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78989 |
25 |
2015-12
1778989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54052 |
0 |
2014-05
5254052
1 정은준1
|
82618 |
침수폰 고쳐주는 업체 괜찮은데 있을까요 (3) |
최동민 |
2018-07 |
3687 |
0 |
2018-07
3687
1 최동민
|
82617 |
아리송해서 질문입니다, 운영체제.. 라고 통상 표현하는데 맞는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6) |
Marl보로 |
2018-07 |
4524 |
0 |
2018-07
4524
1 Marl보로
|
82616 |
[뜬금포] 언제 나이 먹었다고 느끼나요 ? (56) |
화란 |
2018-07 |
3973 |
0 |
2018-07
3973
1 화란
|
82615 |
윈도우10 멀티채널문제 마지막으로 질문올립니다. (22) |
에잉이 |
2018-07 |
6165 |
0 |
2018-07
6165
1 에잉이
|
82614 |
그래픽카드 쿨러 4핀 3핀변환 질문드림니다 (3) |
적멸보궁 |
2018-07 |
7161 |
0 |
2018-07
7161
1 적멸보궁
|
82613 |
엑셀 매크로 질문 좀 드리겠습니다. (1) |
차평석 |
2018-07 |
3478 |
0 |
2018-07
3478
1 차평석
|
82612 |
mx922 복합기 데스크탑 연결시는 유선으로 연결하는게 맞는것이겠죠? (2) |
늘파란 |
2018-07 |
4435 |
0 |
2018-07
4435
1 늘파란
|
82611 |
그래픽카드 변환 케이블 문의 드립니다. (17) |
삼돌군 |
2018-07 |
7496 |
0 |
2018-07
7496
1 삼돌군
|
82610 |
레이드... 괜찮을까요? 디스크 종류가 다릅니다. (5) |
Revione |
2018-07 |
3791 |
0 |
2018-07
3791
1 Revione
|
82609 |
헤놀에서 사용자별 하루 데이타 트래픽 알 수 있나요? (1) |
무명인12 |
2018-07 |
3241 |
0 |
2018-07
3241
1 무명인12
|
82608 |
데스크탑에 무선랜카드 장착 후 Wifi 환경 구성 (4) |
눈누난냐 |
2018-07 |
3897 |
0 |
2018-07
3897
1 눈누난냐
|
82607 |
갑자기 이 창이 나오고 로그아웃 되었습니다 |
준컴덕 |
2018-07 |
3421 |
0 |
2018-07
3421
1 준컴덕
|
82606 |
인버터 에어컨 (13) |
빠시온 |
2018-07 |
4469 |
1 |
2018-07
4469
1 빠시온
|
82605 |
캐노피 천막 조언.. (21) |
여주농민76 |
2018-07 |
4515 |
0 |
2018-07
4515
1 여주농민76
|
82604 |
네트워크 연결 속도가 자꾸 떨어집니다. (6) |
메가날백 |
2018-07 |
4889 |
0 |
2018-07
4889
1 메가날백
|
82603 |
호스팅.. 원가절감차원에서 다른 방법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5) |
이지포토 |
2018-07 |
4397 |
0 |
2018-07
4397
1 이지포토
|
82602 |
저전력 시스템 구축 고민.... (9) |
김승현1 |
2018-07 |
4068 |
0 |
2018-07
4068
1 김승현1
|
82601 |
ml110 G7 ecc reg 메모리 지원할까요? (3) |
user |
2018-07 |
3686 |
0 |
2018-07
3686
1 user
|
82600 |
패킷 대량 발생 테스트 프로그램 좀 알려주세요. (11) |
이종송1 |
2018-07 |
7540 |
0 |
2018-07
7540
1 이종송1
|
82599 |
이 하드디스크 눕혀쓰는게 안전한가요? (7) |
Noname1 |
2018-07 |
6483 |
0 |
2018-07
6483
1 Noname1
|
그래도 닫아논 창문들은 냅두고 나갔다 오는게 나을거 같습니다..
에너지 보존법칙(?)으로 생각 해 봐도 안쓸때는 끄는게 당연히 나을거 같은데, 왜 계속 켜 두라고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형광등처럼 처음에 전기를 많이 먹는것도 아니고 겨울철 디젤엔진처럼 예열을 해야 하는것도 아닌데 말이죠.
(그런데, 전 밖에 나갈 때 에어컨 켜 두고 나간다는건 안비밀. ㅎ)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857427
밑에분 말씀대로 인버터가 꺼놓으나 켜놓으나 차이가 없다면 개인적인 생각으론 끄는쪽이 안심이 되긴합니다
한시간정도는 꺼놓은 상태로 문닫아놓은곳 가면 바깥보다는 쾌적해서 다시틀어도 전기소모가 얼마 안되지 싶습니다
인버터 에어컨과 IOT 전력 모니터링으로 재미있는 블로깅을 하시는 분인데, 이분의 결론은 2~3시간 껐다가 킬 정도면 안 끄는게 났다 (껐다카 켰을때 전기소모가 144% 컸음) 였는데, 제가 봤을때 에어컨을 끄고 환기를 위해 창문을 열어두고 가셨기 때문에 실내온도가 유지 되지 못하고 높아졌음으로 전기가 더 들었다는 것은 당연합니다. 결론적으로 창문을 열지 않고 그냥 에어컨만 껐다가 돌아와서 켰을때는 어떻게 다르냐인데, 요즘 인버터의 경우 전 RPM구간에서 비슷한 효율을 보여주고 있기에 큰 차이는 없을 거라는 것이 제 개인적인 견해입니다. 물론 돌아왔을때 집의 쾌적함을 생각한다거나, 개를 키운다거나 반려동물이 있는 경우에는 에어컨을 켜두고 나가시는 것이 맞을 거 같고요.
일례로 파워서플라이 예를 들면, 200V 5A 를 가져가지만(1000Wh), 여러가지 회로 또는 변압을 거치는 과정에서 손실이 되어 실제 컴퓨터 부품들이 800W/h 만 사용하고 있다.. 그래서 효율은 80% 정도다.. 이런 것이 효율이 아닐런지요? 같은 80% 효율이지만 컴퓨터 부품들이 80와트만 소비한다고 치면, 파워서플라이에서는 100와트를 입력을 받고 있다던지요. 그러므로 전구간에서 비슷한 효율이라면, RPM에 따라 전력소비는 다를 수 밖에 없구요.
제가 처음에 하고자 하는 말은, 에어컨을 끄지 않으면 저RPM으로 오랫동안 켜져 있거나 에어컨에서 필요시 껐다가 다시 키는 현상이 발생하지만, 아예 껐다가 켰을 경우, 희망 온도로 다시 가기 위해서는 고RPM으로 오랫동안 돌아야 할 필요가 있어서 결론적으로 전기 요금에 큰 차이가 없을 거 같다 라는 거였습니다. :)
공학적으로 접근하면 열손실이 많은 공간은 온도가 다시 올라가는 시간이 짧아서 압축기가 그만큼 자주 운전해야 하고
열손실이 적은 공간은 계속 틀어놔도 온도 상승 시간이 길어서 그만큼 적게 운전하면서 쾌적하게 지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장비가 클수록 최소운전 에너지 자체도 크므로(압축기는 최소 운전비가 5~100%에 가깝다고 쳐도 팬은 인버터가 아니라 다단제어죠..1~4단 처럼) 구입한 장비 용량에 따라 틀릴거구요..
결국 직접 계속 트는 것과 주기적으로 가동하는 것의 하루 동안의 전력소비량을 측정/비교하셔서 체득하시는 방법이나 네스트 온도조절기 같은 지능형 IOT 기기로 운전 최적화 하시는 게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그리고 앞서 얘기한 열손실이 많은 공간이라면..쾌적함과 전기세에 사이에서 타협 하시는 수 밖에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