   4803   김상혁2
2018-03   5794   Wnahd
2018-03   4038   Dishy
2018-03   3328   무아
2018-03   3668   곰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