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금 상품 하나만 추천해주세요.

   조회 4127   추천 0    

보험은 몇개 들어놨는데 적금은 없어서 이번에 하나 가입하고 싶은데요.[국민연금이 있긴있네요.]

이 계통은 아는게 없어서 뭐가 좋은지모르겠습니다.

은행가서 안내받으면 거긴 가입자보다는 회사에 이익이 되는 상품을 권할것 같고해서 여기에 여쭤봅니다.

또는 꼭 적금을 들어야하는지도 궁금합니다.

111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적금의 실금리는 고시금리의 65%가 실금리라는거 염두하시고...
적금은 저축은행이나 새마을금고등의 2금융권이 금리가 더 좋습니다.
돌기름 2018-09
수협 잇적금이 있는데 3년 최대 4%(세전) 이율이 주어집니다 수협앱다운후 비대면 계좌 개설하시고 가입하시면 됩니다
     
김건우 2018-09
수협 잇적금 드는데 고생많이 했습니다. 직접해야한다, 못도와준다 등등으로 고객센타 설명 사람열받게 만들고
결국 직접찾아가서 개설했는데
한술더떠서 많은 금액을 입금하도록 내버려두진 않더군요.
한달에 최고가 30만원까지 입금입니다.
1년해봐야 천만원이 안되죠.

잇적금, 제휴잇..두개 가입해야 겨우 천만원넘기나? 그정도죠..
우체국도 마찬가지고요.


참고로 창구로 가실거라면 우체국보단 수협을 추천합니다.
우체국X들...진짜 양아치X , x들이예요..생각만해도 아직도 분이 끓네요.
gmltj 2018-09
수협 잇 적금이 3년에 4.0프로인가 그렇고.. 제휴 없이 하면 3년 3.4프로인가 그렇습니다. 각각 최대 30만원씩 합치면 60만원/월 입니다. 직접 창구에서 개설하는게 아니라 스마트폰에 수협 어플을 깔고 신분증으로 비대면 입출금 계좌를 먼저 개설하고 그 다음에 적금을 개설하면 되는데 한번에 잘 되진 않았습니다.
시도니 2018-09
모든 적.예금 상품의 경우 모든 은행이 취급하기 때문에,

금융감독원에 공시를 하게 되어 있습니다.

지점에 한시적으로 혹은 이벤트성 특판상품을 제외하고는

거의 나와 있으니 조회해서 적당한 상품으로 가입하시기

바랍니다.

물론, 이율이 높다고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닙니다.

은행이 튼튼해야죠.

 예금자보호법에 보호를 받는 다는 문구가 붙는 다 해도 실제로 그 예금자보호법에 의해서 보상을 받게 되면 최대 5000만원 한도내에서 거의 이자는 못받는 다고 생각하면 되고 원금을 돌려받는 수준이 됩니다. 또 보상을 받는 절차가 복잡해서 시간이 오래걸릴 수 있으니 이런 최악의 상황을 안가는 지명도가 있는 은행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적금의 경우는 보장이율이 높고 가입기간이 짧은 것이 좋습니다.

은행도 바보가 아니기 때문에 이런상품이 잘 없습니다만, 반대의 상품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 이율이 높다고 막들게 되면, 1년 만기 2.5%가 있고 3년만기 3%짜리가 있다면, 당연히 1년 만기 짜리를 3번 드는 것이 3년 만기 3%짜리를 한번 드는 것 보다 더 유리합니다. 왜냐면 1번의 경우는 2번의 귀찮음으로 3년을 복리도 들었지만, 2번의 경우는 3년을 단리로 들었기 때문이지요.  또 중도해지하면 그 만큼 불이익이 되기 때문에 짧고, 높고, 안전한 상품을 찾아내면 됩니다.

대체적으로 제1금융권이지만 지방은행 중에서 잘 찾아보면 이런 상품들이 간간히 나옵니다. 뭐 협동조합 상품들도 나쁘지는 않는 데 위에 분들이 설명하는 저런 제약이 있으니 잘 찾아보시구요.

어짜피 적금.예금으로는 돈을 저축한다는 개념일 뿐, 돈을 버는 수단은 아니니 너무 큰 기대는 금물입니다. 국가에서 알아서 다 떼가요...

좋은 상품 찾아내셔서 부자되세요...~
장동건2014 2018-09
답변 주신분들께 감사 드립니다.
이런쪽에 익숙하지 않다보니 조금 복잡하게 보이는데요.
정보를 토대로 차근차근 학습해보면 길이 보일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__)
블루맥스 2018-09
금액을 쪼개서 적금을 12개 단위로 만듭니다.
매달 만료되는 적금이 한 개씩 있도록 만들고, 만료가 되면 새로 적금을 한 개 만듭니다.
36개까지 만들어봤는데 요즈음은 12개만 남겨놨습니다.
적금을 통해 돈을 번다는 개념보다는 조금 편하게 돈을 보관해둔다는 개념입니다.

일명 풍차돌리기라고 하는 방법입니다.
무아 2018-09
신용대출상품도 3% 대인 것이 많은데 적금상품은 그보다 많이 낮겠죠.
장동건2014 2018-09
추가로 말씀주신분들께 감사 드립니다.
-적금을 통해 돈을 번다는 개념보다는 조금 편하게 돈을 보관해둔다는 개념-
기본 생각을 이렇게 보고 학습해야겠습니다.
무아 2018-09
요즘은 어떤지 모르겠는데 예전엔 농지 같은 거 구매해서 농지 대여하고
농헙 조합원으로 가입해서 조합금(출자금) 넣어 놓는게 꽤 괜찮았는데 요즘도 조합원 가입을 받으려나 모르겠어요..
     
장동건2014 2018-09
전 어려워서 못할것 같아요.ㅎ
DoubleSH 2018-09
뻘소리일수도있지만??
금리 공시를 보고 찾아가시는 것도 좋습니다.
예를들면 신협은 여기서 검색하는데  -> http://www.cu.co.kr/GSSN010000.do
저는 거주지역에서 가까운 든솔신협의 금리가 가장 좋아서 이용하고있습니다.
얼마전까진 한시적으로 1년 2.8% 였는데 이번에 2.6으로 급 내려갔네요 ㅎㅎ
     
장동건2014 2018-09
답변 감사합니다.^_^


QnA
제목Page 1547/5729
2015-12   1789749   백메가
2014-05   5264729   정은준1
2018-09   4336   버팔로윙
2018-09   4193   권오준
2018-09   4379   회상2
2018-09   3841   그냥중
2018-09   7315   김건우
2018-09   3456   김건우
2018-09   2948   유호준
2018-09   3473   머라카는데
2018-09   3803   허인구마틴
2018-09   3619   차넷컴퓨터
2018-09   4128   장동건2014
2018-09   6325   김건우
2018-09   3942   늘파란
2018-09   11428   김건우
2018-09   4293   허인구마틴
2018-09   4012   evoker
2018-09   5236   이형동
2018-09   3260   초심불패
2018-09   18462   트니아빠
2018-09   4373   이선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