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50927 |
0 |
2014-05
5250927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76035 |
25 |
2015-12
1776035
1 백메가
|
84828 |
CSR인증키 생성 문의 드립니다. (4) |
쌍cpu |
2018-12 |
3124 |
0 |
2018-12
3124
1 쌍cpu
|
84827 |
손가락이 안펴지내요 (14) |
읍내노는오빠 |
2018-12 |
4254 |
0 |
2018-12
4254
1 읍내노는오빠
|
84826 |
NAS 와 SAN의 비교, 차이점은 어떤건가요? (12) |
제온프로 |
2018-12 |
7796 |
0 |
2018-12
7796
1 제온프로
|
84825 |
X3550 M4 부팅 오류 (11) |
Arisu2018 |
2018-12 |
7474 |
0 |
2018-12
7474
1 Arisu2018
|
84824 |
네이티브 ESXi 6.5 사용중 메인보드 교체 질문 드립니다 (1) |
전진 |
2018-12 |
3361 |
0 |
2018-12
3361
1 전진
|
84823 |
65세 이상 의료비 환불에 대해 경험이 있으신 분 있으신가요? (4) |
신은왜 |
2018-12 |
3919 |
0 |
2018-12
3919
1 신은왜
|
84822 |
AMD 레이븐 릿지 2200g, NVME SSD에서 Xpenology 사용이 가능할까요 ? (2) |
turtlmac |
2018-12 |
4255 |
0 |
2018-12
4255
1 turtlmac
|
84821 |
r420 모니터 출력문제 때문에 도움을 구합니다 (1) |
Wnahd |
2018-12 |
2777 |
0 |
2018-12
2777
1 Wnahd
|
84820 |
PC-> NAS 파일복사 속도 높이는방법 (8) |
kkukkin |
2018-12 |
13124 |
0 |
2018-12
13124
1 kkukkin
|
84819 |
혹시 프론트페이지익스텐션을 대체할만한게 있을까요? (2) |
김상일 |
2018-12 |
2471 |
1 |
2018-12
2471
1 김상일
|
84818 |
크로스헤어 메인보드 에러코드 질문입니다. (2) |
흠냐 |
2018-12 |
3461 |
0 |
2018-12
3461
1 흠냐
|
84817 |
드래곤볼 - XCY 베어본 화면이 안나옵니다 (16) |
회원K |
2018-12 |
3544 |
0 |
2018-12
3544
1 회원K
|
84816 |
[질문] RJ45... CAT 6A 7 / 10G 스위치 (5) |
페르세우스 |
2018-12 |
3812 |
0 |
2018-12
3812
1 페르세우스
|
84815 |
2990wx용 공냉 쿨러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8) |
하나비 |
2018-12 |
4576 |
0 |
2018-12
4576
1 하나비
|
84814 |
이거 이름 혹시 아시는분.. 알려주세요 (5) |
1김In1 |
2018-12 |
3045 |
0 |
2018-12
3045
1 1김In1
|
84813 |
저희 집 인터넷 단자함...어떻게 해야할까요.... (61) |
와사비겨자 |
2018-12 |
14098 |
0 |
2018-12
14098
1 와사비겨자
|
84812 |
저희 집 인터넷 단자함...어떻게 해야할까요.... (9) |
박문형 |
2018-12 |
5850 |
0 |
2018-12
5850
1 박문형
|
84811 |
저희 집 인터넷 단자함...어떻게 해야할까요.... (4) |
페선생 |
2018-12 |
3636 |
0 |
2018-12
3636
1 페선생
|
84810 |
gitHub에서 open an issue는 어떤 내용을 어떤 형식으로 적는 것이 개발자에게 도움… (4) |
그냥중 |
2018-12 |
3005 |
0 |
2018-12
3005
1 그냥중
|
84809 |
25um58 과 25um57 의 차이점....? (3) |
Sikieiki |
2018-12 |
3393 |
0 |
2018-12
3393
1 Sikieiki
|
녹색으로 칠한 케이블이 거실로 통하는 것으로 보건데 나머지 케이블들도 각방으로 배선은 다 되어 있을겁니다.
단자함에 220V 콘센트가 있다면 인터넷공유기와 8포트/16포트 스위칭허브를 넣고 랜툴로 찝어서 배선하면 됩니다.
어느게 인터넷이 되는 원래의 케이블인지는 랜툴로 찝은 다음 유선이 되는 노트북에 연결해 보면 알수 있을겁니다.
그리고 말씀해주신거처럼 110블럭 때버리고 그렇게 하고싶은데...
사실 다 때버리고 찝어서 할려고하는데 뭔가 안되버리면 그게 걱정이라....ㅋㅋㅋㅋㅋ괜한 걱정인가요?ㅋㅋㅋ
다만 원래의 인터넷 선이 어디로 들어와서 어떻게 배선되는지 다 찍어봐야 하는 삽질일뿐..
현재 인터넷이 되는 거실에서 인터넷 공유기를 놓고 거기서 따로 배선해야될 상황이로군요.
1. 우선 단자함에 220V 전기배선이 필요하죠? 최소 3구 콘센트 정도는 뽑아놔야 합니다.(공유기용 + 허브용 + 예비용)
2. 랜케이블이 CAT.5 일것이므로 CAT.5E 혹은 CAT.6로 재배선해야 기가비트를 쓸수 있습니다.
3. 공유기와 스위칭 허브가 필요하죠. 단자함 공간이 모라자서 단자함 문짝은 열어놓고 써야 될수도..
랜선은 받으면 되서 문제가 없긴합니다만... 고민이 되네요.... 문제는 메인선에 노트북 물리면 메인선을 알수있냐는건데...
메인선 찝어서 노트북에 물리면 답이 나올까요?
단자함을 보니 lan 단자가 방마다 1구씩 나와있을것 같네요 맞나요?
제글 보시면 저는 방마다 4구가 있어서
받은 인터넷을 다시 벽으로 보내고 저 블럭에서 다시 제 컴퓨터방으로 보내고 컴퓨터방에 있는 기가비트 스위치로 해결했습니다
그냥 무선환경으로 하시고 거실 공유기 무선신호를 방에서 받아서 방안을 기가비트로 꾸미는게 훨씬 경제적이고 만족도도 높을것 같은데요
아 그러니깐 거실에 공유기에서 나오는 무선신호를 받아서 방으로 가게 하고 그 방안을 기가비트로 꾸민다는 말씀이신거죠?
그렇게 해도 다운/업로드 및 기타 게임에 지장이 없을까요...? 아늑한 환경을 만들고 싶은데 그게 가능할지가 의문이라서요...
2. 셋탑박스 외에 공유기 같은건 없나요?
3. 다른 컴퓨터는 없나요?
2. 셋탑박스 외에 제가 가지고있는 iptime 공유기 있습니다. 텐백천이였던거 같은데 기억이 좀 가물가물하네요...
3. 작은방에 제 컴퓨터가 한대 있고 와이프는 노트북 사용하기때문에 무선으로도 가능합니다.
아마도 아래 중간 부분이 거실쪽이구요. 그래서 초록색칠된 입력선이 거실쪽으로 연결된것 같구요.
나머지 단자는 각 방으로 갑니다.
간단한 방법은 공유기 입력에 초록색칠된 케이블을 연결하고, 나머지 출력 포트를 각 방 단자로 연결하면 되는데,
단자함에 공유기 넣기가 공간도 없고, 전원도 옆에서 따와야 하고 좀 불편 합니다.
내선 케이블이 cat5 오래 되어서 기가비트 사용은 불가능 할 것 같네요.
기기비트 사용하려면 케이블을 다시 포설 해야 하는데, 이게 만만치 않습니다.
저는 그냥 거실에 무선 공유기 달고, 각 방에서는 무선으로 사용 합니다.
하....답은 무선밖에 없는건가요? 윗분 말씀중에
거실에서 각방으로 랜선을 뽑아주는 방법을 얘기하신분 있는데 그건 어떨까요...?
지금 살고있는 집은 80년 준공
소유하고 있는 집은 78년 준공입니다...
저런 단자함조차 없습니다....
제가 해본것으로만 말씀드리면 10-20m 정도 짧은 길이의 cat5 cat5e cat6 케이블들은 기가비트 전송시 케이블에 따른 전송속도 차이는 없었습니다
http://m.cocooutlet0230.godomall.com/goods/goods_view.php?goodsNo=1001249654&inflow=naver&NaPm=ct%3Djpc6r5lk%7Cci%3D7f3c9488bf24627a23eb17488ae0034530c6c66c%7Ctr%3Dsls%7Csn%3D804662%7Chk%3Dde45794961fcf1e41466f2cad5ed6b2f0c7a9dc1
일단 poe 만들어주는 케이블은 전 100M + 전원으로만 써보아서 기가비트 + 전원 이용시 문제 없는지는 모르겟습니다. 그래서 전화용 케이블을 전원용으로 쓰시라 말씀드린것입니다
저도 K기사님 불러서 각방에 인터넷되게 해달라고 하니까
단자함에 유선공유기(무선아님) 무료로 그냥 넣어주시고
단자함으로 외부전원끌어올 수 있게 랜선으로 전원작업 까지 해주시고
방3개 거실1개 모두 인터넷 가능하도록 각방 벽에 붙어있는 랜포트마다 다 연결해 주고 가셨습니다.
이때 추가비용은 한푼도 안나왔습니다.
해달라고 요청을 하셔야 작업을 해줍니다.
이떄 K기사님 답변이 "고객님 원하시는건 다 됩니다" 입니다.
참고로 속도는 8가닥 다 사용하는 기가비트로 전부 포셜되었습니다.
거실만 해주고 나머지는 공유기넣어서 하시든 어떻게 따로 하셔야 한다고 했더라고요...
말그대로 케바케 인거같습니다....
IPTV 쪽과 각 실별 IP 대역이 아예 분리가 되버려서....
내부망에서만 작동하는
PC에서 서버로 돌려서 스마트TV로 연동되는 것들은 안되더라고요..
공사를 해야한다..는 것은 없습니다.
부탁하셔서..
기반 시설이 준비 되어 있고.. RJ45만 찍으면 되니까..
해 주신거지..
당당하게 요청할 내용은 아닙니다.
오해의 소지가 있어보여.. 한마디 거듭니다..
이거저거 해달라고 하니까 스케쥴 보고 기사가 와서 거의 다 해주던데요..
대신 인건비(설치비)는 받았습니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dalcomne79&logNo=220414576525&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kr%2F .)
이도 저도 안되면 전력선 인터넷 모듈 사시는 것도 고려해 보시는게..
잘 정리된 단자함에서 비전문가가 찾는것도 쉽지는 않는데 저런 상황이라면 난이도가 상당히 높습니다.
(잘못된거 고치고 짧은선 이어내고 그러다보면.....새로 설치가 더 빠를정도임)
설치오신 기사님도 대충 하고 가셨네요.......
점퍼선으로 연결하면 될텐데 왜 단자대에 연결된 선을 짤라서 블럭에 찍어 넣은건지....... (몇백원 아낄려고 뒷사람 엿먹이는건데 이게)
설치기사님 명함주고 가셨을껍니다. 기사님과 잘 이야기 하셔서 재설치 하시는게 낫습니다.
모든방 인터넷 요구하셨는데 안해주신거라면 전화하셔서 요구대로 해달라고 강하게 말씀하세요 (원래 어느정도 설치비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물론 필요한 물건은 미리 준비해 놓으시구요 (ex> 허브나 공유기)
방문해서 각방마다 엔지니어가 할 수있으면 해주는데 못한다고 하면 출장비는 나옵니다...라고 하네요
방문해서 그럼 보고 안되면 그냥 가는건가요 라고 물어보니 어디가 어떤건지 알려줄 수는 있다고하는데...사실 그건
중요한게 아니라서..일단 그냥 알겠다고 하고 끊었습니다....방법이 없네요...
여기 첫번째 그림 같이 선을 빼서 공유기에 연결해야 합니다..
어느 선이 반기가가 올라오는 원선인지 어느 선이 방으로 가는 선인지 알아야 합니다..
그외 IPTV가 들어가면 선만 연결해서는 되지 않습니다..
IPTV 셋탑 박스가 어떤 것이랑 인증이 되어 열리는지 알아야 합니다..
따라서 재대로 할려면 해당 인터넷 기사 불러서 재대로 작업해달라고 부탁해야 합니다..
메인선이 어떤건지 알아야 하는게 맞는거 같은데 메인선말고도 거실쪽에 물린것도보면....
주파녹갈로 물려놓은게 아닌거 같아서요....참 여러모로 답답하네요...
저희 집이 단자함이고 뭐고 없는 오래된 아파트라 거실에 KT 무선공유기가 있고 각 방에서는 무선으로 연결해 사용중입니다. 문 닫아 놓고 써도 속도는 잘나옵니다..
어짜피 저희 아파트 인터넷 원선이 2가닥 전화선이니 잘 나와봐야 20M 입니다.이번에 KT에서 전화와서 반기가 어쩌고 해서 바꾸어 설치 하셨다는데 화날까 봐서(어짜피 안되도 그냥 쓰자고 하실거니) 속도 체크도 안하고 있습니다.
웃긴게 반기가 인터넷 설치하면서 무선 공유기 새로 주면서(기존거랑 차이점을 모르겠네요) 기존에 설치된 무선 공유기는 가져가라 했더니 인터넷 전화에서(같은 KT임다) 설치한거니 가지고 있으시던지 인터넷 전화쪽에 전화해 반납하라 했다 하네요.
그래서 반기가 신청하면 모뎀 같은거 주고 그 밑단에 기가비트 공유기 사용해야됩니다
저는 IPTV 셋톱박스는 유선 인터넷이 되는 어느 방이라도 되게 해놓았는데요..
문제는 각 인터넷 회선사마다 IPTV 셋톱박스에 따라 셋팅 방법이 다 다르다는 것입니다..
저 같은 경우는 IPTV 셋톱 박스의 인증을 인터넷회선사의 유무선 공유기가 하기에 공유기 밑에만 셋톱박스가 연결되면 IPTV는 잘 나옵니다..
대신 반기가를 반기가 허브를 거쳐 직결하면 인증이 안되기에 IPTV 가 안 나옵니다..
허브에는 모든방에서 나오는 인터넷 선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런 셋팅 방법은 그 지역 담당기사들만이 재대로 알기에 기사를 불러 조치 하는 것이 재일 좋습니다..
4선 4선 8선 8선 8선
반기가 라인 ---- 반기가 지원 통신사 유무선 인터넷 공유기---- 통신사 반기가 허브 ---- 각 방 ---- IPTV 셋탑박스 --- IPTV
반기가 반기가 기가 기가 기가
저희집 배선도를 그리면 대략 이렇습니다.. 실제는 좀 더 복잡하지만요..
저희집 단자함에는 반기가 허브 하나만 들어가고 허브 전원이 아답터로 부터 오기에 아답터 선이 밖으로 나가면서 단자함 뚜껑을 덮었습니다..
아답터는 단자함 근처 220V 플러그에 꼽혀 있죠..
그리고 저희는 각방에 1구짜리 한개밖에 없어서 그 공유기에 전부 물리면 되는 부분이고요?(부족하다면 허브를 쓰고요?)
네 그렇죠.. (그러나 IPTV의 재대로 된 셋팅은 통신사 마다 장비마다 다릅니다..)
그림은 저희집 단자함입니다..
굳이 더 생각해보자면, 어느쪽에서든 랜선을 하나 더 포설을 하는것이지요. 아무래도 거실쪽이 벽포트와 전원이 가까울 경우가 많으니 거실쪽에서 벽포트 안으로 해서 단자함으로 선하나 더 뽑으면 전원문제는 해결할 수 있을 것 같네요.
저 단자에서 선찾는 건 금방 찾습니다.
안다고 하더라도 메인선이 제대로 주파녹갈로 정상적으로 안되어있는거 같은 기분이고요...
KT엔지니어가 하고간거 보면 좀 이상하게 칼블럭 끼워놔서요
공유기의 유선 포트가 여러개 라면, (5개 이상) 스위칭 허브 따로 넣지않고 그냥 공유기로만 버티는 것도 가능하겠네요.
http://drivingfeel.net/323
개인적으로 볼 때 선의 굵기가 좀 그래서 전류가 재대로 못 흐를수도 있습니다..
원래 PoE 규격은 48V 까지 버티도록 되어 있습니다.
접촉면에 저항이 증가할수 있으므로 그 부분은 땜질하면 되겠습니다.
다만 중국제 싸구려 연선이 아니라, 한가닥 짜리 통으로 되어 있는 케이블을 써야겠죠?
스마트 폰으로 봤을때는...
요비선을 써도 되고 랜선에 두가닥 묶어서 양쪽에서 밀고 당기고 하면 잘 들어갑니다.. 다만 호흡이 맞을 때 기준입니다..
1) 가장 쉬운방법
가장 가까운 방에서 전기선과 utp를 단자 함 까지 땡기세요... (전화선 구멍에 전기선 + utp)
만약 가장 가까운 방에서 유선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면 utp 선에 전기선 묶어서 땡겨 내세요
단자함에 전기를 만든후 단자함에 반기가 모뎀 놓고 원선 사진상으로 봤을때엔
(5번째 녹색으로 칠해져 있는게 메인 선 아니면 그 밑에 박히는 곳이 메인 선인듯 합니다. IDC 밑에 박혀 있는)
기존선 들이 짧기에
http://itempage3.auction.co.kr/DetailView.aspx?itemno=A844413189
이렇게 생긴 콘넥터 일명 메뚜기로 4P 연장 하여 반기가 모뎀에 꼽으시면 됩니다..
사진상으로 봤을때엔 4군데 꼽을때가 있으니.. 반기가 모뎀에 모두 수용 가능 합니다.
2) 단자함에 전기를 넣지 않고 하는 방법
현재 반기가 모뎀 있는 곳에서 (거실이나 메인 방에서 )
utp 4가닥을 묶어서 WD 뿌려서 단자함으로 다 땡겨 내는 방법이 있습니다.
구멍 크기로 봐선 3가닥 까지는 WD 뿌려 가면서 땡겨 나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4가닥은 좀 많이 빡실듯 합니다.
어댑터라 접지도 필요없구요.
보통 현관문 상단은 센서등인 경우가 많고 센서등의 경우 상시 전원이므로 천정에서 전원을 하나 따와서 단자함으로 넣으시면 됩니다. 얇은 연선이므로 요리조리 잘 밀어넣거나 단자함 커버에 구멍 하나 뚫으셔도 되구요.
8포트 유선 공유기도 시중에 나와있구요.IPTV 연결은 좀 까다롭긴 하지만 검색해보시면 가능한 방법이 있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