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디스크 읽기/쓰기 시에 CPU에 걸리는 부하..

   조회 4866   추천 0    

 안녕하세요. 집에 내부 기가비트 구축하면서 한가지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현재 메인으로 사용하는 파일저장용 서버가

인텔 E7400 / DDR2 8GB / 윈도우서버 2012 R2 컴퓨터 한대.

그리고 AMD E350 / DDR3 4GB / 우분투 18.04 저전력 컴퓨터 한대.

이렇게 있습니다.

둘다 기본 내장 리얼택 기가비트 랜카드이고, 같은 네트워크 망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해당 컴퓨터에서 공유해 놓은 (둘다 동일안 HGST HDD) 네트워크 드라이브에

파일쓰기를 해 보면, E7400 달려있는 컴퓨터는 보통 80-100메가 속도가 나옵니다.

그런데 E350 에는 10-20메가 속도 밖에 나오지 않습니다.

단순 파일 읽기/쓰기에는 CPU의 성능에 좌우되지 않는다고 알고있었는데...

무엇때문에 이런것일까요? 아무튼 이해하기 힘든 일입니다.

잠시 남아돌고있는 AMD X250 / DDR3 4GB 컴에 똑같이 우분투 설치하고 SMB 공유로 파일 쓰기를하면

이건 또 80-100메가 왔다갔다 나오더군요.

결론은 E350 보드에 내장된 SATA 칩이 쓰기를 할때 CPU점유율을 많이 잡아먹는다...이렇게 이해하면 되는것일까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빠시온 2019-01
우분투 작업관리자 틀어놓고 cpu 점유율이랑 디스크 io랑 네트워크 대역폭 다 보면 답 나올거 같은데요?
     
기묘한생활 2019-01
윈도우 서버에서나 우분투에서나 점유율은 비슷한 % 를 보입니다.
마냥...윈도우서버가 더 많이 잡아먹고 더 느릴거라 생각했는데...
의외의 결과라서 으으으..
Noname1 2019-01
E-350 싱글코어점수 417
X250 싱글코어점수 1006
E7400 싱글코어줌ㅅ 1144

네트워크로 처리하는건 특히 CPU 부하가 어느정돈 생기기때문에
해당속도가 나올거에요

단순 파일읽기/쓰기 라고해도 메모리 내부적으론 초당 수십-수백메가바이트의 처리가 필요하니까요 CPU에 부하는 어느정도 생김니다
기묘한생활 2019-01
방금 약 두시간정도 테스트를 해 보니,
AMD E350 / DDR3 4GB  컴에다
-윈도우 서버 2019
-우분투 18.04
-오픈미디어볼트

이렇게 3가지 OS를 각자 SSD에 설치해서 하나하나 전송속도를 테스트 해보니.
(하드디스크는 WD 500기가로)
윈도우 서버는 50-80메가 정도 나오고, 잘 나올땐 100메가가 나오는군요.
우분투랑 오픈미디어볼트에서만 전송속도가 10-20 나옵니다.
혹시 랜카드 설정에서 따로 손봐줘야할 부분이 있는지요?
박문형 2019-01
드라이버를 OS에 디폴트로 들어 있는 것으로 하셨는지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것으로 하셨는지 확인및 비교해보시기 바랍니다..
이규섭 2019-01
E350으로 서버 사용했었던 사람인데 드라이버 문제인듯 합니다.
기가랜 속도 거의 다 뽑아줬었거든요.


QnA
제목Page 1451/5730
2014-05   5266675   정은준1
2015-12   1791584   백메가
2019-01   2883   진영준
2019-01   3294   욕심쟁e
2019-01   3704   김건우
2019-01   4867   기묘한생활
2019-01   3560   미수맨
2019-01   3576   미수맨
2019-01   3013   이리
2019-01   3837   신은왜
2019-01   5686   김제연
2019-01   3280   전설속의미…
2019-01   3555   김건우
2019-01   4170   comduck
2019-01   6023   아마데우쓰
2019-01   3733   가상화공부중
2019-01   4883   Jasper
2019-01   3209   빠시온
2019-01   4222   나디드
2019-01   3803   꿀땡이
2019-01   4276   Won낙연
2019-01   2970   홀릭0o0