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47452 |
0 |
2014-05
5247452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72768 |
25 |
2015-12
1772768
1 백메가
|
84584 |
윈도우 네트워크 연결 창에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2) |
도리a |
2018-11 |
3344 |
0 |
2018-11
3344
1 도리a
|
84583 |
IPXCR-VN1 메인보드 패스워드 (5) |
광주동키호테 |
2018-11 |
3665 |
0 |
2018-11
3665
1 광주동키호테
|
84582 |
[질문] HP 전면 스프링 문제 (1) |
페르세우스 |
2018-11 |
3272 |
0 |
2018-11
3272
1 페르세우스
|
84581 |
Dell poweredge R430 을 1대 세로로 세울 수 있는 랙이나 케이스 있을까요 (4) |
심심심심 |
2018-11 |
3251 |
0 |
2018-11
3251
1 심심심심
|
84580 |
쓸만한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 있을가요? (15) |
행복하세 |
2018-11 |
4801 |
0 |
2018-11
4801
1 행복하세
|
84579 |
[완료] 델 5290에 분리 키보드 한글 이슈 (8) |
회원K |
2018-11 |
3888 |
0 |
2018-11
3888
1 회원K
|
84578 |
쩝 유산균 6병을 시켰더니..사은품을 주는군요... (2) |
늘파란 |
2018-11 |
3020 |
0 |
2018-11
3020
1 늘파란
|
84577 |
EseDiskFlushConsistency이 뭐지요? (2) |
무아 |
2018-11 |
6287 |
0 |
2018-11
6287
1 무아
|
84576 |
USB형 외장 플로피 드라이브에 관한 질문입니다. (14) |
sbg2005 |
2018-11 |
4228 |
0 |
2018-11
4228
1 sbg2005
|
84575 |
E5-2687W 듀얼 vs 스케일러블 골드 6140 듀얼 질문 드려요. (3) |
고무다라이 |
2018-11 |
3841 |
0 |
2018-11
3841
1 고무다라이
|
84574 |
삼성 김치냉장고 컴프레서 어디서 구입 할 수 있는지요? (2) |
윤경식 |
2018-11 |
3645 |
0 |
2018-11
3645
1 윤경식
|
84573 |
CRS210-8G-2S+IN 10G 속도 사용 가능할까요? (4) |
컴박 |
2018-11 |
2888 |
0 |
2018-11
2888
1 컴박
|
84572 |
[비컴] 직장어린이집에 대해 좀 아시는분 있으실까요? (9) |
정의석 |
2018-11 |
2993 |
0 |
2018-11
2993
1 정의석
|
84571 |
이베이에서 레노버 본체하나 샀는데.... 다른걸로 보내주겠다네요 (3) |
가을바람 |
2018-11 |
3609 |
0 |
2018-11
3609
1 가을바람
|
84570 |
스카이라이프 - 판매 불가 (11) |
광주동키호테 |
2018-11 |
3097 |
0 |
2018-11
3097
1 광주동키호테
|
84569 |
메인보드 교체 후 h200을 한장만 인식하는건..... (12) |
Sikieiki |
2018-11 |
3434 |
0 |
2018-11
3434
1 Sikieiki
|
84568 |
인텔 CPU 테스트 프로그램....아이템 중에서 SPBC..? (4) |
ha2mil |
2018-11 |
4842 |
0 |
2018-11
4842
1 ha2mil
|
84567 |
GTX 980의 쿠다와 그래픽 작업의 관계 (3) |
kking |
2018-11 |
2803 |
0 |
2018-11
2803
1 kking
|
84566 |
하드 어드밴스드 포맷의 장점? (6) |
Sikieiki |
2018-11 |
6254 |
0 |
2018-11
6254
1 Sikieiki
|
84565 |
더미 SATA HDD ? (3) |
통신보안 |
2018-11 |
3509 |
0 |
2018-11
3509
1 통신보안
|
실질적인 퍼포먼스에서 차이가 나는지 궁금합니다
어떤사람은 살짝 어긋나게 하면 성능이 떨어진다는 사람도 있고 해서 써보신 분들이 있을지 궁금해서 qna에 올렸습니다.
해놀의 어디를 보아도 4k 기본 hdd 를 활성화시키는 방법을 못찾겠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https://www.seagate.com/kr/ko/tech-insights/advanced-format-4k-sector-hard-drives-master-ti/
2. 섹터 크기가 512B이냐 4KB이냐는 디스크의 사양입니다. 사용자가 설정하는 영역이 아닙니다. (사용자가 로우레벨 포맷을 할 수는 없으므로 당연한 이야기)
현재 판매되는 (거의) 모든 하드디스크들은 Advanced Format(=4KB)이라고 보시면 무방합니다. 대신, 512B와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한 레거시 모드(512e)를 지원하는 것 뿐입니다. (즉, 내부적으로는 Advanced Format)
Microsoft Windows 8부터, Linux는 커널 2.6.31부터 4KB 네이티브 모드를 지원하므로 사용자가 무언가를 설정해줘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는 헤놀로지도 마찬가지입니다. (ZFS의 경우 Alignment Shift 이슈가 있으므로 고급 사용자들은 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나 헤놀로지는 ZFS를 지원하지 않으므로 신경쓰실 필요가 없습니다)
포맷 효율성이 개선되고 오류 수정 능력이 강화되는 경향으로 장기적으로 볼 때
장점이 될 것이다.. 그렇게 나오네요..
글의 뉴앙스를 보니.. 하드 제조회사들이 어쩔 수 없이 4KB로 해야 한다고 하는군요..
쉽게 (사실은 아니지만 그냥 이해를 돕기 위해서) 파일이 저장될때 HW->VFS->File System으로 구성이 됩니다.
그런데 H/W에 저장이 되는 데이터의 단위가 1 SECTOR입니다. 그런데 DISK의 크기가 커지면서 SECTOR의 개수가 비례하게 커진겁니다.
OS에서 파일에 어떤 DISK의 어떤 SECTOR에 저장했는지를 관리해야 하는데 이 mapping table이 계속해서 커지는 겁니다.
그래서 생각한 방법이 SECTOR의 크기를 512Byte에서 4096Byte로 낮춘겁니다. 그러면 Mapping Table의 크기가 1/8로 줄어들죠.
요즘 파일의 크기가 크기때문에 별문제는 없습니다. 아마도 더 좋을겁니다.
하지만 용도가 DB등 이라면 약간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기존에는 10Byte 변경되면 512Byte만 WRITE를 했는데 이제는 4096Byte를 WRITE 해야죠. Bandwidth가 별의 미는 없는 세상이지만 어째든 여러가지 장단점이 있습니다.
DISK도 문제지만 사실은 Memory가 더 문제입니다. Page Table을 관리하는 용량이 너무 커졌습니다.
이문제는 나중에 누군가 궁금하신분이 계시면 그때 설명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